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교과서 밖의 역사 2: 카자흐스탄과 중국신강/신석기시대'에 해당되는 글 4

  1. 2019.10.09 5000여 년 전 통요(通遼)의 불난 집 이야기..
  2. 2019.08.01 중국 신강성 '석기시대' 개념의 문제점
  3. 2019.07.03 중국 신강성과 카자흐스탄의 신석기문화비교1
  4. 2019.07.03 ‘신석기혁명’과 중국 신강성의 석기시대

별로 눈길끄는 이야기가 없는 이 공간에서 오늘은 약간 흥미로운 유적을 소개드리고자 한다.

필자가 지난 6월에 답사 다녀온 박물관을 소개해 드린 적이 있다.

 

2019/06/24 - [세계의 박물관/중국의 박물관] - 합민망합 유적(哈民忙哈) 박물관

 

합민망합 유적(哈民忙哈) 박물관

올해의 첫 번째 답사를 다녀오고, 두 번째 답사를 준비하면서, 일주일도 안된 기억이 가물해진다. 첫 번째 답사는 주로 중국의 몽골지역인 내몽골지역이었다. 꼭 보고 싶은 유적의 유물이 오늘 소개할 곳이다. 왜..

eastsearoad.tistory.com

 

사실 필자가 앞으로 홍산문화 옥기와 관련해서 많이 자료를 활용할 것인데,

중국 내몽골 통요부근에 있는 하민망합 유적이다.

 

(아래 구글 지도를 클릭하시면, 박물관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다. 유적 위에 박물관을 지었음으로 그 곳이 유적의 위치도 된다. 구글지도와 포토 기능 너무 좋다....ㅋㅋ, 아래에 붉은 워터마크 표시가 박물관의 입구이다.)

 

https://www.google.com/maps/place/43%C2%B058'45.7%22N+122%C2%B012'59.7%22E/@43.9805481,122.2100397,2115m/data=!3m1!1e3!4m5!3m4!1s0x0:0x0!8m2!3d43.9793694!4d122.2165833

 

 

43°58'45.7"N 122°12'59.7"E

102 Xiang Dao, Keerqinzuoyizhong Qi, Tongliao Shi, Neimenggu Zizhiqu, 중국

www.google.com

이 유적은 5년에 걸쳐서 주거지 78기와 무덤 14기를 발굴했다 한다.

필자가 이 유적에 대한 분석을 끝낸 건 아니지만, 아는 한에서 설명하면

 

유적 전체 분포도

 

 

이 유적은 ‘홍산문화의 주거지+홍산문화에서 볼 수 없었던 토기+홍산문화와 비슷한 옥기+그 외 홍산문화와 다른 석기’로 이해된다. 연대는 5500~5000년 전에 해당되며, 홍산문화의 가장 늦은 시기인 5기(5000~4400년 전, 김재윤 2019)보다 빠르다.

당연히 앞으로의 논점은 이 유적이 홍산문화의 것인지 아닌지. 혹은 홍산문화 자체에 대한 검토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이 유적에는 40호 주거지 안에 사람이 98기가 들어간 채로 발굴되었다.

98기는 시신이 완전히 사지가 굽어진 것이다. 사후강직이 일어나기 전에 누군가 98기의 시신을 굽혀서 한 주거지에 넣었다고 볼 수 있다. 당연히 우연히 이렇게 한 건 아닐 것이다. 집터를 무덤으로 사용한 것이다.

책에는 전염병이 가능성이 제기 되었다(아래참고문헌). 이 유적에는 여러 집터에 인골이 묻혀 있는데, 40호를 제외하고 6인, 17인, 22인 등이 묻힌 집터도 있다. 무덤에 인골을 집어 넣은 것도 의도적이었고, 집에 불낸 것도 의도적이다. 불난 집은 12채이다. 불난 집 모두가 무덤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보고서가 완간 된건 아닌데,, 하단에 소개해 둘 책으로만 끝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런데 완전히 보고서 나오기 전에 이런 책이 나온 거 보면....이걸로 끝내려는 생각이 있는 것도 같다....)

 

40호 집터 안의 98인이 확인된 정황.
37호에는 22인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화재난 주거지인지 알 수 있는 것은 집터의 가장 하단에 남아 있는 것이 집을 지었던 목재의 흔적이다. 

 

32호는 불은 났는데, 인골을 뭍고 불을 낸건 아니다. 무덤으로 쓰지 않았다. 그러나 불나면서 죽은 사람은 확인되었다.

 

아마 여러방면에 학자들이 연구하면 재밌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나같이 유물과 유적중심으로 연구하는 사람이 보면, 한 가지 더 떠오르는 생각.

 

신석기시대 늦은 시기로 갈수록 무덤과 집은 구분된다(김재윤 2017).

즉 이 단계는 이미 무덤이 마을유적과는 별도로 확인됨으로 이런 현상은 더욱 이래적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통요(通遼)는 그간 유적이 많지 않아서 사람들이 주목하지 않았는데....

너무 좋은 유적이 중국에서 보고되고 있다.

너무 좋은? 연구하기에 좋은....슬슬 시작해야 할 것 같다.

 

 

 

참고문헌

內蒙古文物考古硏究所, 香港中文大壑中國考古藝術硏究中心, 2018, 『哈民玉器研究』, 中國書房

김재윤 2016, 5000B.P.이후 평저토기문화권 동부지역의 무덤으로 전용된 주거지에 대한 이해, 한국신석기연구

김재윤 2019,  「홍산문화의 편년에 대한 검토-‘압인之자문토기’를 중심으로」, 『고고학』, 18-2호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중국에서는 신강의 청동기시대 이전을 「석기시대」라는 개념으로 사용하는데, 이 지역의 세석기문화는 중국 세석기문화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감숙성과 녕하 지역의 신석기문화는 토기가 상당히 발달한 문화인데, 만약 신강지역의 세석기가 그 지역에서 기원했다면, 그 지역 토기양상이 신강지역에서 파악되지 않는 점은 그들 연구의 모순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국중심의 연구관점에서 기인한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이 지역에서 세석기가 늦게까지 존재한다는 이유로 단순히 석기시대개념으로 볼 수 없다고 생각한다. 우스티- 나림 유적에서는 160,000여점의 골각기와 석기가 출토되었다. 이를 「석기시대」로 단순화 할 수 있을까? 중국 신강성과 같은 문화권을 이룬 카자흐스탄, 몽골, 시베리아 학계에서는 신석기시대 개념을 사용한다. 즉 이 지역은 4500년 전부터 석기양상이나 유사한 것으로 파악되나 국가 별로로 연구되면서 시대개념에 차이가 있다. 문화권별로 연구되었다면 좀 더 적합한 개념에 접근했을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가 동아시아 신석기시대의 개념을 토기사용이 빈번하지 않는 중앙아시아와 비교하면서 기인했다고 생각한다.

한국 및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의 신석기시대는 토기 등장을 기준으로 한다. 신석기시대는 러복(J.Lubbok)(1865)이 작물재배, 동물길들이기, 토기발명을 시대개념으로 규정하고, 이를 고든 차일드(V. Gordon Childe)는 농경을 기본으로 한 ‘신석기혁명’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시베리아 및 극동의 신석기시대를 조사한 오클라드니코프는 고든 차일드의 신석기혁명이라는 개념이 동아시아에서는 통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한 바 있다.

 

 최근 전통적인 신석기시대 개념을 반박하는 주장이 좀 더 구체적으로 제기되었다. 토기의 발생시기는 후기 구석기시대이고 동아시아에서부터 발명되었다는 것이다. 현재 자료로서 13000년 이상 올라가는 유적이 있는 곳은 아무르강 하류, 일본, 중국(그림15)등이고, 17000년 전 홀로세 이전부터 동아시아유적에서 출토된 예도 있다. 기원지는 새로운 발굴로 바뀔 수 있지만, 신석기시대의 기준이 된 홀로세(전신세)이후에 토기가 발명된 것이 아니라 이미 플라이스토세의 사냥채집민(후기구석기인)들에 의한 것이다.

 필자가 주목하는 점은 토기가 모든 지역에서 균일한 시점에 발생되지 않았으며, 신석기시대 개념의 기준이 된 유럽 및 근동 보다 오히려 동아시아에서 빨리 토기가 발명되었다는 점이다(그림15).

 

그림15. 토기발생지역비교(P.Jordan, M. Zvelebil 2010재인용)(김재윤 2019)

 

 따라서 토기등장을 기준으로 한 신석기시대 개념은 유럽, 근동, 중앙아시아 등과도 다른 동아시아 특유의 개념이다.

그렇다면 카자흐스탄 동부, 중국신강, 몽골의 4500년 전 지역은 토기 발생 혹은 토기사용을 근거로 한 동아시아의 신석기시대개념으로 설명할 수 없다. 이는 중국 신강지역이 동북아시아와는 다른 선사문화권임을 증명한다.

우스티-나림유적에서 보이는 유물의 양상은 토기사용이 그렇게 빈번하지 않았거나 토기를 대신하는 다른 저장도구 혹은 조리도구가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동아시아 선사시대 연구에서 토기는 시대 및 시기구분, 지역성 등 모든 연구의 기준이 되고 있지만 중앙아시아에서는 이 점이 통하지 않고, 오히려 석기양상이 이 지역의 특징을 대변할 수 있다.

중앙아시아 지역은 본고의 연구대상 시대 이후에는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에도 주요한 유적의 성격은 무덤이라는 점에서 의례중심의 사회이다. 또한 동아시아보다 일찍 금속기를 사용하게 되면서 청동기시대 카라숙문화에서 본격적으로 청동검이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세 번에 걸쳐 제국을 형성하지만 근대 중국의 대포에 의해서 제국이 굴복되었다는 점은 곧 무기로 인해서 사회가 변화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합식석인검과 조합식검은 이 사회를 대변하는 유물 중에 하나는 무기로 볼 수 있다. 이후의 청동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스키타이 문화권 등으로 이어지는 문화에서 청동검이 등장하기 이전에 특징적인 유물로서 유목사회의 연속성이 무기에서도 관찰된다고 볼 수 있다.

조합식석인검과 조합식석검의 분포범위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연구된 바가 없다. 시베리아의 세로보문화 및 글라스코보문화에서 확인되는 조합식검은 가장 동쪽 분포범위가 요서지역의 소하연문화까지 확인된다(김재윤 2018b). 이 문화의 조합식검도 양면떼기 한 석기를 끼워 넣었다.

 

 따라서 중국 신강의 석기시대라고 불리는 시대는 4500년 전께 동아시아보다는 검의 형태를 갖춘 유물이 일찍 확인되고, 석기와 골각기가 주된 유물이며, 토기가 주요하게 사용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동북아시아 신석기시대 개념과 맞지 않고 문화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중국 내의 문화보다는 오히려 인접한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유라시아 초원사회의 개념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김재윤(2019)에서...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필자가 중국 신강성의 석기시대로 논문을 쓸 수 있었던 것은 인접한 카자흐스탄과 몽골의 신석기시대와 공통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신강성의 천산산맥은 동서방향 보다는 약간 틀어져서 비스듬하게 흐르고, 몽골지역과도 접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과도 접하고 있다. 특히 천산산맥은 고기산지로 산맥사이로 강이 흐리고 있는 지형이어서, 산맥이 문화의 경계가 되는 것이 아니라, 산맥 사이로 흐르는 강을 따라서 문화가 이동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러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것은 유물 때문이다.(아래 포스팅의 그림 참고)

 

2019/07/03 - [교과서 밖의 역사:유라시아선사시대/신석기시대] - ‘신석기혁명’과 중국 신강성의 석기시대

 

 

카자흐스탄은 매우 넓은 나라이다. 현재의 수도인 누루술탄이 있는 카자흐스탄의 북부지역은 원래는 남부시베리아로 명명했던 곳이다. 러시아는 영국과는 ‘The Great Game’이라고 불리는 전쟁에서 이 지역에 떠돌던 ‘카자흐’라고 불리는 사람들을 모아서 국가를 만들었다. 원래 중앙아시아의 맹주는 제국이라고도 하는 ‘돌궐’사람들의 나라인 우주베키스탄이다. 이들을 견제하고, 인도를 차지한 영국을 견제하기 위해서 카자흐인들을 불러모아서 카자흐스탄을 만들어줬다고들 한다. 일종의 이이제이(以夷制夷)전략이다. 러시아인들이 매우 잘 쓰는 방법이다.

카자흐스탄을 설명하다가 약간 딴 곳으로 셌는데, 그만큼 그들의 영토는 넓고 자연환경도 매우 다양하다. 천산산맥과 접한 동부, 시베리아 바로 남쪽의 북쪽, 아랄해 등 다양한 자연환경에 따라서 이 지역의 신석기문화도 다양하다.

본고에서는 중국 신강성의 소위‘석기시대’문화를 파악하기 위해서이기 때문에 영역을 소분할 필요가 있다.

 

 카자흐스탄의 신석기문화는 신강성과 인접한 동부지역 뿐만 아니라 북부, 아무다리야 강의 상류, 하류 등에서 알려졌다(그림 4). 북부지역에는 우랄산맥의 동쪽지역 신석기토기와 비슷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지만, 최근에 새롭게 밝혀진 바에 의하면 시베리아 및 카자흐스탄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토기가 존재하며 그 문화는 마흐안다르스카야 문화로 밝혀졌으며 카자흐스탄의 다른 지역에서 출토되지 않는 토기이다. 첨저토기이지만 우랄산맥이동에서 보이는 것과는 달리 구연부가 외반하는 기형으로 바닥의 끝이 매우 뾰족하며 전면이 마연되었다. 뿐만 아니라, 천산산맥의 산지에서 발원한 아무다리야강의 상류에는 8000년 전의 기사르문화와 제이툰문화가 알려졌으나, 토기, 토벽을 세운 지상식주거지 등이 확인되어 문화적 양상 차이가 뚜렷하다. 즉 카자흐스탄 북부 및 천산산맥의 산지이자,아무다리야강 상류의 카자흐스탄의 문화는 본고와는 관련성이 많지 않아서 제외할 수 있다.

 중국 신강성과 비교할 수 있는 지역은 카자흐스탄에서는 천산산맥과 인접한 동부지역이고, 이 지역의 문화는 우스티-나림이라고 하는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로 대표된다. 또한 이 지역은 아무다리야강의 하류에 위치한 켈테미나르문화라고 하는 문화의 특징도 보임으로 이도 함께 살펴야 할 것이다.

 

그림 4.카자흐스탄의 신석기문화(김재윤 2019)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참고문헌

Ошибкина С.В.(ред)., 1996, Неолит Северной Евразии, Москва, НАУКА, pp.130-132

Шевнина,И.В. 2012, “Гончарство Маханджарско культуры”, Вестник археологии, антрополо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2(17), pp.26.

 

posted by 김재윤23

 

최근에 홍콩에서는 반중국정부에 대한 시위가 한참이다. 거기에서 중국의 신강성에 사는 위구르인들도 함께 동참한다는 보도를 보았다. 나는 위구르인들이 꼭 원래대로 돌아갔으면 한다. 그 땅이 중국에 들어간건 청나라 때 건륭제때이다.

 

작년에 중국신강성을 처음 가보았는데, 정말 무시무시한 시골동네였다. 대낮에 장총을 들고다니는 공안들이 거리에 가득차 있었고, 현과 현을 넘어 갈때는 반드시 신분증 검사를 했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런 기사를 보다가 작년에 썼던 아직 공개되지 않는 글이 생각나서 공개하려고 한다.

 

그림 . 신강지역의 신석기유적(1. 삼도령유적, 2. 칠각정유적, 3. 시와보유적, 4.아사탑나유적, 5. 곽가힐나륵유적, 소륵당파아유적)(김재윤 2019)

우연한 기회에 작년에 중국 신강성의 석기시대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게 되었고 아이러니 하지만, 그 계기로 필자가 살고 있는 동북아시아 신석기문화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흔히들 이야기하는 ‘신석기혁명’에 대한 개념이다.

신석기혁명은 고든 차일드(V. Gordon Childe)라고 하는 사람의 논의로 알려져 있다. 신석기시대는 농경의 시작과 토기 발생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이 그의 주된 생각이다. 그런데 이보다 먼저 ‘신석기시대’라는 개념은 러복(J.Lubbok)(1865)이 작물재배, 동물길들이기, 토기발명을 시대개념으로 규정했다. 어찌되었던, 두 사람은 유럽과 인접한 근동지역을 근거로 해서 신석기시대 혹은 신석기혁명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동북아시아는 특히 중국동북지방 흔히들 만주, 연해주 및 아무르강, 한반도, 일본에는 ‘토기’를 근거로 신석기시대를 정의한다. 즉 토기가 출토되어야만 신석기시대라고 부를수 있다는 것이다.

 

.  앞서 필자가 학생들에게 신석기혁명에 대한 과제를 내주었다고 했는데(아래 포스팅 참고), 그 그림의 반원모양 지도는 가장 최근의 탄소연대로 살펴본 토기발생지를 묶은 것이다. 유럽학자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토기는 동북아시아에서 먼저 제작되었다. 그 그림이 실린 논문에는 좀 더 파격적인 제안이 있었다. 토기의 발생시기는 후기 구석기시대이고 동아시아에서부터 발명되었다는 것이다. 현재 자료로서 13000년 이상 올라가는 유적이 있는 곳은 아무르강 하류, 일본, 중국 등이고(그림15), 17000년 전 홀로세 이전부터 동아시아유적에서 출토된 예도 있다. 기원지는 새로운 발굴로 바뀔 수 있지만, 신석기시대의 기준이 된 홀로세(전신세)이후에 토기가 발명된 것이 아니라 이미 플라이스토세의 사냥채집민(후기구석기인)들에 의한 것이다( P.Jordan, M. Zvelebil, 2010)

 

2019/06/04 - [미래의 인디아나존스를 위해서../고고학] - 신석기혁명과 과제

 

가장 빠른 토기의 발생지가 어디일지는 시간의 문제이다. 어떻게 되었든 만주지역 혹은 아무르강 하류, 중국 황하강일 수도 있다. 필자는 이점은 시간이 지나야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가 주목하는 점은 토기가 모든 지역에서 균일한 시점에 발생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농경은 이미 동아시아에서는 농경을 신석기시대 구분의 기준으로 삼지 않는다.

즉 신석기시대의 개념으로 토기와 농경을 적용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좀 더 이야기 하면 신석기시대라는 개념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그 예를 들어낼 수 있는 지역이 중국 신강성의 석기시대이다.

 

중국 신강성에서는 형체를 알 수 있는 토기가 확인되는 것이 청동기시대부터이기 때문에 그 이전 시기를 석기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특히 세석인이라고 하는 동북아시아의 후기구석기시대 유물이 청동기시대 직전까지 유적에서 확인되기 때문이다. 물론 석기시대 내에서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와 가까운 시기를 구분하기는 하지만 역사서술에서 신석기시대는 없고, 그냥 석기시대라고 한다.

이는 철저하게 동아시아적 관점 좀 더 구체적으로는 중국인학자들이 중국 신강성을 바라본 관점이다.

그런데 필자는 이 지역의 유물을 인접한 지역과 비교했는데, 단순히 석기시대라는 용어로는 이해할 수 없다고 판단했고, 더욱이 너무나 편협하게 이 지역이 연구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들에게도 그들의 신석기시대만의 특징이 있다고 하거나, 아니면 신석기시대 개념 자체가 틀렸다는 결론을 내릴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런 질문도 있을 수 있다.

'신석기시대 특징에는 간석기도 있던데요?, 국사책에요'

하지만 간석기(마제석기)는 이미 오래 전 부터 후기구석기시대에 나오기 시작한다는 걸 다 알고 논문에도 많이 있다.

그 문제는 국사교과서 쓰는 사람의 문제라고 해 두고 싶다. 혹은 틀렸지만 그냥 고치지 않는다.

왜냐하면, 신석기시대 개념에 대한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참고문헌

 

P.Jordan, M. Zvelebil, 2010, “Ex Oriente Lux: The Prehistory of Hunter-Gather Ceramic Dispersals.” Ceramic before farming: the dispersal of pottery among prehistoric Eurasian hunter-gathers. P.Jordan, M. Zvelebil ed. London: Publications of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University College London, pp.31-89.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