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0년 전 시베리아의 우코크 고원에서 발견된 남성미라는 활과 화살로 보아서 기마전사였을 것으로 러시아학계에서는 생각하고 있다.
앞에서 스키타이 문화의 전사는 활과 화살 외에도 검과 투부라고 하는 전투용 도끼가 이 시대 군인의 필수품이었다.
이 남성전사도 전투용도끼와 검이 있는데, 재밌는 사실이 있다.
그림 1.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기마전사의 투부
전투용 도끼는 길이 76cm의 나무 자루에 철제로 된 도끼머리이다. 길이는 20~24cm가량으로 철제로 된 실제크기의 전투용도끼이다(쿠바레프 1992).
도끼자루의 단면은 타원형이다. 앞에서 아크 알라하 1유적의 2호분 어린 아이의 무덤에서 발견된 소형 투부도 도끼자루가 타원형이었다. 쿠바레프(1987)는 손잡이가 타원형인 것은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그렇다면 이 투부는 머리는 실제 전투용이지만, 자루는 실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것으로 보인다.
이 남성의 우측 허벅지 부근에서 모피코트 안에서 검집에 들어 있는 검(그림 2,3)이 발견되었다. 검집과 검은 모두 나무로 제작된 것이다.
목검은 파지릭 문화에서는 아주 드물게 확인되는데, 축소된 크기로 확인된다. 비슷한 유물이 울란드릭 유적의 1호분에서 발견된 바 있다(쿠바레프 1987).
그림 2. 베르흐 칼쥔 II 유적의 3호분 기마전사의 목제 검(오른쪽이 검이 보이는 부분)과 검집(왼쪽)
그림 3. 베르흐 칼쥔 II 유적의 3호분 기마전사의 목제 검(필자촬영), 그림 2와 동일유물, 하단에 붉은 색 칠한 흔적이 약간 남아 있다.
검집은 앞과 뒤가 같은 모양이 아니라 착용한 사람의 바깥쪽 부분이 나무로 만들어진 것이다.
검집의 반대부분은 검의 날 모양을 그대로 삽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이 면은 실제로는 직조물 혹은 가죽으로 덮었을 것이다. 검집의 아래 부분은 물방울 모양이고, 처음 발견될 당시에는 붉은색으로 칠한 흔적이 남아 있다.
단검은 실제 착용 할때에 남성의 우측 허벅지 부근까지 내려오도록 해서 사용했을 것인데, 이는 스키타이 문화에서 확인되는 대부분의 검을 착용하는 방법이다.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남성은 실제로는 철제검을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하며, 컷을 것인데, 어제 포스팅한 복원도 가운데서 말을 탄 전사의 검이 철제 검이었던 것은 실제로 출토된 것과는 다르다. 실제 출토품인 목제검을 바탕으로 실제로 사용했을 법한 철제 검으로 복원한 것이다.
모피를 입은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남성은 목걸이, 새머리 고깔모자, 목제 검은 실제로 사용하지는 않았을 법한 의례용 혹은 부장용으로 제작되었던 것이다.
투부는 애매한 유물이다. 투부의 자루는 타원형으로 실제사용하면 불편하다는 의견이 있지만, 도끼자루는 실제 전투용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87 : Курганы Уландрыка. Новосибирск: 1987. 304 с.(쿠바레프 1987, 울란디르크 유적)
Кубарев В.Д. 1992 : Курганы Сайлюгема. Новосибирск: 1992. 224 с.
Молодин В.И., Полосьмак Н.В., Чикишева Т.А 2000, Феномен алтайских мумий. Новосибирск: 2000. 320 c.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 > 베르흐 칼쥔 2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라가 된 2500년 전 시베리아 기마전사 (3) | 2020.07.04 |
---|---|
시베리아에서 나온 2500년 전 뿔 잔 (0) | 2020.07.03 |
2500년 전 시베리아 남성미라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0) | 2020.07.02 |
2500년 전 시베리아 기마전사의 허리띠 (0) | 2020.07.01 |
2500년 전 시베리아의 얼리 어답터 (0) | 2020.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