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에 해당되는 글 194

  1. 2023.06.05 스키타이 문화에 있었던 여성숭배20
  2. 2023.05.16 스키타이 전사14
  3. 2023.04.28 나무끝에 달린 청동으로 된 남성10
  4. 2023.04.25 진짜 '파파이'일까?4
  5. 2023.02.20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7

 

스키타이 문화권 가운데 흑해지역에서 나타나는 남성형상물은 기원전 7세기 벨스크 성곽에서 출토되는 토제품을 시작으로 해서 기원전 5~기원전 4세기까지, 이 문화의 마지막 까지 발견되었다. 그러나 어떤 특정한 유물에서 발견된다지 않는다. 그리고 유물마다 나타나는 형식에도 차이가 있어서 특정 인물로 간주하기에는 힘들었다(김재윤 2023a).

 

그런데 여성형상물은 다르다. 기원전 7세기경에 나타나는 여성형상물 A는 날개를 달고 있고, 맹수를 손에 쥐고 있다. 이 모습은 거울과 각배 속에 표현되어 있는데, 기원전 4세기까지 나타난다. 물론 여성형상물의 세세한 표현과 이 여성형상이 새겨진 유물에는 차이가 있다.

 

이를 분류해 보았는데, 기원전 7세기 전통이 남아 있는 맹수를 쥐고 있는 여성형상 A-1과 맹수가 아닌 사물을 들고 있는 여성형상 A-2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맹수를 쥐고 있는 여성형상물 가운데는 머리에 관을 쓰고 있는 것이 알렉산드로폴 유적에서 나왔다. 이 여성형상물은 간두장식으로 사용된 것이다. 톨스타야 마길라 유적에서 나온 여성형상물은 관을 장식하던 관자놀이의 끝장식(그림 1-3)에 표현된 것이다. 이 무덤의 여성 주인공은 스키타이 원통형관(그림 2-11)을 착용한 채 매장되었다.

 

그림 1. 스키타이 여성형상물의 분류

 

스키타이 여성들의 무덤 속에서 간혹 발견되는 스키타이 원통형 관은 유기질제 모자에 납작한 금속판을 쌓아서 올려 붙인 것이다.

 

그림 2. 스키타이 여성의 관

 

맹수가 아닌 다른 사물은 식물, 뱀, 사람머리, 단검 등을 양 손에 쥐고 있는 여성형상물(그림 1-9,10)이다. 날개를 달고 있는 모습 등은 기원전 7세기부터 이어져 온 유물과 유사하다. 그러나 맹수가 아닌 여성형상물 A-2는 그리스 칼라프(그림 2-14)를 착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유물이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 쿨-오바 유적에서 나온 것이다.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에서는 실제로 그리스 칼라프도 나왔다. 이런 여성형상물은 장식판, 마면장식, 골제 빗 등 다양한 유물에서 발견된다.

기원전 5세기에는 그 이전에 나오지 않던 여성과 남성이 함께 나오는 유물(그림 2-14)도 있다. 거울을 들고 있는 여성이 앉아 있고, 각배를 들고 마시고 있는 남성과 마주하는 장면이다. 이 여성도 스키타이 원통형관을 착용하고 있다. 이 여성형상물 B는 다른 유물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방형의 장식판에만 확인된다. 출토위치로 보아서 무덤 주인공 여성의 관에 달렸던 베일 장식으로 추정하고 있다. 스키타이 전통의 여성형상물로 생각된다.

기원전 5세기 이후 여성형상물 A-1은 대형고분 뿐만 아니라 소형무덤에서도 나오고, 아주 조잡하게 만들어지기도 해서 다양하게 소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성형상물 B는 대형고분에서만 발견되고, 특정한 유물에만 적용되고 있다. 이 점은 동시기의 남성형상물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그렇다면 대형고분에서만 나오는 여성형상물 B는 동일한 모습으로만 나오는데 당시에 이 여성에 대한 숭배가 있었을 수 있다. 또 무덤의 주인공은 이를 모시던 사제이거나 했을 수 있다. 러시아의 학자들은 여성형상물 B를 기록(헤로도토스) 속의 타비티(Табити, Tabiti)로 여기고 있다.

그리고 여성형상물 A-2가 나오는 시기(기원전 4세기)의 무덤에는 그리스 유물도 많이 출토되고, 스키타이 사회에 그리스 유물이 많이 수입되던 시기이다. 이 시점을 기점으로 스키타이 문화는 사르마트 문화로 대체되는데, 혼란기의 양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김재윤 2023b).

 

*앞의 포스팅에서 타비티를 티파티라고 잘 못 적었다...죄송합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흑해 스키타이 문화에서 남성의 형상은 간두령 뿐만 아니라 금제 그릇과 장식판에서도 볼 수 있다. 금(쿨-오바 유적)과 은(차스티예 유적) 항아리의 남성들은 기록(헤로도투스) 속의 타르기타우스라고 생각하기도 하고, 일상생활과 관련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타르기타우스는 스키타이 땅에 처음 나타난 사람으로 알려져 있고 그의 셋째 아들이 스키테스인데, 세 아들 가운데 땅을 물려 주기 위해서 경합을 벌리는 장면으로 많이 회자된다.

 

항아리의 생김새도 유사하고, 남성들이 등장하며 특히 고리투스를 착용하고 있는 남성 때문에 스키테스를 떠올리는 것 같다. 그는 타르기타우스의 막내아들로 고리투스를 다룰 수 있었기에 스키타이 땅을 물려 받았던 인물이다.

 

장식판 가운데 두 남성이 각배를 들고 맹세를 하는 장면은 확실히 기록에 있는 “맹약의식”으로 보이지만, 이야기의 중심은 남성이 누구인지가 아니라 맹약의식이라는 행위이다.

 

간두령에 달린 남성, 항아리 속의 남성, 각종 장식판에 나오는 남성들이 과연 신화 혹은 기록 속의 인물일까?

 

이들은 스키타이의 전통적인 남성이거나 특정 영웅일 수도 있지만 의인화 된 신으로 보기는 힘들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여성과 비교해 볼 때 기원전 7세기부터 지속되거나(아르김파사), 기원전 5세기 이후에 나오는 여성(타피티)처럼 똑같은 모습으로 반복적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여성형상물이 후기구석기시대 이래로 지속적으로 제작되지만 남성형상물은 스키타이 문화가 되어서야 만들어진다. 인간형상물 가운데 남성에 대한 관념이 변했을 수는 있고, 스키타이 전통 남성일 수 있지만 기록 속의 인물들로 단정하기는 쉽지 않다.

 

그림 1. 기원전 5세기 이후 흑해 스키타이 문화의 전사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드네프르 강 유역에서 발견된 간두령 끝에 달려 있는 남성은 파파이(그림 1-1)로 여겨진다. 간두령은 자세히 보면 나뭇가지 모양으로 뻗어져 있고, 그 끝에는 새가 달려 있다.

 

이 유물은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채집된 것이기 때문에 연대를 알기 쉽지 않다. 그러나 다행히도 드네프르강 유역의 수많은 유적 중에서 알렉산드로프키폴 유적의 유물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다. 납작한 원판을 흔들리도록 단 방법, 청동방울과 새를 간두령에 장식하는 방법? 혹은 행위 등은 알렉산드로프스키폴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그림 1-3,4,5,6)과 유사하다.

즉 기원전 4세기 유적에서 볼 수 있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유물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청동으로 된 남성이 파파이로써 만들어 진 것인지는 모른다.

 

 

그림 1. 스키타이 남성들

 

 

그런데 스키타이 연구자들은 세계수, 간두령을 생긴 모습으로 그 뒤의 정신적인 부분을 해석하고자 했다. 지팡이 혹은 막대기 끝에 끼워서 사용되는 청동으로 된 장식(간두)은 유목민의 세계관이 녹아 있는 유물이라고 라에프스키, 페레보드치코바 등이 이미 연구 한 바 있다.

나무가 뿌리내리고, 자라고, 뻗어있는 장소가 지하, 지상, 하늘이고, 나무의 구조대로 우주의 3세계가 구성된다고 하는 유목민의 관념 축소한 것이 간두령 혹은 간두장식이다. 그리고 이 유물은 전통적인 스키타이 유물이다.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발견된 이 청동 남성이 정말로 파파이 인지는 모르지만, 간두령 장식으로 사용된 점은 그냥 지나가는 남성은 아니었을 것이다. 특별한 사람 혹은 영웅일 수도 있다. 그러나 스키타이 여성형상물처럼 오랫동안 사용었거나, 특정인물이 반복적으로 나오는 것은 아니다. ‘파파이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물론 스키타이 남성들은 간두령에서만 발견되는 것도 아니다.

 

(, 파파이는 스키타이 신으로 남성신 중에 한명이다. 헤로도투스는 그를 제우스와 비교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전 지역으로 보았을 때 여성형상물은 시베리아, 동유럽 모두 후기구석기시대부터 출토된다. 그럼 남성형상물은 어떨까?

 

남성형상물은 시베리아 말타 유적에서는 여성형상물보다 숫자는 적지만 남성상징 모양으로 매우 간단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신석기시대와 순동시대에는 여성과 남성 등 성을 구분하지 않은 여성형상물이 출토되었다. 청동기시대 오쿠네보 문화에서는 여성형상물과 남성형상물이 모두 확인된다. 철기시대 스키타이 문화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동유럽에서는 흑해북안의 스키타이 문화가 되면 남성형상물이 나오기 시작한다. 앞서서 이야기 했지만, 벨스크 성곽 유적의 주거지 내에서 출토된 토제로 된 것이다(그림 1). 이는 ‘파파이’라고 발굴자는 보고했다. ‘파파이’는 기록속에 나오는 스키타이 신 중에 한명이다. 헤로도투스는 ‘파파이’가 제우스라고 했다(IV.59).

 

그가 과연 파파이 일까?

파파이라고 추정한 이유는 기존에 알려진 유물 가운데 청동의 간두장식 위에 장식된 남성을 일컬어 ‘파파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또 벨스크 유적의 성곽 규모나 그 내부에서 나온 의례 흔적 들 때문이기도 하다. 너무 간단한 이유라고 할 수도 있지만, 또 아니라고 하기도 딱히 마땅치 않다. 아마도 시람코는 자기가 발굴한 유적이 대단하기를 바랬을 것이다. 필자라도 그랬을꺼 같다.

 

그림1. 기원전 7세기 벨스크 유적의 토제 남성형상물

 

 

 

그런데 간두장식 위에 달려 있는 남성(그림 2)은 왜 파파이가 되었을까?

사실 간두령이나 간두장식은 스키타이 유목민의 정신세계와 관련된 유물이다. 필자가 이야기 한 것은 아니고, 이미 많은 연구를 한 페레보드치코바나 라에프스키 등이 이에 대해서 적은 바 있다. 이 블로그에도 이미 소개되었다.

 

그림2. 기원전 5세기 드네프르강 하류에서 수집된 간두 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5. 인간형상물의 극대화와 스키타이의 멸망

 

 

필자의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은 필자가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여성형상물을 대상으로 그 모습이 극대화 되어서 나타나는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 동부지역의 미라와 서부지역 인간형상물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특히 여성형상물 뿐만 아니라 무덤의 구조 등도 설명해서 평소에 관심은 있지만 접근성 때문에 인용되지 못했던 러시아 자료를 소개하고 싶었다. 뿐만 아니라 후기구석기시대부터 인간형상물이 유적에 부장되는데 그 의미도 찾고자 했다.

알타이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여성미라

 

이미 주류성 출판사에서 펴낸 경희대학교 강인욱 교수님이 번역하신 알타이 초원의 기마인이 있어서 독자들은 많은 도움을 받았을 것이지만, 중간에 언급되는 파지리크 유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한 부분이었다. 흑해지역의 자료는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설명되지만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아서 평소에 강의에서 하던 자료를 책으로 출판한 것이다. 또 글 후반부의 여성형상물은 필자가 책을 펴낸 후에 작성된 논문(김재윤 2022b)을 바탕으로 내린 결론을 덧붙인 것이다.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은 초원지역의 대()문화권은 고고자료로 무기, 마구, 동물문양장식을 공통성으로 여기지만, 이러한 배경에는 경제공동체라는 관념이 있다. 하지만 인간사는 세상이니 지역마다 차이는 있을 수 밖에 없다. 가장 큰 차이점을 보이는 지역은 유적이 많은 시베리아와 흑해지역이고, 페레보드치코바가 동물문양장식의 특징에서 동과 서로 구분한 곳이기도 하다.

 

필자가 생각할 때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까지 시베리아에서는 인간형상물을 만들어 무덤 속에 넣는 행위는 곧 부활이라는 관념 혹은 염원과 상통한다. 그 관념이 이어져서 현존하는 시베리아 민족들에게도 나무 속의 아이를 묻어두는 풍습이 남아 있다. ‘미라는 인간형상물이 극대화된 모습인데, 기원전 5~4세기 알타이에서만 볼 수 있다.

반면에 흑해 부근을 비롯한 동유럽에서는 다산을 염원하는 행위로부터 시작된다. 후기구석기시대 유럽의 퉁실한 비너스상들도 같은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념은 순동시대인 쿠쿠테니 트리폴리예 문화까지도 지속된다. 마을에서 소수의 집에서 발견되는 비대한 모습의 여성형상물들의 부장양상은 유사하다. 쿠쿠테니-트리폴리예 문화 후반부로 가면서 무덤에 부장되는 것들도 발견되어 인간형상물을 묻는 관념에 변화가 생겼다.

기원전 7세기 흑해지역이 스키타이 문화가 되면서도 다산에 대한 갈망은 스키타이 여신인 아르김파사로 나타난다.

하지만 기원전 5세기 이후는 사뭇 다르다. 여성형상물과 남성형상물은 어떤 인물들에 대한 숭배로 보인다. 거대한 무덤 속에서 출토되는 여성형상물과 그것을 닮은 스키타이 칼라프를 쓴 왕비들은 존경을 받았는지, 스스로 숭배의 대상인 신()이 되고자 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은 괴기스러운 인간형상물이 만들어지고, 인간이 신격화 된 이후에 점점 없어지게 된다. 기원전 4세기가 되면 시베리아의 동쪽에서는 흉노, 흑해북안에서는 볼가강 유역에서 밀려 들어온 사르마트 문화로 대체된다.

 

 

참고문헌

김재윤 2023,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 전통의 시작부터 극대화까지」, 『한국의 고고학』, 58호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