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1. 10. 7.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시베리아의 알타이 산 위에 있는 기원전 5세기 무덤에서는 미라가 나오고, 그들의 몸에는 동물문양 문신이 새겨져 있다. 주로 변형된 동물인데, 굽동물의 몸통에 독수리 부리가 부착되고 사슴 뿔처럼 보이지만 말 갈퀴처럼 보이기도 하며, 끝에는 새 머리가 달려 있다. 꼬리는 말처럼 길게 처리되어 있다. 이 동물을 사슴형 그리핀으로 부르고자 한다.

그런데 베르흐 칼쥔 II유적 전사의 문신은 머리가 없는 굽동물(그림 1-5)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입과 뿔에 달린 새 머리가 남아 있어서 원래 머리 없이 그려진 것이 아니다. 원래 머리 없이 그려졌다고 보여지는(그림 1-2, 4, 7, 10, 11) 동물 중에서 실제로 그림 1-2,4, 10, 11은 머리가 없는데, 처음 의도인지, 아니면 지워진 것인지 애매하다. 이 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사슴형 그리핀의 범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림 1-7은 머리 부분이 이상하게 그려진 것이고, 그림 1-8의 동물은 뿔을 제외하고는 다른 사슴형 그리핀과 자세 등이 유사하다. 이들은 사슴형 그리핀이다.

 

그림 1. 파지리크 문화의 문신

 

아크 알라하 3유적과 파지리크 2호의 남성 미라에는 사슴형그리핀 외에도 호랑이 변형이 있다. 전자(그림 1-12)는 발과 꼬리 표현이 굽동물이 아닌 호랑이 변형(그림 1-13)에서 관찰할 수 있다.

 

파지리크 유적 2호와 5호, 1호에는 말에게 씌운 가면이 발견된다. 말에게 없는 뿔을 달아서 사슴처럼 보이도록 했을 것이다. 게다가 이 말의 안장에도 동물장식이 달려있어서 말은 온통 동물장식으로 덮여 있게 된다. 말의 꼬리도 땋거나 금판으로 감아 처리해서 문신속의 사슴형 그리핀과 마찬가지로 처리했다.

이들은 말을 살아 있는 사슴형 그리핀으로 만들기 위해서 노력한 것처럼 보인다.

 

 

그림 2. 파지리크 유적 5호분 말 가면

 

그림 3. 파지리크 유적 말 꼬리

 

뿐만 아니라 파지리크 유적 2호분의 남성 모자 장식은 높은 장식을 만들어 붙인 것인데, 사슴의 뿔을 변형시킨 것이다. 파지리크 5호분 캐노피에 있는 반인반수의 괴물도 얼굴만 사람이고 사슴(그림 4-4)을 변형 시킨 것이다.

 

그림 4. 파지리크 유적 5호분 캐노피

 

그래서 필자는 알타이 미라 문신의 사슴형 변형동물 혹은 사슴형 그리핀은 알타이 고유의 동물장식이라고 생각한다. 또 다른 이유 중에 하나가 사슴변형의 시작은 이미 청동기시대부터 있어왔기 때문이다. 그 때부터 사슴에 대한 숭배?가 있었다고도 볼 수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10. 4.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스키타이 동물장식에서 나타나는 그리핀 중에서 비교적 단순한 그리핀은 새 머리와 맹수의 몸통에 날개를 달고 있는 것이다.

 

우라르트에서 스키타이 사람들의 주문으로 제작된 거울 뿐만 아니라 간두령 장식에도 그리핀 머리가 달려 있으며, 그리스에서 제작된 디아뎀에도 달려 있다. 모두 켈레르메스 유적에서 출토된 것이다. 간두령장식은 스키타이 특유의 유물로 기원전 5세기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된다. 단순한 그리핀은 스키타이 뿐만 아니라 우라르트, 그리스 등지에서 널리 쓰이던 동물문양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림 1. 기원전 7세기  켈레르메스 유적 출토 간두령(김재윤 2021)

그림 2. 기원전 7세기  켈레르메스 유적 출토 디아뎀(김재윤 2021)

 

칸도로비치는 이 그리핀 장식은 그리스 계통이 아니라 원래 이란지역에서 먼저 사용된 것으로 생각했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기원전 883~859)의 궁전 벽화(그림 3-7)에 등장하는데, 기원전 8세기 후반에 카르케미시 궁전벽화(그림 3-5)와 기원전 8~7세기 톱라크 칼라-Toprak-Kala(우즈베키스탄) 궁전에서도 남겨진 것이 발견되었다(그림 3-7). 뿐만 아니라 기원전 7세기 앙카라 성곽에서도 발견된다(그림 3-6). 이 후에 그리스(그림 3-1~3)에서 발견되는데, 청동솥 등에 부착된 채 발견된다.

 

그림 3. 서아시아 전통에서 발전한 그리스 그리핀의 도상학 형성과정

 

아슈르나시팔 2세의 궁전벽화가 가장 이르기고 시간적인 순서를 따르면 그리스 유물에 나타난 그리핀도 사실은 아시아계통이라는 것이 칸토로비치의 생각(그림 3)이다.

 

그의 생각에도 일리는 있지만 필자는 사람처럼 두 다리로 서 있는 입상(그림 3-5,8,7)과 네 다리로 서 있는 동물은 구분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앙카라 궁전벽화에서 네 다리로 서 있는 합성동물을 찾았지만 훨씬 더 가까운 우라르트에서 출토된 네 다리로 서 있는 반인반수(그림 4)를 누락시킨 것은 약간 이해는 되지 않는다.

 

 

 

그림 4. 우라르트 반인반수

 

그래서 기원전 7세기 흑해지역에서 나타난 외부의 영향은 어떤 일방적인 국가에 한정된 것이 아닐 수 있다. 상황이 이러하다면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을 대표하는 그리핀은 시베리아에서 발생한 합성동물장식이 문화적 아이덴티티일 수 있다.

 

 

참고문헌

Канторович А.Р. Истоки и вариации образов грифона и грифоподобных существ в раннескифском зверином стиле VII–VI вв. до н. э. /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й альманах. – № 21. – 2010. – С.189-224.(칸토로비치 2010 기원전 8~6세기 초기 스키타이 동물장식에 있어서 그리핀 및 유사 그리핀의 원천에 대해서)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10. 2. 09:33 스키타이 동물장식

 

알타이의 파지리크 유적에서 출토된 안장덮개나 목조로 된 굴레장식은 동물문양이 대부분이다. 안장덮개장식으로 유명한 파지리크 2호 출토품은 펠트를 조각내서 표현한 유물이 잘 알려져 있는데, 맹금동물이 굽동물을 공격하는 장면이 표현되어 있다. 4호분에는 목조로 된 호랑이 장식 한 쌍이 출토되었다. 동물을 단순히 표현하지 않았고 동물의 내부에 나선이나 동그라미로 채워졌다. 특히 엉덩이 부위에 (○) 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은 루덴코가 이미 이야기 했다.

 

 

그림 1. 파지리크 문화의 2호분 안장덮개

 

그림 2. 파지리크 문화의 4호분 호랑이 굴레장식

 

이 외에도 파지리크 문화(스키타이 문화의 알타이 지역문화)의 동물장식은 나선, 원형 등으로 채워졌다. 그런데 파지리크 문화 가운데 가장 빠른 유적인 바샤다르 유적 통나무관에는 호랑이 장식은 나선이 아닌 파상문으로 동체부를 채웠고 굽동물은 원형으로 채워졌다.

 

그렇다면 알타이에는 몸통을 채우는 문양방법이 원형 혹은 이의 변형과 파상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미 필자는 아르잔-2의 5호분 출토유물 가운데 목걸이, 모형 솥, 여성의 검과 칼을  채운 문양이 동물문양과 원형(나선형)임을 밝힌 바 있다.

 

 

 

 

그림 3. 바샤다르 유적의 통나무관 호랑이문양

 

 

그림 4. 아르잔-2호 5호묘 남성 철검

 

그림 5. 표트르 1세 동물투쟁문

 

그림 6. 파지리크 5호 여성미라의 손목문신

 

그리고 바샤다르 유적의 호랑이 몸통을 채운 파상문양(기원전 6세기)은 아르잔-2호 5호묘 남성의 철검(기원전 7세기)을 장식한 요소에서 발견된다. 또 이 문양은 표트르 1세의 동물투쟁문양 가운데 굽동물 보다 맹수가 크게 표현된 유물(그림5), 파지리크 5호 여성 손목문신(그림 6)에서 발견된다.

 

일찍이 페레보드치코바(1994)는 바샤다르 통나무관의 호랑이를 채운 파상문양을 나선형 계열의 문양과 함께 알타이 파지리크 문화의 특징적인 동물장식방법으로 지적했다. 그녀는 동물문양의 속성(구분의 기준이 되는 특징) 가운데서도 동물 표면 처리방법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 기준에서 생각해 보면 파상문양으로 채워진 호랑이는 아르잔-2호에서 가장 먼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좀 더 많은 자료를 기준으로 한 결과이기 때문에 생각해 볼 부분이 넓어졌다.

 

 

더보기

‘(○) ’ 문양과 달리 파상문양은 호랑이 몸통에서만 확인된다.

 

참고문헌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루덴코 1953, 스키타이 시대 알타이 산의 주민문화)

Е.В. Переводчикова 1994, Язык звериных образов. Очерки искусства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скифской эпохи(페레보드치코바 1994, 언어로서의 동물문양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가이모노바 유적에서 출토된 동물문양은 간두령, 머리장식에도 사용되었고 각배라고 불리는 뿔잔에서도 장식되었다. 이 유적에서는 2점이 발견되었는데 모두 동물문양으로 장식되었다.

 

뿔이나 금속제로 제작된 스키타이 각배의 존재를 알 수 있는 유적은 가이모노바 유적의 큰 각배와 이 외에도 세미브라트니예 유적의 4호와 타라예프스키 유적에서 알 수 있다.

 

가이모노바 유적에서는 큰 유물과 작은 각배가 있는데 그 중에서 작은 각배(전체 길이 27cm, 구부러진 부분은 6.2×6.9cm, 끝 부분의 길이는 4.9cm, 양 머리 길이는 2.1cm)는 양머리가 장식된 가장 끝 부분과 그 반대의 가장자리가 남아 있었다(1/3가량). 은제품이다.

 

그림 1. 가이모노바 유적의 1번 무덤방 출토 작은 각배

 

그림 2. 가이모노바 유적의 1번 무덤방 출토 1: 큰 각배와 작은 각배, 2: 큰 각배의 금판 문양

 

 

 

그림 3. 가이모노바 유적의 큰 각배의 세부

 

 

큰 유물( 전체길이 41.8cm, 금판 길이 15.5cm, 은판길이 21cm, 입구길이 6cm) 세 부분으로 나눠져서 만들어진 것인데 가장 큰 부분은 금판, 중간부분은 은판이고 중간에 두 부분을 연결하는 부위가 따로 있다. 이 중에서 금판에는 동물문양이 장식되어 있다. 좀 더 정확하게는 남성, 새, 나무가 수평적으로 3개 물체가 층위를 이루며 그려져 있다. 비드질랴는 이 유물이 당연히 스키타이 장인이 제작했는데, 다만 덩굴문양인 팔메토는 그리스 문양으로 이를 혼합해서 제작한 것으로 보았다.

 

각배는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에서는 흑해 및 카프카스 북안(흑해 좌안), 트라키아 지역에서만 제작되었고 동쪽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유물이다. 스키타이 문화에서는 말 그래도 뿔로 제작되었고 ‘뿔 모양’으로 생긴 것이다. 주로 흑해지역에서만 확인된다(막시모바 1956).

 각배는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기원전 7세기 부터 발견되지만 실제로 유물은 드물지만 전사가 그려진 석인상에서 볼 수 있다.  

 석인상 137점 가운데 40여점에서 각배가 조각된채 발견되어서  매우 애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원전 6세기 석인상도 있지만 기원전 5세기 유물이 대부분이다.  기원전 4~3세기가 되면서 크림지역에서도 유행하게 되고, 흑해 북안의 초원지역(크림 반도 북쪽)에서는 크림반도나 코카서스 지역보다는 실제 각배 보다는 석인상에서 많이 발견되고(올호프스키 2005) 금속제가 이 시점에생기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가이모노바 유적(드네프르강 유역, 흑해북안 초원지역)에서 발견된 특히 스키타이 장인이 제작한 각배는 실제로 남아 있는 유물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더보기

트라키아에서 유행한 각배는 가장 빠른 것이 기원전 5~4세기 전반이고 늦은 유물은 기원전 4세기도 있다. 하지만 트라키아에서 발견되는 각배는 그렇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참고문헌

Ольховский В. С. Монументальная скульптура населения западной части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эпохи раннего железа. – М., 2005. (올호프스키 2005, 유라시아 초원 철기시대 서부지역의 기념 석인상)

Бидзиля В. И., Полин С. В. Скифский царский курган Гайманова могила. — К.: «Скиф», 2012. — 752 с. (비드질라, 폴린 2012, 스키타이 차르의 쿠르간 가이마노바)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5. 27. 13:17 스키타이 동물장식

스키타이 문화에서 잘 알려진 동물투쟁문은 두 마리 동물이 서로를 공격하거나 맹수가 약한 동물을 공격하는 장면이다. 대부분 두 마리이지만 여러 마리가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와 비슷하지만 동물투쟁문양이 아닌 수수께끼 같은 문양이 발견되는데, 투바와 몽골에서 확인된다. 투바(미누신스크 분지)의 헴칙- 봄 유적의 골제 빗에 새겨진 문양인데, '수수께끼 그림'으로 명명되었다(그라치 1980).

몸통이 있는 산염소는 3마리이고, 그 외에도 염소머리가 2개 더 있는 다중구도이다. 굽동물이 서로 엉켜 있는데, 염소가 중앙의 염소를 타고 올라 있어서 교미장면처럼 보이기도 한다(그림 1-3, 그림 2-2). 하지만 같은 유적에서 출토된 골제 빗에는 다리를 접은 염소가 있고 동물머리 3개가 더 표현된 유물도 있는데(그림 1-1, 그림 2-1), 모두 수수께끼 그림으로 불려졌다.

 

그림 1. 투바의 헴칙 봄 유적 출토 유물

 

그림 2. 수수께끼와 같은 동물장식, 1,2-헴칙 봄 유적, 3-타스몰라 유적, 4-사글리-바쥐 유적, 5-울란 곰 유적

 

카자흐스탄의 타스몰라에서는 맹금머리를 형상화 한 장식판에 멧돼지 아래에 염소 머리 3개가 덧붙여져 있다(그림2-3). 멧돼지 머리 위에는 구멍이 있는데 이음쇠를 끼우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뿔의 표현이라고 보기도 한다(그라치 1980). 하지만 멧돼지의 뿔(하이브리드 동물)이라고 생각하는 연구자도 있지만 타스몰라 문화를 연구한 카드이르예프(1979)는 멧돼지와는 독립된 작은 머리라고 한다. 또 멧돼지라고 보이는 동물의 몸통표현이 매우 애매해서 멧돼지 혹은 사슴일 수도 있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스키타이 동물 스타일에서 모든 굽 동물의 몸통은 동물의 종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표현되는데 이 유물은 원칙을 벗어난 것이다(페레보드치코바 1994).

 

그라치는 하나의 형상에 여러 동물의 특성이 혼재한다고 보았지만, 페레보드치코바는 하이브리드 형상이라고 보지 않았다. 스키타이시대 하이브리드 동물은 규칙적으로 표현된 어떤 동물이 명확하게 결합되는지 알 수 있지만 이 동물형상은 그런 규칙성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투바의 아르잔 고분보다 더 이른 사슴돌의 사슴표현과 더 유사한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사슴돌에 그려진 부리모양 입을 가진 사슴 표현과 일맥상통한다고 보았으나, 이 부분은 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어쨌든 페레보드치코바는 ‘수수께끼 같은 동물장식’이 스키타이 동물양식이 등장하기 이전부터 있어왔던 문양으로 이해했고, 스키타이 동물양식의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한 문양요소로 본 것이다. 그라치는 스키타이 동물양식 중에 하나로 생각했다.

종이 한 장 차이처럼 보이는 견해이지만 또 다르게 생각하면 차이가 큰 관점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П.В. Агапов, М.К. Кадырбаев Сокровища древнего Казахстана.Памятники материальной культуры.// Алма-Ата: Жалын. 1979. (아가포프, 카드리예프 1979 고대 카자흐스탄의 유물)

Грач А.Д. Древние кочевники в центре Азии 1980(그라치 1980, 중앙아시아의 고대 유목민)

Переводчикова Е.В. 1994 : Язык звериных образов. Очерки искусства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М.: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1994. 206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4 5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