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년 전 부터는 신석기시대 마지막 문화로 보이는 자이사노프카 문화가 시작된다.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집터는 주로 수혈(구덩이)식으로 움집이다.
동북아시아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가장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방형(네모)에 가깝다(그림1). 시간에 따라서 장방형(직사각형) 집터가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그림1. 크로우노프카-1 유적의 자이사노프카 문화 주거지(김재윤 2010)
그런데 땅을 파는 움집이 아는 다른 스타일도 확인된다.
두만강 유역과 멀지 않은 곳에 그보즈제보-4유적에서는 집터를 판 흔적은 남아 있지 않고 기둥구멍자리만 남아 있었다. 지상식(그림 3) 건물지로 추정된다.
그림 2. 그보즈제보-4유적의 주거지(김재윤 2010)
그림 3. 나나이족의 집
또 아누치노-29유적은 한쪽 벽면만 높이 남아 있고 그 곳에서만 기둥구멍이 확인되었다.
복원하면 그림과 같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주거지 내에서도 토기 등 유물은 나왔다.
그러나 안정적인 형태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림 4. 아누치노-29유적의 주거지(김재윤 2012)
연해주와 인접한 목단강 유역에서도 자이사노프카 문화와 같은 성격으로 생각되는 앵가령 유적이 있다. 그 중에서 하층은 신석기시대로 연해주의 신석기시대 마지막 문화와 성격이 같다고 많이 언급되었다.
그런데 연해주와는 달리 주거지 벽면에 돌담이 확인된다. 물론 이 지역의 집자리가 모두 이와 같지는 않았을 것이고 다양성으로도 볼 수 있다. 연해주와 비슷한 토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지만 집의 모습은 달랐다고도 볼 수 있다.
그림 5. 앵가령 하층 문화의 주거지(김재윤 2012)
자이사노프카 문화에는 앞선 시기와는 달리 여러 집의 형태가 있었던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http://eastsearoad.tistory.com/122?category=714181
앞서 집 안에 무덤이 남아 있는 경우를 소개한 적이 있는데, 이 문화에 해당하는 것이 많다.
압록강 유역과 멀지 않은 요동남부에서는 이 시기가 되면 단독으로 무덤이 확인되는 유적이 있는데, 비교된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환동해문화권: 러시아연해주, 북한, 중국 > 신석기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00년 전 두만강 유역 신석기문화의 범위 (0) | 2018.01.29 |
---|---|
5000년 전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석기 (0) | 2018.01.25 |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토기 (0) | 2018.01.19 |
보이스만 문화의 유물 3 (0) | 2018.01.12 |
보이스만문화의 유물2 (0) | 2018.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