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타이 문화권 가운데 흑해지역에서 나타나는 남성형상물은 기원전 7세기 벨스크 성곽에서 출토되는 토제품을 시작으로 해서 기원전 5~기원전 4세기까지, 이 문화의 마지막 까지 발견되었다. 그러나 어떤 특정한 유물에서 발견된다지 않는다. 그리고 유물마다 나타나는 형식에도 차이가 있어서 특정 인물로 간주하기에는 힘들었다(김재윤 2023a).
그런데 여성형상물은 다르다. 기원전 7세기경에 나타나는 여성형상물 A는 날개를 달고 있고, 맹수를 손에 쥐고 있다. 이 모습은 거울과 각배 속에 표현되어 있는데, 기원전 4세기까지 나타난다. 물론 여성형상물의 세세한 표현과 이 여성형상이 새겨진 유물에는 차이가 있다.
이를 분류해 보았는데, 기원전 7세기 전통이 남아 있는 맹수를 쥐고 있는 여성형상 A-1과 맹수가 아닌 사물을 들고 있는 여성형상 A-2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맹수를 쥐고 있는 여성형상물 가운데는 머리에 관을 쓰고 있는 것이 알렉산드로폴 유적에서 나왔다. 이 여성형상물은 간두장식으로 사용된 것이다. 톨스타야 마길라 유적에서 나온 여성형상물은 관을 장식하던 관자놀이의 끝장식(그림 1-3)에 표현된 것이다. 이 무덤의 여성 주인공은 스키타이 원통형관(그림 2-11)을 착용한 채 매장되었다.
그림 1. 스키타이 여성형상물의 분류
스키타이 여성들의 무덤 속에서 간혹 발견되는 스키타이 원통형 관은 유기질제 모자에 납작한 금속판을 쌓아서 올려 붙인 것이다.
그림 2. 스키타이 여성의 관
맹수가 아닌 다른 사물은 식물, 뱀, 사람머리, 단검 등을 양 손에 쥐고 있는 여성형상물(그림 1-9,10)이다. 날개를 달고 있는 모습 등은 기원전 7세기부터 이어져 온 유물과 유사하다. 그러나 맹수가 아닌 여성형상물 A-2는 그리스 칼라프(그림 2-14)를 착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유물이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 쿨-오바 유적에서 나온 것이다.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에서는 실제로 그리스 칼라프도 나왔다. 이런 여성형상물은 장식판, 마면장식, 골제 빗 등 다양한 유물에서 발견된다.
기원전 5세기에는 그 이전에 나오지 않던 여성과 남성이 함께 나오는 유물(그림 2-14)도 있다. 거울을 들고 있는 여성이 앉아 있고, 각배를 들고 마시고 있는 남성과 마주하는 장면이다. 이 여성도 스키타이 원통형관을 착용하고 있다. 이 여성형상물 B는 다른 유물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방형의 장식판에만 확인된다. 출토위치로 보아서 무덤 주인공 여성의 관에 달렸던 베일 장식으로 추정하고 있다. 스키타이 전통의 여성형상물로 생각된다.
기원전 5세기 이후 여성형상물 A-1은 대형고분 뿐만 아니라 소형무덤에서도 나오고, 아주 조잡하게 만들어지기도 해서 다양하게 소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성형상물 B는 대형고분에서만 발견되고, 특정한 유물에만 적용되고 있다. 이 점은 동시기의 남성형상물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그렇다면 대형고분에서만 나오는 여성형상물 B는 동일한 모습으로만 나오는데 당시에 이 여성에 대한 숭배가 있었을 수 있다. 또 무덤의 주인공은 이를 모시던 사제이거나 했을 수 있다. 러시아의 학자들은 여성형상물 B를 기록(헤로도토스) 속의 타비티(Табити, Tabiti)로 여기고 있다.
그리고 여성형상물 A-2가 나오는 시기(기원전 4세기)의 무덤에는 그리스 유물도 많이 출토되고, 스키타이 사회에 그리스 유물이 많이 수입되던 시기이다. 이 시점을 기점으로 스키타이 문화는 사르마트 문화로 대체되는데, 혼란기의 양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김재윤 2023b).
*앞의 포스팅에서 타비티를 티파티라고 잘 못 적었다...죄송합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 > 흑해의 여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 (7) | 2023.02.20 |
---|---|
전통의 극대화: 부활과 숭배 (2) | 2023.02.17 |
숭배의 대상: 신화 속의 여신상1 (2) | 2023.02.16 |
전통의 극대화: 부활과 숭배 2 (0) | 2023.02.14 |
전통의 극대화: 부활과 숭베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