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2. 11. 25. 11:33 스키타이 무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가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많은 요인인 있었지만 스키타이 사람들의 방어무기인 비늘 갑옷으로 말과 기수를 잘 보호했기 때문이라고 아리안(Arrian)이 아나바시스에서 언급한 바 있다.

 

 

그림 1. 스키타이 문화의 비늘갑옷, 기원전 5~4세기

 

중무장을 한 전사는 말을 타고 다닌 기마병이다. 말은 아마도 유목민들이 이용하는 동물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다목적이었을 것이다. 타고 다니는 용도 뿐만 아니라 우유, 고기, 가죽을 제공했다. 말을 타고 다니는 지역에서 문화가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는 속도는 농경사회와는 차원이 다르다. 말을 타고 다니던 유목민의 기마병과 농경사회의 전사가 싸우는 것은 비교할 수 없었을 것이다.

 

말에 대한 정보는 다행히 무덤속에서 얻을 수 있다. 스키타이(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에서 무덤속에 사람과 말을 함께 부장했기 때문이다. 많은 동물을 숭배했지만(동물장식) 마지막까지도 함께 가는 동물은 말이었다. 아마도 말을 무덤에 넣는 것은 사후세계에도 말이 필요하다는 관념이 있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안장은 스키타이 문화 이전에는 발견된 적이 없는데, 중요한 발명품이었고, 유목민들이 세계 문명발전에 기여한 중요한 공헌 중에 하나로 여겨진다.

특히 알타이의 파지리크 유적에서는 다양한 안장이 그대로 남아 있다.

 

그림 2. 기원전 5세기 알타이 파지리크 유적의 안장과 말

 

 

 

하지만 안장이 없는 말도 무덤 속에서 많이 발견된다. 재갈과 재갈멈치, 굴레장식등은 있지만 안장이 없는 유적도 수를 헤어릴 수 없다. 예를 들어 파지리크 유적과 같이 시신을 미라 처리한 아크 알라하 3유적이 대표적이다.

 

루덴코는 자신이 발굴한 파지리크 유적의 말도 꼼꼼히 조사했다. 파지리크 유적 아래에는 냉동고와 같은 거대한 얼음층이 형성되어서 말의 상태가 매우 양호하게 남아 있었다. 지금도 그 중에 한 마리는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안장이 있는 말들은 영양상태가 좋았다고 루덴코는 기록했다. 안장을 지고 다녔던 말들은 1년 내내 목초지에서 스스로 먹이를 찾아다녔던 말과는 달리 보살핌을 잘 받은 것으로 여겨졌다. 말굽에 기근 고리가 남아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11. 18. 11:05 스키타이 무기

 

기원전 일천년기를 살았던 스키타이 사람들은 활과 화살만으로 멀리서 자신을 방어했을까?

 

하지만 이제까지 무덤에서 나온 무기는 활과 화살 이외에도 검과 투부(전투용 도끼) 등이 있다. 특히 스키타이 검은 짧은데 대체로 60cm 내외로 아키나케스 라고 불린다. 실제 유물 뿐만 아니라 스키타이 석인상에도 투부와 검이 허리에 묘사되었는데, 의례용이다. 기원전 7세기 코카서스 북쪽의 켈레르메스 유적과 시베리아의 투바 아르잔-2호에서도 의식용 투부가 발견되었다. 특히 투부는 근접거리에서 적을 공격할 수 있는 용도로, 기원전 일천년기를 살았던 유목민이 모두 사용하지 않았다. 아르잔-2호 가운데에는 투부로 두개골에 치명상을 입은 여성궁수가 발견되었다.

 

그림 1. 투바 아르잔-2호의 공격용 도끼의 머리

멀리서 발사되는 화살과 창, 검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장비는 헬멧과 갑옷이다. 켈레르메스 유적에서는 청동헬멧과 철제 갑옷(찰갑)이 실제로 발견되었다. 스키타이 석인상 중에는 머리에 헬멧과 갑옷을 입은 것도 발견되었다. 스텦 초원에서는 흔한 물건이었지만, 그리스의 지식인들에게는 특별했던 것 같다.

 

그림 2. 스타르로폴 지역 출토, 헬멧과 갑옷을 입은 스키타이 남성 전사

 

 

그림 3. 기원전 7세기 켈레르메스 유적의 철제 갑옷의 부분. 장방형 판을 이어서 끈으로 엮어서 갑옷을 만든 것이다. 한국에서는 찰갑이라고 부른다.

 

 

스키타이 유적에서 기원전 7세기부터 발견되는 갑옷은 헤로도투스의 표현에 따르면 ‘물고기 비늘’처럼 생긴 것이다. 헤로도투스는 페르시아 인들이 물고기 비늘처럼 생긴 소매가 달린 화려한 외투를 입고 있는데, 무기의 일부라고 언급했다 Herodotus 7.61.

   하지만 아리안(Arrian)은 헤레도투스가 본 것은 페르시아 사람들이 아니라 메디아인이라고 했다. 아리안은 자신의 저서 아나바시스에서 메디아 군사 장비 중의 일부인 갑옷은 스키타이 유목민들에게 빌린 것이라고 했다. 또 알렉산드로스의 군대가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다른 사람들보다 더 잘 싸운 것은 스키타이 사람들이 기수와 말을 방어무기(보호구)로 적들로부터 잘 지켰기 때문이라고 했다(Arrian, Anabasis 3.13.).

 

이 이야기는 하기 싫지만 아리안의 아나바시스는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작가인 크세노폰의 아나바시스의 구조, 형식,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아리안이 스키타이 철제 갑옷에 대한 견해는 근거가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11. 17. 11:05 스키타이 무기

고대 유라시아 초원 지역에서 가장 무서운 존재는 스키타이 궁수였다. 그들은 페르시아 궁전의 벽화에 스키타이 사람들 뿐만 아니라 페르시아 군인들과 기타 여러민족의 군인들 허리춤에서 발견될 만큼 강력한 무기였다. 페르시아 궁전의 묘사된 고리투스는 대략 75~100cm 정도로 길지 않다. 흔히들 스키타이 활(the Scythian bow’ 이라고 불리는 활은 나무와 힘줄로 만들어진 것으로 두 가지 소재를 사용한 것이다. 그래서 복합 활이라고 불리는데, 그리스에서는 스키티쿠스 아르쿠스(Scythicus arcus)라고 불리는 존재였다. 스키타이 활이라고 알 수 있는 것은 고리투스 위로 튀어나온 구부러진 활의 끝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페르시아 궁전묘사 뿐만 아니라 장식판의 스키타이 궁수들의 활도 끝이 구부러진 것이 분명하게 그려져 있다.

 

그림 1. 페르시아 궁전묘사, 고리투스

 

이 부분은 나무로 된 본체에 힘줄을 묶기 위한 장치인데, 이 부분 때문에 스키타이 활이 위대했다고 알려져 있다. 단순한 나무활이나 그냥 나무로 된 활에 힘줄을 뒤로 매단 것과는 달리 스키타이 활은 매우 강력했다. 때문에 스키타이 활을 당기기 위해서는 이 활이 없는 군대와 다른 훈련을 했다는 것은 다 아는 비밀이었고, 인접한 지역 지식인들은 이를 적어 놓았다.

 

그림 2. 쿨-오바 유적의 장식판, 스키타이 궁수

 

 

 페르시아 인들이 스키타이 궁수들이 수행한 훈련 때문에 그리스 군대를 막았다는 것을 아르스토텔레스와 테오프라스토스가 기록한 바 있다. 기원전 401년에 티그리스 강을 건너려는 그리스인들을 막은 것은 페르시아 궁수들이 강 반대편에서 티그리스 강을 향해 활을 쏘면서 좌절된 것으로 알려졌다.

 실물자료가 가장 잘 남아 있는 알타이의 무덤에서는 대체로 15~20개 가량의 화살이 한 무덤 안에서 발견되었다. 하지만 파지리크 유적 2호에서는 279개의 화살이 한 통에서 발견되었다(루덴코 1953). 바르코바(2013)는 화살 쏘는 실험을 했다. 3분안에 화살 30개를 쏠 수 있고, 15분간 화살을 쏜다면 150개의 화살이 소비될 수 있다고 계산했다. 뭐 그러기 위해서는 15분간 쏠 수 있는 어깨의 힘이 필요하겠지만....

 

 스키타이 활은 기원전 4세기 이후 흉노에서 크게 개선되었다. 길이는 1.5m가 조금 넘었고, 당시 사용된 갑옷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해졌다. 나무로 만들던 활을 뼈나 뿔로된 판으로 보강했다. 활의 양쪽 끝에는 2개, 중앙에는 세 개를 덧대었는데,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동물의 힘줄 혹은 자작나무 껍질로 단단하게 고정되었다.

활을 제작하는데 1년 이상이 걸린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합성 활은 큰 묶음으로 제작되었다(맥윈 1978).

 

활에 이용된 골판은 시베리아 투바의 아물루그 XXXI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기원후 2세기 유적으로 흉노시기의 유적이다.

 

그림 3. 아물루그 XXXI유적의 골판

 

참고문헌

E. McEwen, ‘Nomadic archery: some observations on composite bow design and construction’, Arts of the Eurasian Steppelands, ed. P. Denwood. London, 1978: 188–202.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11. 16. 11:15 스키타이 무기

스키타이 사람들의 가장 강력한 무기가 활과 화살이라는 점은 이미 여러 번 포스팅한 바 있다. 코카서스 산맥의 남쪽에 강력한 국가였던 우라루투도 결국 스키타이 사람들에 의해서 망했다. 테이시바이니 성벽에서는 무수히 많은 스키타이 화살이 발견되었다. 앗시리아 및 페르시아에서도 스키타이 고리투스(활과 화살을 함께 넣는 복합궁)는 궁전 벽을 장식하는 주요한 주제였다.

 

스키타이 인의 시조인 타르기타우스의 전설에 대해서 헤로도투스가 상기시켰다. 어떤 활이라도 구부릴 수 있고 스스로 띠를 맬 수 있으며, 허리띠를 찰 수 있는 자를 이 땅에 살게 하라는 것이다.

 

페르시아 궁전벽에 남아 있는 스키타이 ‘고리투스’는 헤로도투스가 명명한 용어이지만, 실제로 발견되는 예는 시베리아이다. 아르잔-2호에서는 주인공무덤인 5호묘에서 남성 주인공이 화려하게 장식된 활과 화살을 고리투스와 함께 가졌던 것이 발견되었다.

 

그림 1. 시베리아 투바 아르잔-2호의 고리투스, 기원전 7세기

 

흑해지역에서는 실제로 발견된 고리투스는 없고, 기원전 4세기 유적인 체르토믈리크 유적에서 확인된 고리투스를 감쌌던 껍데기만 남아 있다. 이 유적의 암포라 속에 스키타이 남성도 고리투스를 착용하고 있는 장면이 있어 대체적인 모습만 가늠할 수 있을 따름이다. 이 뿐만 아니라 스키타이 남성들이 고리투스를 찬 장면은 금으로 된 유물 속에서 자주 목격된다. 물론 기원전 7세기경 돌로 된 스키타이 전사들도 고리투스를 착용하고 있었다.

 

그림 2. 기원전 4세기 체르토므리크 유적 출토 암포라 속 스키타이 남성

 

스키타이 화살촉은 날개가 두 개(양익형) 혹은 세 개(삼익형) 있는 소켓형 화살촉이다. 자루를 끼우는 부분이 안쪽으로 있어서 소켓용이라고 한다. 이러한 화살촉은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불리는 전 지역에서 나타난다. 시베리아 및 중앙아시아로부터 흑해지역, 코카서스지역, 그리고 몽골과 더 동쪽에서도 확인된다.

 

러시아연구자들에 의하면 스키타이의 화살촉은 그 모양과 크기에 따라서 전투 유형이 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거대한 화살촉은 기병이 사용했다고 보았다. 무거운 화살은 천천히 날라가는데, 말에 타서 쏘게 되면, 화살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대를 더 공격하기 쉽게 된다는 것이다. 또 스키타이 화살촉 가운데는 아름답게 장식된 것들도 시베리아의 아르잔-2호와 파지리크 유적등에서 발견된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3. 8. 12:33 스키타이 무기

 

카자흐스탄의 동부지역 실릭티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화살은 단면(자른면)이 원형이고 양쪽으로 능이 붙은 형태이고, 평면은 자루를 끼울 수 있는 슴베가 있는 모습이다. 알타이의 기원전 7세기경에 발견되는 화살촉과 비슷해 보이지만 약간 다르다. 능이 같은 간격으로 3개 달린 것이 알타이의 기원전 7세기 유물이다.

 

그림 1. 실릭티 유적의 화살촉

실릭티 유적 보다 북쪽에 위치한 베렐 유적은 알타이의 산 자락에 위치했는데, 알타이의 높은 곳이 아니라 해발 1000m에 위치한 유적이다. 우코크 고원(2500m), 파지릭 계곡(1500m)보다 훨씬 낮다.

 

베렐 유적에서도 화살이 발견되었는데 청동과 골제 화살촉이다. 청동화살촉은 중앙에 원형의 빈곳 없이 삼각형에 가깝고 슴베 부분(자루에 끼우는 부분)이 길게 나와있다. 실릭티와 같은 유물은 막대를 화살촉 안으로 삽입하는 것이고, 베렐 유적의 화살촉은 나무 막대에 끼우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베렐 유적의 골제 화살촉은 슴베 부분이 없고 촉의 중앙이 비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기원전 7세기 중반의 아르잔-2호에서 발견된 골제 화살촉과는 다른 모습이다.

 

그림 2. 베렐 유적의 화살촉

 

쿠바레프(2007)의 의견에 따르면 베렐 유적과 같은 청동 화살촉(그림 2)과 골제 화살촉은 알타이에서는 기원전 6세기 이후의 유물이다.

 

베렐 유적은 실릭티 유적과 같은 국경(카자흐스탄)에 위치하지만 각각 산지, 평지에 위치해서 무덤의 구조 및 유물이 매우 다르다.

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참고문헌

Черников С.С. 1965 : Загадка Золотого кургана. Где и когда зародилось «скифское искусство». М.: 1965. 190 с. («Из истории мировой культуры»)(체르니고프 1965, 수수께끼 황금 쿠르간, 언제 그리고 어디서 스키타이 예술은 시작되었을까

Sören Stark and Karen S. Rubinson with Zainolla S. Samashev and Jennifer Y. Chi 2012, Nomads and Networks: The Ancient Art and Culture of Kazakhst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Кубарев В.Д., Шульга П.И. Пазырыкская культура (курганы Чуи и Урсула), Барнаул: Изд-во Алта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07. — 282 с.(쿠바레프, 술가, 2007 파지릭문화 유적(추야와 우르술라강의 고분)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