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스키타이 문화권의 청동솥은 대체로 나팔 모양의 다리가 붙고, 손잡이가 솥의 입구에 붙어 있다. 둥근 고리 모양의 손잡이는 수직으로 붙어 있는데, 그 중에서 버섯 모양의 돌기가 붙은 솥(그림 1)이 주로 예니세이강에서 발견되었다.

 

그림 1.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발견된 청동솥, 기원전 4세기

 

그런데 예니세이 강의 상류에 키질-카이야(그림 2) 라고 불리는 암각화에서 거의 같은 모양의 청동솥으로 요리하는 장면이 그려진 것이 발견되었다. 이 암각화는 사벤코프(1910)가 20세기 초에 발견해서 그림을 남겼는데, 보르스카야 암각화 보다 훨씬 더 요리하는 장면이 잘 묘사되었다. 이 암각화에는 돌기가 있는 둥근 모양의 손잡이가 붙은 청동솥과 그냥 둥근 고리모양의 손잡이가 붙은 청동솥이 함께 그려져 있다.

 

그림 2. 키질-카이야 암각화, 예니세이 강 상류

 

 

그림 3.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발견된 청동솥2, 기원전 4세기

 

그렇다면 이 두 모양의 청동솥은 동 시기에 이 동네(미누신스크 분지)에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암각화가 20세기 초부터 발견되었기 때문에 청동솥이 의례용 뿐만 아니라 음식조리용으로 사용된 것을 알았다. 특히 가장 처음에 나오는 장면은 동물의 젖을 짜서 조리하는 장면(유제품)으로 보여지게 되면서 유목민족의 생활 상을 알 수 있게 한 자료로 손꼽힌다. 하지만 이 유적은 현재는 잘 남아 있지 않다.

 

다시 한번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с новым годом с новым счастьем!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청동솥은 흑해지역부터 시베리아, 몽골까지 전 지역에서 기원전 7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발견된다. 다리라고 부를 수 있는 바닥은 나팔모양인데, 간혹 카자흐스탄 지역에서 출토되는 유물가운데 세 다리가 붙은 청동솥이 발견되기도 한다. 하지만 극히 일부이다.

 

흑해지역에서는 대체로 동체부가 무문양이고, 나팔모양의 다리가 붙은 청동솥이 기원전 5~4세기에 나온다(그림1).

 

그림 1. 쿨-오바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솥

 

그런데 흑해주변의 유적 가운데서 라스코파나 모길라 유적(그림 2)에서는 아주 장식이 많은 청동솥도 출토되었다. 청동솥에 붙은 황소머리는 그리스장식의 요소이다. 황소머리 장식 사이에는 동심원문양도 함께 시문되어 있다. 중간에는 팔메트 문양, 하단에는 지그재그 문양이다.

 

그래도 이 유물은 스키타이 사람들이 만든 청동솥이다. 주로 점토로 주조되었다. 다리는 따로 만들어서 붙인 것이다. 손잡이는 대부분 아치형이지만, 일부는 동물모양으로 장식된 것들이 있다.

 

 

그림 2. 라스코파나 모길라 고분

 

 

그림 3. 손잡이가 동물장식인 청동솥

 

청동솥은 유목민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었더라고 해도 의식적인 의미도 포함한다. 가족이나 부족들은 청동솥 주위에 모여서, 종교 의식을 위한 제물을 바치는 동물들의 고기를 요리했다.

또 시베리아의 파지리크 유적에서 나온 높이 10cm 남짓의 청동솥은 일종의 향로로 사용되었다(그림 4).

 

그림 4. 파지리크 유적 2호 출토 청동솥

 

헤로도투스가 본 스키타이 인의 거대한 청동솥은 수많은 화살촉을 녹여 만든 것인데, 4500갤런 정도 되는 용량이라고 한다. 이제까지 출토되거나 발견된 청동솥 중에 저렇게 큰 것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건장한 3명의 소년이 옮겨야 할 정도로 큰 청동솥이 볼가강 유역의 필리포프카 유적에서 출토된 바 있다.

 

 

그림 5. 필리포프카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솥

 

아무리 황소머리 문양이 있었다고 해도 청동솥은 스키타이 사람들의 일상용, 의식용 용기이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고대 유라시아의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청동솥은 거의 대부분이 발견된다. 기원전 7세기부터 나오기 시작하는 청동솥은 기본적으로 나팔 모양의 다리가 붙어 있고, 손잡이가 있다. 물론 지역에 따라서 손잡이와 솥의 몸통에 동물문양이 붙는 경우가 있고 그렇지 않은 지역이 있다. 대체로 시베리아와 흑해지역에서 기원전 7세기 유적에서 나오기 시작한다.

시베리아 투바의 아르잔-2호에서는 실제로 청동솥이 나오기도 나왔다. 뿐만 아니라 청동솥을 모델링 해서 만든 작은 금제품을 긴 체인에 달아서 허리에 달았던 것도 확인되었다. 아르잔-2호에서 출토된 작은 금제품의 솥 모양 장식품(그림1)은 표트르 대제의 시베리안 콜렉션에서 발견된 잔 모양의 금제품과 비교된다. 실제의 그릇을 모형화해서 장신구처럼 달아서 사용했던 것을 아르잔-2호에서 실제로 확인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림 1. 아르잔-2호의 금제 모형 솥.

 

헤로도투스의 기록이 맞지 않는 부분도 있지만, 맞는 부분들도 많다. 그가 ’스키타이 사람들은 오늘날까지 허리띠에 그릇을 메고 다닌다‘고 한 말이 이 장식용 그릇을 말한 것인지, 실제 그릇을 말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암튼 최소한 장식용 그릇은 허리에 메고 다닌 것 같다.

 

그런데 카자흐스탄 동남부의 세미레치예 지역에서 발견된 청동솥은 이상하게 생긴 것이 우연하게 발견되었다. ’우연하게 발견된 유물‘은 발굴된 유물이 아니라 대체로 비정상적인 경로(도굴 등)로 발견된 것이다(그림 2). 다리 세 개 달린 청동솥은 시베리아가 아닌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그림 2.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기원전 일천년기 중반(기원전 5세기 가량)의 청동솥.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

 

다리 세 개가 붙은 청동으로 된 그릇은 중국의 상나라 초기에도 알려져 있지만, 이란 북부의 청동기시대의 유물 가운데도 다리 세 개 붙은 토기가 이 유물(그림2)의 기원이라고 하는 연구(보코벤코 1981)일반적으로 받아 들여진다. 더욱이 청동솥에 붙은 양 머리는 고대 이란 사람들에게 신의 행운(xvarna)을 상징한다. 그래서 에르미타주 박물관의 숫양 머리 달린 이미지는 의식적인 용도로써 고대 이란과의 관련성을 설명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다리 세 개 붙은 유물은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주류를 이루지는 못했다. 기원전 4세기 이후 흉노와 사르마트 문화에서도 여전히 나팔모양의 다리가 붙은 청동솥이 나오기 때문이다. 혹은 다리가 없는 유물들도 있고, 그 모양은 지역과 시간에 따라서 더 다양해진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문화의 물질문화 중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고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는 유물 중에 하나는 청동솥(동복)이다. 스키타이가 망한 이후 흉노와 사르마트 문화에서도 사용되며, 유럽의 헝가리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에서도 뚜렷하지는 않지만 대체로 1세기 이후(길림성 유적인 유수노하심의 연대문제)부터 나오기 시작한다. 중국 감숙성에는 더 이른 시기에 나오는 유물도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뚜렷하지는 않다.

 

아뭏튼 유라시아 초원지역에서 기원전 7세기경부터 나오기 시작하는 청동솥은 크기부터 모양까지 매우 다양하며 실제로 요리에 사용된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지역과 연대마다 청동솥의 형태는 다르지만 지속적으로 사용되는데, 복잡하고 힘들지만 재밌는 주제이다.

 

 

 

그림 1.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발견된 청동솥, 기원전 7~4세기로 추정.

 

 

그림 2. 러시아의 오렌부르크 지역. A.D.4-5세기

 

 

 

올해 하반기에는 블로그에 글 적는 일이 줄어들어서 매우 미안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너무 신경쓸 일이 많았고, 또 생각할 부분도 많아서입니다. 새해에는 장담은 못하겠지만 그래도 최선을 다해서 지속적으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블로그에 오시는 분들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청동솥에 복이 담겨 있습니다^^

 

 

김재윤 드림

 

 

 

posted by 김재윤23

고대 알타이(기원전 5세기)의 무덤 속에서 나오는 그릇은 토기 외에도 목제로 된 용기가 존재한다. 손잡이가 한쪽으로만 붙은 것인데, 아르잔-2호에서 발견되면서 기원전 7세기 이후부터 이미 시베리아에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목제 용기는 알타이의 무덤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더 전통적인 그릇이며, 역시 쿠미즈를 담기 위한 그릇이다.

 

주로 알타이에서만 출토되지만 서쪽에도 사용되었다. 볼가 강 유역의 필리포프카 유적에서는 목제 그릇에 달아서 장식했던 동물장식이 발견되었다. 모로드비노프카 유적의 목제 그릇은 아마도 유일하게 알타이를 벗어나서 목제 그릇의 존재가 확인된 예일 것이다.

필리포프카 유적에서 나온 금판 장식들과 유사한 유물들이 기원전 5세기 이후에는 흑해지역에서도 드문드문 발견되기 때문에 목제그릇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 파지리크 유적의 5호분 출토 목제 잔

 

그림 2. 알타이의 뿔로 된 항아리, 아크 알라하-3 유적

 

나무잔 혹은 나무용기가 우유 혹은 유제품을 담는 용기를 사용하는 장면을 헤로도투스는 설명했다.

 

‘속이 깊은 나무 용기에 노예들이 주위에 서서 우유를 흔들도록 만든다. 표면에 생긴 것을 끌어내는데, 이것을 소중하게 여긴다. 바닥에 있는 것은 덜 한 것으로 취급받는다’라는 구절이다. 우유의 상층만 걷어내서 뭔가를 만드는 장면이다.

 

아뭏튼 나무잔과 토기는 모두 유제품과 관련된 그릇이라는 것은 이미 다 밝혀진 바이다.

 

그런데 알타이의 무덤에는 액체를 담기 위한 그릇이 한 종류 더 있는데 뿔로 만든 항아리 혹은 잔이다. 사실 스키타이 서쪽에서는 뿔로 된 항아리는 나오지 않는다. 각배의 전통이 있기 때문이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베리아의 기원전 9세기 유적인 아르잔-1호에서부터 산(알타이) 위의 유적까지 연속적으로 보이는 것은 나무무덤방의 축조기술이다. 알타이 파지리크 유적에서는 무덤구덩이에 넣기 전에 나무를 미리 재단해서 표시를 해 두었는데, 이 기술은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니다. 알타이 보다 먼저 무덤이 만들어졌던 우육분지 투바의 아르잔-2호, 아르잔-1호에서도 무덤방을 만들 때 가장자리에 홈을 파서 아래와 위의 나무를 결구하는 방법이 발견되었다. 그 엉성해 보이는 아르잔-1호에서도 주인공을 위한 무덤방은 같은 무덤 안에서도 달랐다.

 

연속성이 보인다고 해도 시간이 흐르면서 새로운 물질문화도 생겨난다. 필자가 보기에는 토기이다. 화려한 물질문화 속에서 어쩌면 매우 소박해 보이기도 하고, 별꺼 아닌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알타이의 무덤에서는 꼭 1~2점씩 부장되었다.

이들을 알타이에서 만들지는 않았고, 연구된 바에 의하면 산림스텦지역에서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500km 이상 떨어진 곳이다.

다양한 모양의 토제 그릇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한 기종만 나오는데, 목이 긴 항아리이다. 물론 항아리 마다 차이는 있으나, 사발이나 접시 이런 기종은 나오지 않는다. 모두 목이 긴 항아리이며, 채색되거나, 가죽 아플리케를 붙여서 장식했다.

 

 

그림 1. 파지리크 유적의 토기

 

목이 좁고 긴 항아리는 액체류를 위한 그릇이다. 특히 유제품(쿠미즈)와 같은 음료를 담았거나 혹은 좀 더 발효된 우유로 된 알코올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특히 파지리크 유적이나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는 토기 주변에서 유제로 된 어떤 액체류가 주변에 흥건했던 것을 기록했다.

 

쿠미즈와 우유로 술을 만드는 기술은 매우 오래되었던 것 같은데 13세기기록에도 남아 있다. 1253~1255에 몽골을 다녀온 루브룩(William of Rubruck) 수도사가 ‘루브룩 여행기(William of Rubruck's Account of the Mongols)’에 몽골의 풍속, 종교 등을 기록해서 당시의 상황을 알 수 있다. V장에서 쿠미즈 및 술과 관련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V장의 제목은 쿠미즈이지만, 내용에서 쿠미즈를 만들고, 버터도 추출하고, 거기서 더 자극적인 맛이 나기 시작하면 취하는 장면이 나온다는 것으로 보아서 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책은 라틴어로 쓰여졌고, 영어로 번역되어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무덤의 벽과 바닥에 깔았고, 고대인의 옷의 주요 소재였던 펠트는 유목민의 발명품이었다. 기원전 3천년경 메소포타미아의 설형문자에 이에 대한 언급이 알려져 있다. 펠트는 양을 길들인 후부터 발명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소재는 시베리아를 포함한 중앙아시아에서 더 인기있는 소재였다.

 

펠트는 양털을 실로 만들어 직조하는 것이 아닌 높은 온도에서 압력을 가해서 만든 텍스틸이다. 봄에 자른 양털은 길기 때문에 실로 만들어서 직조하기 좋고, 가을에 자른 양털은 비교적 짧기 때문에 펠트 만들기 적합하다. 펠트는 양실로 만든 직조물보다 훨씬 마찰력에 강하다.

 

펠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털을 납작하게 눕히도록 하기 위해서 두드리는 과정이 필요하다. 납작한 여러겹의 펠트를 여러 층으로 쌓고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물이 필요하다. 물을 준 후에 카펫처럼 단단하게 말아서, 누르거나 발로 차거나 해서 롤을 단단하게 만든다.

 

펠트는 무덤 바닥의 깔개와 벽의 장식으로도 사용되었다. 바닥의 깔개로 사용된 것은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 그대로 나왔고, 벽의 장식용으로 사용된 문양이 화려한 것은 파지리크 유적 5호묘의 것이 유명하다. 이 외에도 사슴털로 채워진 안장의 쿠션, 안장의 덮개, 모자, 후드가 달린 상의, 스타킹, 말 머리 장식 등 매우 많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양모 뿐만 아니라 야크의 털도 이용되었는데, 파지리크 2호와 5호묘에서 출토되었다.

 

 

 

 

 

그림 1. 파지리크 유적의 5호 출토품, 펠트로 만들어진 벽장식 카페트. 카페트 속의 남성과 여성은 같은 민족이 아니어서 더 눈길을 끈다.

 

 

 

무덤만드는 기술에 이용된 나무를 결구하는 방법과 펠트를 제작하는 방법은 결국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것이었다. 필자가 소개한 알타이의 유적 가운데 미라가 나오는 무덤은 극히 일부이고 파지리크 유적, 바샤다르, 투엑타 유적과 같이 화려하고 많은 부장품의 경우도 일반적인 것은 아니다. 해발 2500m의 우코크 고원에서 발견된 아크 알라하 3, 베르흐 칼쥔II유적, 추야 계곡의 수많은 기원전 5세기 사람들은 대부분 무덤 부장품이 소박하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문화권 가운데 시베리아에서 무덤 속에 나무방을 지었다. 기원전 9세기 아르잔-1호로부터 시작된 나무 다듬는 기술은 기원전 5세기 알타이의 유적까지 이어진다.

 

시베리아의 스키타이 문화에서는 집과 관련된 유적이 발견되지 않는다. 하지만 스키타이 문화의 서쪽에서는 성벽을 아주 튼튼하게 쌓은 성곽 유적들이 드네프르강 주변에 빼곡하게 발견되었다. 필자가 이는 이미 포스팅 한 바 있다.

 

시베리아 스키타이 사람들은 헤로도투스가 말한 것처럼 집도 없었을까?

하지만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분지의 보야르 암각화 유적에서는 집을 그린 것이 발견되었다. 이 유적은 타가르 문화(스키타이 문화권 가운데 미누신스크 지역문화)에 해당하며, 가장 늦은 기원전 4세기 가량의 유적으로 알려졌다.

 

 

그림 1.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보야르 유적의 말라야 보야르 지접, 볼사야 보야르와 말라야 보야르 지점이 있다.

 

 

 

그림 2. 기원전 9세기 아르잔-1호에서 출토된 직물들. 유적의 중심무덤방은 도굴된 상태여서 중요한 유물은 없었지만, 직물의 존재는 알려지게 되었다. 펠트 조각들이다. 

 

 

 

아마도 이들의 집은 일종의 ‘유르트’라고 불리는 텐트와 관련되었을 것이다. 유르트의 본질은 쉽게 조립되고 분해되는 것이다. 일종의 밴드로 연결된 격자벽을 둥글게 엮고 그 위에 반원형 모양의 지붕을 만들 수 있는 돔형 구조물이 있고, 이를 덮을 수 있는 펠트만 있다면 가능했을 것이다. 연구자들은 암각화 속의 집을 일종의 유르트 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유르트는 쉽게 분해 할 수 있고, 흔적은 남지 않는다.

 

스키타이 무덤속에서 발견되는 나무를 다듬는 기술을 아마도 당시에도 텐트의 골조를 만들던 기술로 연결되었을 것이다. 아크 알라하-1 유적의 무덤방에는 이미 사용되었던 것으로 나무를 재사용해서 무덤방을 만들었던 것이 발견된 적이 있다. 물론 펠트는 사방에 널려 있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에서 가장 이른 무덤인 아르잔-1호는 시베리아 투바 지역에 위치한다. 아르잔-1호에 대해서 소개한 지 오래되기는 했지만, 통나무 6000개 이상을 소비한 무덤에 대한 강열한 인상은 남아 있을 것이다.

 

나무를 이용한 무덤방의 전통은 투바에서 아르잔-1호와 아르잔-2호로 이어지고, 알타이의 무덤에서도 발견된다. 희한하게도 기원전 5세기 투바에서는 무덤이 발견되지만 나무방의 전통은 알려지지 않았다. 대신에 알타이의 해발 1500m이상 유적들에서 확인되었다.

 

아르잔-2호는 하나의 봉분 아래에 여러 개의 무덤이 함께 만들어진 것인데, 그 중에서 5호묘에 나무방을 2겹으로 만든 것이 발견되었다. 땅을 파고 나무로 된 무덤방을 넣도록 되어 있다. 구덩이의 크기는 나무로 된 무덤방 보다 살짝 크기 때문에 나무무덤방은 미리 재단을 해서 구덩이에 넣어야 했다. 나무가 겹쳐지는 끝에는 오목하게 홈을 파서 결구가 되도록 했다. 그런데 미리 재단을 하는 아르잔-2호의 무덤방 만드는 방법은 이른 시기의 아르잔-1호의 중심무덤방에서도 보이는 것이었다. 이 부분도 설명한 바 있다.

그리고, 알타이의 파지리크 유적 2호와 5호에서도 미리 재단을 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알타이의 무덤에서는 무덤방 위에 자작나무 껍질을 넓게 잘라서 펴둔 것이 발견되었다. 자작나무 껍데기는 가을과 겨울에 벗기지 못하고 봄 혹은 여름에 버낄 수 있는 것이다. 또 파지리크 유적, 바샤다르 유적 등에서는 무덤방을 덮었던 이끼 더미 속에서 노란색 꽃의 존재를 발견했다. 이들은 무덤을 만들기 위해서 여름부터 준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덤방을 덮었던 자작나무 껍데기는 20세기 후반까지도 지역 유목민들에 의해서 사용되었다. ‘유르트’라고 불리는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의 집이다.

 

 

그림 1. 기원전 5~4세기 시베리아의 암각화, 보야르 암각화 유적, 말라야 보야르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12. 10. 09:30 스키타이 동물장식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는 지역은 흑해지역부터 시베리아를 거쳐 몽골 및 중국동북지역까지 넓은 지역에 퍼져 있다. 이는 그간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아시다시피 시베리아가 스키타이 문화의 기원지로 주목된 것은 아르잔-1호에서 출토된 원형의 맹수장식 때문이다. 이 문양은 기원전 9세기 이후부터 스키타이 땅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과연 시베리아가 스키타이의 땅이었을까? 하는 의심을 가진 분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스키타이 문화에 대해서 처음 기록한 헤로도투스는 이런 문구를 기록했다.

'그 나라(스키타이) 의 북쪽에는 계속해서 눈이 내린다... 이 대륙의 북쪽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다.'

 

흑해북안의 올리비아에 살던 헤로도투스가 어떻게 이를 알았는지는 모르지만 분명히 흑해북안과는 다른 지역이다. 물론 그가 살던 기원전 4세기 전후의 기후상황도 살펴야 할 것이다.

 

시베리아는 드넓고 위도에 따라서 자랄 수 있는 식물의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기후대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가운데 산림스텦지역과 초원스텦지역에 유적이 남아 있다. 시베리아에서 유적들이 발견되는 강은 오브강, 예니세이 강, 레나 강이 가장 큰 강이며, 이 세 개의 강이 체계의 근원이다. 이 강에서 뻗어져나간 지류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을 알았는지 몰랐는지, 그리스 역사가는 ‘이 나라가 어떻게 세계에서 가장 크고 많은 강을 가지고 있는가’라고 언급하고 있다.

 

17세기에 러시아의 벌목꾼, 광부, 정착민들이 이 지역에 들어오기 전까지 이곳에 살던 사람은 목축, 수렵채집, 어로생활을 유지했다. 그만큼 자연환경이 풍족했기 떄문이다. 17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 3600만명의 사람들이 지역의 자원을 착취하기 위해 수용소에 투옥되거나 내부 추방 또는 재정착을 위해 시베리아로 보내졌다. 즉 러시아는 시베리아를 식민지로 개척했다.

1989년 조사 당시에 26개의 민족집단이 거주 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곧 멸종된 운명이라고 여겨졌다. 이들의 수가 많이 준 이유는 질병 때문이다.

 

 

 

그림 1. 상트 페테르부르그의 러시아 민족학박물관, 17세기~20세기 초반에 로마노프 왕조에서 보낸 사람들이 모은 각 민족의 자료는 이곳(러시아민족학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그림 2. 야생 순록 사냥을 하는 민족

 

 

 

헤로도투스(4-47)는 ‘그들(스키타이)의 나라는 편평하고 풀이 무성하며 물이 잘 흐르고 강이 흐른다’고 묘사했다.

 

산림스텦지역 이남은 초원스텦지역으로 사냥이나 목축에 완벽하게 적합하다.

스키타이 사람들과 그들의 후손들이 목축유목주의에 기초한 독특한 경제와 생활 방식을 발전시킨 것은 광대한 내륙아시아의 개방된 공간에서이다. 중앙아시아 서쪽에는 건조한 스텝지역, 신장 남부는 모래 타클라마칸 사막이 있고, 서쪽은 코카서스 산맥 및 흑해와 숲을 경계로 한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