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 여성형상물 전통의 시작: 부활과 다산(흑해지역)

 

인간은 스스로를 닮은 인형을 ‘인간형상물’을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만들기 시작한다. 교과서에 나오는 오스트리아의 빈델도르프?는 ‘비너스’라고 일컬어졌다. 그런데 같은 시대에 유럽 뿐만 아니라 흑해 부근의 후기 구석기 문화와 시베리아의 말타 유적에서도 여성형상물을 주거지에 매장하는 관습이 있다. 흑해 부근에서는 대략 23000년 전 유적인 코스텐키 (Kостенки, Kostenki) I유적(그림 1), 가가리노(Гагарино, Gagarino) 유적, 호틸레보(Хотылево, Khotylevo) 2 유적 등에서 인간형상물이 대거 발견된다. 시베리아에서는 말타 유적 외에도 부레티 유적 등에서 출토된다.

이들 유적은 모두 당시 후기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살았던 취락 유적이다.

코스텐키 I유적은 주거지 4기가 발견되었고 그 중에 2기가 발굴조사되었다. 주거지는 타원형으로 장변의 길이가 대략 40m 너비는 일정하지 않지만 가장 넓은 곳을 기준으로는 19m가량이다. 중앙에는 8개의 노지가 일렬로 위치하고 있으며, 문지는 3개인데, 장변의 2/3지점과, 단면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다. 뿐만 아니라 주거지에는 노지 주변과 주거지 가장자리를 따라서 수혈이 많은데, 그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김재윤 2019a).

 

 

인간형상물은 1호 주거지(그림 1)에서만 여성형상물이 102 개가 집중 출토되었다. 여성상은 맘모스 상아로 제작된 것이 4점이고 그 외는 이회암으로 만들어졌다. 대부분 전신상으로 머리에 눈코입을 표현하지 않고 가슴과 엉덩이를 매우 강조한 형태이고(그림 2-1), 일부러 훼손한 흔적도 발견된다(그림 2-2). 측면에서 볼 때 등을 구부린 모습이다(아브라모바 1987, 김재윤 2019a). 동시대의 가가리노 유적(그림 2-3)과 호틸레보 2 적(그림 2-2)에서도 여성형상물이 출토된다. 그런데 호틸레보 2 유적의 여성형상물(그림 2-2)은 단순히 살찐 모습이 아닌 임신한 여성으로 알려져서, 다른 형상물들과 구분하기도 한다. 가가리노 유적의 유물은 비만한 앉아 있는 여성이다(가브릴로프, 흘로파체프 2018).

흑해지역의 후기구석기시대 여성형상물은 대부분 주거지에서 출토되며, 남성상은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시베리아와 대조적이다(김재윤 2019a).

 

 

 

하지만 시베리아에서는 여성형상물에 비해서 숫자가 적고, 간단하게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남성들도 형상물로 만들어졌다. 동유럽에 비해서 살찌거나 임신한 여성을 두드러지게 표현하지 않은 점도 여성을 ‘생산’의 대상으로만 본 것은 아니고 어쩌면 ‘부활’의 의미를 담았다. 말타 유적의 여성형상물은 집 안에 인골과 함께 매장되었고, 무덤 속의 매장으로 보기 때문이다. 집 안에 무덤을 만들어서, 그가 다시 부활하기를 바랬을 수 있다. 미라를 만들었던 의미와도 일맥상통한다(김재윤 2022a).

 

참고문헌

 

김재윤 2023,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 전통의 시작부터 극대화까지」, 『한국의 고고학』, 58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