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500년 전 우코크 고원의 남성미라가 뭍힌 곳은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이다. 발굴된 여느 스키타이 문화(정확하게는 파지릭문화)의 무덤과 마찬가지로 무덤구덩이 안에는 나무 무덤방이 만들어지고, 그 밖에는 말이 매장되었다.

 

말이 매장되는 무덤은 대부분 한 마리 이상 매장되는데, 멀지 않은 곳에 묻힌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여성미라도 말6마리가 확인되었다. 미라로 만들어지지는 않았으나 남성전사 2명이 함께 묻힌 아크 알라하 1유적의 1호분에서도 말이 9마리가 들어갔다.

 

그러나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에서는 말이 매장된 북쪽의 상태가 좋지않아서 말이 2마리 나란히 놓여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잘 알 수 없다. 스키타이 사람들은 매우 공간을 아껴서 사용한 것 같다. 말의 매장공간은 좁은데 많이 밀어 넣는다. 구덩이가 커지면 노동력도 들고 무덤방도 커져야 할 것이니, 아마도 이런 것들은 미리 계산되었을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에서는 말이 매장된 북쪽이 상태가 좋지 않은 점을 고려한다면, 말의 두수는 정확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말과 관련된 마구는 말에 착장한 것이 아니라 벗은 상태에서 1벌(그림 1)이 확인되었다. 무덤방의 북서쪽 모서리에서 전부 출토되었다. 굴레장식 가운데 몇 점은 말 부근에서 출토되기도 했다.

 

 

그림 1. 베르흐 칼쥔 II 유적 3호분, 남성미라 무덤에서 출토된 마구 세트

 

 

 

말의 재갈은 철제로 만들어진 것이고, 말의 굴레에 달았던 J자형 굴레장식은 멧돼지 송곳니처럼 보이지만 나무로 제작되었다. 말의 이마를 장식한 당호(그림 1에서 둥근 형태)는 만화에 나오는 UFO모양과 같은데(ㅋㅋ ), 재갈멈치와 함께 나무를 깍아서 만든 것이다. 당호는 납작한 원판 위에 약간 두툼한 원판을 붙인 형태로 얼음공주 무덤 , 아크 알라하 1 유적에서도 말이 착장한 예가 있다.

 

 

그림 2.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남성미라 무덤 속의 출토유물, 유물배치도에서 1~5번이 마구 및 굴레장식이다. 4번은 멧돼지 송곳니로 만든 펜던트라고 적혀 있었으나(먼저 설명한 것) 실제로는 나무로 제작된 것이다. 멧돼지 송곳니 모양이라고 한다. 원고를 적은 사람과 도면을 만든 사람이 달랐을 것이다.ㅠㅠ

 

 

재갈멈치는 한쪽 끝에 팔메트 문양으로 만든 것이다. 팔메트 문양의 재갈멈치는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 출토된 적이 있는데, 재갈멈치 양쪽 끝이 장식되었다. S자형으로 굽은 모양이었다.

 

2020/01/16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아크 알라하 3 유적(여성미라,'얼음공주')] - 2500년 전, 여성 샤먼의 무덤 속 말 6마리과 장식

 

2500년 전, 여성 샤먼의 무덤 속 말 6마리과 장식

어제 보여 드린 무덤방이 머릿속에 떠오르시나요? 무덤방이 있던 무덤구덩이 가장 왼쪽에는 무덤방 안이 아니라 바깥에 이상한 뼈 들이 있는 것이 눈에 들어왔나요? 앞에서 여성샤먼의 무덤방 �

eastsearoad.tistory.com

 

2020/02/09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아크 알라하 1유적] - 시베리아 스키타이 전사 9마리 말의 얼굴꾸미개

 

시베리아 스키타이 전사 9마리 말의 얼굴꾸미개

시베리아 알타이 산에서도 우코크 고원의 아크 알라하 1유적의 남성전사 2명이 묻힌 1호분의 관 내부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이 무덤에는 1차 무덤방에는 말을 위한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었다.

eastsearoad.tistory.com

 

 

이 유적에서 철제로 제작된 유일한 유물은 앞서 본 목제 쟁반 위의 칼과 재갈(그림 3)이다.

 

 

 

그림 3. 베르흐 칼쥔 II 유적 3호분, 남성미라 무덤에서 출토된 철제재갈

 

이 점은 앞서 살펴본 남성전사 무덤인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 고리가 둥근 재갈이 청동으로 제작된 것과는 다르다. 쿠바레프는 아크 알라하 1유적에서 출토되는 청동재갈이 고식이고, 베르흐 칼쥔 II유적에서 출토된 철제재갈은 새로운 스타일로서 새로운 문화요소라고 평가할 수 있다고 했다. 이러한 철제 재갈은 청동재갈에서 형태를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쿠바레프 1992).

 

철제무기는 이미 아르잔-2유적에서 처음 출토되지만, 재갈은 전부 청동제였다. 얼음공주 무덤과 아크 알라하 1유적의 재갈도 청동제였다. 그렇다면 베르흐 칼쥔 II유적 기마전사는 자신의 말에 가장 혁신적인 재갈을 물렸을 것이다. 새로운 유적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J자형 굴레장식은 아크 알라하 1유적의 1호분에서 멧돼지 송곳니 모양 끝에 그리핀 얼굴이 그려진 채 출토된 적이 있다. 유물의 전체 평면형태가 매우 유사하다. 이 유적에서는 그리핀 얼굴이 그려져 있지 않지만, 같은 모양의 이마장식, 재갈멈치 등이 출토된다는 점으로 보아서 충분히 그리핀을 상징하는 유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Молодин В.И., Полосьмак Н.В., Чикишева Т.А 2000, Феномен алтайских мумий. Новосибирск: 2000. 320 c.(몰로딘, 폴로스막, 치키세바 2000, 알타이 미라 현상, 2000)

Кубарев В.Д. 1992 : Курганы Сайлюгема. Новосибирск: 1992. 224 с.(쿠바레프, 1992, 사일류겜 고분)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500년 전 우코크 고원의 베르흐 칼쥔 II유적에서 3호분에 뭍인 남성미라는 살아생전에 직업군인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근거는 고리트(화살과 활을 함께 넣는 스키타이 식 활통)라고 가 출토되기 때문이다. 러시아학계에서는 고리트는 기마전사의 복식으로 생각한다.

 

시위, 화살, 고리트 등은 모든 남성 무덤에서 출토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울란드릭 유적에서는 42기의 고분에서 7기에서만 위의 무기가 출토되었고, 유스티드 유적에서는 44기의 고분에서 6기에서만 확인되었다. 아르잔-2 유적에서도 활과 화살, 투부, 검과 칼 등 무기가 완전히 출토된 것도 주인공 무덤 외에 2기의 무덤에서만 출토되었다.

 

그렇다면 남성미라도 화살, 고리트, 투부 등이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서 그는 기마전사였다. 앞에서 이 남성의 무덤 속에서 각 유물의 위치를 설명했다. 그 중에서 26, 27번은 머리장식일부라고 적혀있었으나, 사실은 26번은 고리트의 덮개(그림 1)이다. 고리트의 덮개가 고깔처럼 생겨서 그렇게 적었고(필자는 그대로 번역함), 나중에 밝혀진 사실은 고깔모자가 아닌 고리트의 덮개이다. 펠트로 만들어진 고리트 덮개에는 양털을 꼬아서 만든 끈이 6줄 달려 있었고, 그 끝에는 방울모양이 달려 있었다. 비슷한 끈이 확인된 유적은 바샤다르 2호분(루덴코 1960)에서도 확인되었고, 아크 알라하 1유적의 1호분에서도 매듭이 출토되었다.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과 같은 고리트 덮개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남성미라의 고리트(활통) 덮개, 펠트

 

 

 

그림 2.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남성미라의 고리트(활통) 아래부위, 모피+펠트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기마전사는 고리트의 덮개 뿐만 아니라 고리트의 아래 부위도 나왔다. 모피로 만들어진 것으로 왼쪽 허리부근(유물배치도 27)에 놓여 있던 유물이다. 이 모피 부분안쪽에서 활의 부속품(그림 3)이 출토되어서 고리트의 일부라고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유물의 아래쪽에는 화살이 5점 놓여 있었다. 모피의 끝에는 펠트조각이 붙어 있는데, 고리트 덮개와 연결부위이다.

 

그림 3.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남성 기마전사 활의 부속품, 1,4,5-나무, 2,3-뿔

 

이 유물은 전체길이가 85cm가량으로 고리트가 덮어지는 것까지 계산하면 전체 활의 길이는 110.6cm가량이다. 출토된 화살은 79cm가량으로, 화살촉의 단면은 삼각형이다.

 

 

그림 4. 베르흐 칼쥔 II유적 3호분의 남성 기마전사의 화살

 

 

 

 

그림 5. 베르흐 칼쥔 II유적 3호분의 남성 기마전사의 고리트 복원도

 

*위의 그림은 아래 참고문헌에 수록된 것이다.

 

참고문헌

Молодин В.И., Полосьмак Н.В., Чикишева Т.А 2000, Феномен алтайских мумий. Новосибирск: 2000. 320 c.(몰로딘, 폴로스막, 치키세바 2000, 알타이 미라 현상, 2000)

폴로스막 2001, Полосьмак Н.В. Всадники Укока. — Новосибирск: Инфолио-пресс, 2001. — 336 с.(우코크의 말타는 전사들) 이 책은 2016년에 한국어로 출판되었다. N.V.폴로스막 2016,『알타이 초원의 기마인』

Руденко С.И. 1960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60. 360 с.루덴코 1960, 스키타이 문화시기의 알타이 산맥의 주민문화)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베리아 알타이에서는 2500년 전 무덤 속에 나무 무덤방이 설치된 유적들이 발견된다. 일부 유적에서는 ‘미라’가 발견되기도 한다. 스키타이 문화 중에서 알타이에서 발견된 문화로 파지릭 문화라고 한다. 스키타이 문화는 동물문양장식, 무기, 마구를 문화의 아이덴티티로 사용했는데, 스키타이 문화(권)으로 묶을 수 있는 지역은 흑해 북안부터 시베리아, 몽골 및 만주지역의 내몽골지역에서도 그 흔적이 확인된다. 파지릭문화는 그 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며 가장 중심에 분포했던 알타이에서 위치한다.

 

이 시절 알타이에서 확인되는 무덤에서는 여러 경우가 있지만 공통적인 현상이 있는데, 무덤방 안에는 그릇을 놓아 둔다는 점이다. 토제, 목제, 뿔로 만든 그릇이다. 토기는 액체용기를 담기 위해서 항아리(호형)가 있고, 뿔로 만든 용기도 확인된다. 목제로 된 그릇은 두 종류의 그릇 중 쟁반 위에는 고기와 철제 칼이 놓여 있다. 양의 엉덩이 뼈가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서 꼬리 부위를 잘라서 두었던 것 으로 생각된다.

얼음공주 미라가 발견된 아크 알라하-3유적, 남성 전사 2인의 무덤인 아크 알라하-1 유적 등에서도 모두 시신이 안치된 곳과 약간 떨어진 곳에서 확인되었다. 주로 시신이 보는 방향에 목제 쟁반이 놓인다.

 남성미라의 무덤인 베르흐 칼쥔-2 유적에서도 마찬가지로 목제 쟁반 위(그림 1)에 고기 덩어리와 철제 칼(그림 3-2)이 확인되었다. 다리가 낮은 쟁반으로 평면형태는 타원형이다. 목제 쟁반의 한쪽은 약간 부서진 상태이다. 한쪽에는 구멍이 두 개 있다.

 

그림 1. 베르흐 칼쥔 II 유적 3호분 출토 목제 쟁반(필자촬영)

 

파지릭 유적에서도 다리가 높은 목제 쟁반(그림 2)이 확인되었다.  다리에는 여러 문양이 장식되어 있다. 도굴로 이미 무덤 속이 흐틀어졌으나, 비슷한 장례의식 가운데서 목제 쟁반 위에 고기 덩어리를 놓고 의식을 치뤘을 것이다.

 

그림 2. 파지릭 유적 2호분 출토 목제 쟁반 혹은 목제 상

 

베르흐 칼쥔 II유적 3호분에서 확인된 철제 칼은 손잡이가 둥글고 날이 한 쪽 방향으로 있는 것으로 얼음공주 무덤의 것과 거의 유사하다.  도면(그림 3)이 부실해서 안타깝다. 필자가 찍은 사진에도 없었다.

 

그림 3. 베르흐 칼쥔 II유적 출토 3호분 목제 쟁반(1:그림 1과 동일)과 칼(2)

 

목제로 된 또 하나의 그릇은 잔이다. 손잡이가 한쪽에만 붙어 있는 잔으로 손잡이는 둥글다. 손잡이가 한쪽에만 붙어 있는 잔은 2700년 전 유적인 아르잔-2호에서부터 출토되었다. 물론 손잡이 모양은 다르지만, 목기의 몸통이 ‘잔’인 점은 공통적이다.

아르잔-2호와 이 유적의 연대차이가 200년 이상 있지만 손잡이의 모양이 그대로 이어진 유물도 있고, 변화가 생긴 유물도 있다. 목제 잔을 사용하는 전통은 계속 이어진 것 같다. 아르잔-2호에서 출토된 목제 잔(그림 4)와 유사한 잔은 파지릭 유적의 2호분(그림 5)에서 출토된다.베르흐 칼쥔 II유적 남성의 잔은 손잡이가 심플한 둥근 것(그림 6)이다. 얼음공주의 잔(그림 7)은 손잡이에 두 마리의 호랑이가 서로 마주보게 장식되어 있지만 기본적으로 둥근 손잡이를 응용한 것이다. 파지릭 유적 2호분에서 출토된 펠트제 받침대(그림 5-2)는 남성미라(베르흐 칼쥔 II유적 3호)와 여성미라(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도 출토된 유물이다.

쟁반이 아닌 목제용기는 유제품을 위한 그릇이다.

 

그림 4. 아르잔-2호분 무덤방 5호분의 목제 그릇(2700년 전)

 

그림 5. 파지릭 유적 2호분의 목제 잔(2500년 전)

 

 

그림 5-2. 그림 5와 세트, 펠트제 받침대

 

 

그림 6. 베르흐 칼쥔 II유적 3호분 출토(2500년 전), 남성미라의 목제 잔과 받침대(필자촬영)

 

그림 7. 아크 알라하 3유적, 얼음공주 미라의 목제 잔(2500년 전)

 

아크 알라하 3유적, 아크 알라하 1유적, 베르흐 칼쥔 II유적에서 출토된 목제 쟁반에는 모두 상단에 사용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죽음을 위해서 만든 부장품이 아니라 실제로 사용했던 용기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미 앞에서 포스팅 한 바 있지만 미라 혹은 사자 들이 입고 있는 옷도 전부 수선했던 흔적이 남아 있고, 사용했던 의복이었다. 죽음을 위해서 만들어 둔 것이 아니다.

 

참고문헌

Молодин В.И., Полосьмак Н.В., Чикишева Т.А 2000, Феномен алтайских мумий. Новосибирск: 2000. 320 c.(몰로딘, 폴로스막, 치키세바 2000, 알타이 미라 현상, 2000)

폴로스막 2001, Полосьмак Н.В. Всадники Укока. — Новосибирск: Инфолио-пресс, 2001. — 336 с.(우코크의 말타는 전사들) 이 책은 2016년에 한국어로 출판되었다. N.V.폴로스막 2016,『알타이 초원의 기마인』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루덴코 1953, 스키타이 시대 알타이 산의 주민문화)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베리아 알타이의 파지릭 문화(스키타이 문화에서 일종의 지역문화)에서 남성은 고깔모자 및 투구형 모자를 썼다는 점을 알려드린 바 있다.

 

2020/01/29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아크 알라하 3 유적(여성미라,'얼음공주')] - 시베리아 알타이에서 '코로나(корона)'의 기원?

시베리아 알타이에서 '코로나(корона)'의 기원?

필자도 중국 상해, 남경 등 학과 답사로 같이 참여하기로 계획되었다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취소되었다. 비자피와 얼마간의 위약금을 물어야 했지만, 그래도 그냥 취소보다 병이 창궐

eastsearoad.tistory.com

 

 

그들의 고깔모자에 대해서는 헤로도투스도 자신의 저서에서 스키타이 인들의 특징을 묘사할 때 적어 놓은 바 있고, 페르시아의 페르세폴리스의 아파다나 궁전벽에 새겨진 조각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손에 스타킹을 들고 있는 사람, 말을 부리고 있는 사람, 고리트(스키타이 인들의 화살통)를 차고 있는 사람 등 여러 사람들이 단순한 고깔모자를 쓰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흑해 북안의 쿨오바라고 하는 고분에서 출토된 황금 항아리에도 고깔모자를 쓴 사람이 확인된다. 그리스 장인이 만든 황금 빗(표트르 대제 시베리아 황금 유물 컬렉션 중에서)에서도 스키타이 전사의 목 뒤에 고깔모자가 매달려 있었다.

 

2020/02/10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아크 알라하 1유적] - 2500년 전, 어느 그리스 장인의 스키타이 전사에 대한 기억

2500년 전, 어느 그리스 장인의 스키타이 전사에 대한 기억

그림 1. 솔로하 출토 황금빗, 에르미타주 소장, 전체 모습은 앞의 포스팅 참고 그림 2. 솔로하 출토 황금빗, 에르미타주 소장, 말탄 스키타이 전사의 모습, 투구는 코린트 식 그림 3. 솔로하 출토 �

eastsearoad.tistory.com

 

 

그런데 실제 얼음 속에서 확인되는 우코크 고원의 고깔모자는 좀 더 장식적인 요소가 가미되었다. 특히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에서 남성 미라가 쓴 고깔모자(펠트)는 정수리에 목제로 된 새 머리장식이 붙어 있고, 그 상단에 산염소 한 마리가 장식되어 있다. 고깔모자의 앞과 옆에는 목제로 된 산염소가 부착되어 있다. 발견 당시에 산염소의 뿔은 없어지고 구멍만 남아 있지만 뿔을 조각해서 삽입했던 것이다.

 

 

 

 

 

그림 1.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남성미라가 썼던 고깔모자

 

그런데 이 남성은 모자가 한 점 더 있었다.

어제 소개해 드린 유물 배치도에 보면 어깨와 허리부위에 모자장식이라고 설명된 부분이 있다. 목제로 된 사슴 혹은 산염소 조각 장식이다. 뿔이 없어져서 정확하지는 않지만 같은 종류의 동물 3마리이다. 가장 큰 한 마리는 고깔모자의 왼쪽옆에 붙어 있었고, 한 머리는 이마 앞쪽에 다른 한 마리는 고깔모자의 머리 끝에 붙어 있었다(그림2). 이 고깔모자는 장식만 나무로 만들어졌고, 기본적인 모자는 펠트로 제작되었으며, 정수리 끝에는 새머리가 함께 재단되어서 제작된 것이다. 새는 부리가 표현되어 있고, 부리 뒤쪽에는 금박을 입혔다. 펠트제 모자는 모피코트 속에서 발견되었다. 모자는 귀를 덮는 스타일이다.

앞에서 포스팅한 여러 곳의 고깔모자가 약간 씩 전부 다르지만 공통적인 점은 귀를 덮는 긴 끈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페르시아 시절의 페르세폴리스 아파다나 궁전 벽화, 쿨 오바의 황금 항아리 속의 남성 등 모든 남성의 모자는 정수리 끝 장식은 다르지만 귀를 덮은 점이 공통적이다.

 

이미 포스팅에서 소개해 드린 그림은 폴로스막의 책에 있었던 것에는 목제 장식이 따로 구성되었지만 필자가 실제로 본 사진에서는 원래 자리로 생각되는 곳에 복원되어 있었다(그림 2).

 

위의 포스팅 참고

 

 

 

그림 2.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남성미라 모자(필자촬영)

 

 

 

그림 3. 그림2의 가장 상단에 부착된 동물장식 (필자촬영)

 

 

 

 

그림 4. 그림 2의 동물장식(필자촬영)

 

 

 

 그림 5. 그림 2의 동물장식(필자촬영)

 

그런데 이런 모자를 썻던 남성의 헤어스타일은 어땠을까?

 

이제까지 소개해 드린 얼음공주(아크 알라하 3 유적)와 파지릭 2호분의 여성미라는 모두 삭발을 했었다. 파지릭 5호분에서 확인된 캐노피의 의자 위에 앉아 있는 여성도 삭발했었다.

 

그러나 남성은 좀 더 다양했던 것으로 보인다. 파지릭 2호분에서 출토된 남성미라는 앞부분만 머리를 밀었고, 파지릭 5호분에서도 남성미라는 앞부분만 밀고 뒤는 그냥 둔 채였다. 파지릭 2호분의 남성의 뒷 머리 스타일은 정확하지 않은데, 머리가 벗겨진 상태였기 때문이다.

 

베르흐 칼쥔 II 유적의 3호분 남성은 머리는 좀 다르다. 이 남성은 머리의 정수리 부분의 머리는 길러서 땋았고, 그 주변은 밀었다.

 

 

 

 

그림 6. 베르흐 칼쥔 II유적 3호분 남성미라의 헤어스타일

 

그렇다면 고깔모자 아래로 땋은 머리가 2갈래로 내려왔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폴로스막 2001, Полосьмак Н.В. Всадники Укока. — Новосибирск: Инфолио-пресс, 2001. — 336 с.(우코크의 말타는 전사들) 이 책은 2016년에 한국어로 출판되었다. N.V.폴로스막 2016,『알타이 초원의 기마인』

Молодин В.И., Полосьмак Н.В., Чикишева Т.А 2000, Феномен алтайских мумий. Новосибирск: 2000. 320 c.(몰로딘, 폴로스막, 치키세바 2000, 알타이 미라 현상, 2000)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베리아 알타이의 우코크 전사는 2500년 전 어느 날 미라로 만들어졌을 것이다.

얼음공주 미라(아크 알라하-3)와 매우 가까운 곳에 묻혔고, 다행히 완벽하게 미라의 모습이 남아 있었으나, 세간의 관심은 덜 했다. ‘얼음왕자’이런 별명도 없고, 그는 얼음공주에 비해서 주목을 받지 못한 것 같다.

 

유적은 1994년에 발견되었고 1995년에 발굴되었다. 1995년 얼음공주가 부산에 왔을 때 그는 이제 막 사람들이 무덤 속에서 끄집어 내었다.

 

 

앞에서 소개한 파지릭 유적과 아크 알라하 1, 3 유적과 마찬가지로 말은 무덤방 북쪽에 매장되었다. 무덤방의 크기는 그림 1에서 목제의 돌출부를 제외하고는 실제 무덤방은 164×113m가량이다. 나무는 통나무를 반으로 나누어서 사용한 것이다. 바닥의 나무는 4개만 깔렸고, 목기와 토기 등의 그릇이 놓은 부분에는 나무가 깔려 있지 않았다. 나무방의 벽은 통나무를 2층으로 올린 것이다.

 

나무방 덮개를 열자 나타난 것은 남성 미라가 무릎을 굽힌 채로 잠들어 있었다. 미라로 제작된 아크 알라하 3유적, 파지릭 유적 2호분, 파지릭 5호분과는 달리 통나무관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자세는 이제 까지 설명된 무덤에서 줄 곧 확인되는 자세이다. 쭉 뻗고 하늘을 쳐다보는 (앙신직지) 시신처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림 1. 시베리아 알타이의 우코크 고원의 남성미라 무덤, 베르흐 칼쥔 II유적 3호

 

무덤방의 유물은 여느 스키타이 문화의 무덤처럼 많지 않았다. 더욱이 부장된 말의 수와 출토된 유물도 적은 편이어서 전체 적으로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의 수는 많지 않았다.

 

 

 

 

그림 2. 시베리아 알타이의 우코크 고원의 남성미라 무덤, 베르흐 칼쥔 II유적 3호에서 출토된 유물

 

그림 2에서 이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의 종류를 알 수 있다. 목제 쟁반 위의 양뼈(엉덩이뼈), 그 옆의 칼, 그곳에서 떨어진 곳에서 출토된 토기 1점, 목기 1점 등 실제로 사용했던 유물이다.

 

그런데 이 남성은 관이 없었지만 미라로 제작되었고, 문신이 있었으며, 모피코트를 입고, 고깔모자를 쓰고, 펠트로 된 스타킹을 신고 있었다. 특히 남성이 쓰고 있는 고깔모자는 먼저 발굴된 아크 알라하 1유적의 남성전사 무덤에서 발견된 동물문양장식이 어떤 용도로 씌인 것인지 알게 했다. 이 유적이 발굴되기 전에는 아크 알라하 1유적에서 발견된 남성전사 머리 위의 동물문양장식이 용도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많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말의 수는 적지만 출토된 마구는 아크 알라하 3유적과 비교되었다.

 

그림 3. 시베리아 알타이의 베르흐 칼쥔 II유적 3호분(1: 얼음속의 미라; 2: 미라를 발굴하는 장면)

 

참고문헌

Молодин В.И., Полосьмак Н.В., Чикишева Т.А 2000, Феномен алтайских мумий. Новосибирск: 2000. 320 c.(몰로딘, 폴로스막, 치키세바 2000, 알타이 미라 현상, 2000)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