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2. 6. 26. 09:22 사르마트 문화

사르마트 문화가 흑해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시기는 기원전 2~1세기이고, 기원후 1세기경 흑해 북안의 드네프르강까지 다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보스퍼러스 왕국과도 긴밀한 관계를 가졌다. 기원전 5세기 경 케르치 해협(흑해와 아조프해 사이의 해협)에 위치한 이 국가는 그리스 문화의 색채를 많이 가지고 있었고, 실제로 그리스 문화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포스팅 참고).

 

2020.08.30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흑해의 전사] - 보스포러스 왕국의 사슴장식판

 

보스포러스 왕국의 사슴장식판

흑해의 크림반도 끝은 케르치 해협이라고 불리고 이곳을 케르치 반도라고 한다. 흑해와 아조프해를 연결하는 곳으로 다리처럼 생긴 지형이다. 이곳에는 스키타이 유목민과 그리스의 특징이 뒤

eastsearoad.tistory.com

 

그런데 이들의 지도자 이름 가운데 아스푸르그, 파르조이 등 이란 출신의 이름이나 사브로마트라고 하는 민족명도 있었다. 아마도 그들과 긴밀한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원전 1세기에는 특히 보스포러스 왕국 인구의 인종 구성은 크게 혼합되었던 것고 생활방식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유목생활방식과 흑해 북안의 대초원의 호전적인 성향이 유물에 그대로 반영되었던 것이다.

 

지하실에서 발견된 벽화는 유르트를 묘사하고 있다. 또 케르치 해협에서는 이 시기의 4바퀴의 수레 점토모형도 발견되었다(그림 1). 유목민의 텐트는 펠트로 만들어졌고 마차에 부착되었고, (그림 2) 소는 텐트 주변에서 풀을 뜯고 치즈와 우유를 먹었다.

 

사르마트 사람들은 스키타이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목축업을 했는데 특히 유목생활을 했다. 지리학자는 Strabo는 사르마트 사람들이 다음과 같이 이동했던 것으로 기록했다. “ 그들은 무리를 따라가며 항상 가장 좋은 목초지가 있는 지역을 선택하는데 여름에는 평야, 겨울에는 아조프 해 근처의 늪에서 지낸다.

 

 

그림 1. 기원전 1세기경 보스포러스 지하의 벽화 그림

 

 

 

그림 2. 기원후 1~2세기 케르치반도. 수레모형, 토제품, 1900년도에 구입함.

 

스키타이 문화와 사르마트 문화의 유사성은 쿠르간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때로는 무덤이 일렬로 늘어져서 언덕 위에 축조되거나 가장 높은 지역 주위에 그룹화되어서 발견되었다. 사르마트 사람들도 사후 세계에 대한 관념이 있었던 것 같다. 고대 무덤에 개인 소지품, 생활용품과 의례용품, 음식(고기 및 음료) 등을 넣었다.

 

참고문헌

 

И.П. Засецкая Сарматы в Северном Причерноморье. // Сокровища сарматов.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СПб; Азов: 2008.(자세츠카야, 2008, 흑해 북안의 사르마트 사람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필자는 고대 인도언어로 씌여진 리그베다에 대해서 전혀 모른다. 하지만 안드로노보 문화를 연구한 쿠즈미나, 데이비드 앤서니, 신타시타 유적을 발굴한 게닝은 리그베다에 언급된 의례행위와 신타시타 유적에서 남겨진 의례모습을 비교한다. 그래서 소개만 한다.
(리그베다 가운데 가장 오래전에 씌여진 부분은 ‘가타’라고 하는 부분으로 기원전 1200~1000년경에 작성되었고, 원전은 기원전 1500년경 보다 이전에 씌여졌다고 한다. : 데이비드 앤서니)

신타시타 유적의 SB쿠르간은 불룩한 봉분 아래에 나무구조물로 된 매장 주체부 위를 돔형 지붕이 덮고 있고 사방에는 나무구조물이 이를 받치고 있는 구조였다(어제 포스팅 참고).

그림 1. 신타시타 유적 SB 쿠르간 복원도


그런데 리그베다에는 “그들에게 망자를 이 언덕 아래로 묻도록 하라”라는 구절은 쿠르간을 의미한다고 보았고, 지붕에 대한 은유적인 표현도 있다고 한다(데이비드 앤서니).
뿐만 아니라 신타시타 남쪽의 SB 무덤군에서 발견된 동물희생구덩이를 리그베다의 구절에서 찾기도 한다. 희생구덩이를 상기하면 말, 소, 양의 머리가 2열로 나란히 놓여 있었고 그 위에는 토기 항아리를 거꾸로 세워서 두었다. 그리고 동물의 두개골 사이에는 말의 발 부분의 뼈가 놓여 있었다(그림 2).

그림 2. 신타시타 유적 SM 무덤군의 희생구덩이 1호


리그베다에는 희생물을 자르는데 다리를 손상시키지 말고 가지런히 놓을 것을 주문하는 장면도 적혀 있다. 뿐만 아니라 경주마를 요리하고 이를 기다리는 사람들을 만족시키고자 하는 부분에 대한 내용도 적혀 있는데, 장례식에 온 손님을 대접하는 장면을 서술한 것이다. 또한 희생구덩이에서 항아리를 엎어놓은 것은 세상의 왕이 대지를 적시기 위해서 바루나가 통을 뒤집는다는 구절과도 연결시키기도 한다(데이비드 앤서니).


알타이의 파지리크 유적을 발굴한 루덴코(1960)가 자신이 경험한 중앙아시아민족의 장례식 장면을 묘사했는데, 매우 거대했고, 손님 접대를 어떻게 했는지 상세하게 적고 있다. 그리고 자신이 발굴한 기원전 5세기경의 유적들도 비슷한 장면으로 장례식을 치렀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마도신타시타 유적에서도 거대한 장례식 뒤풀이가 있었을 것이다. 아래 포스팅에서 루덴코가 경험한 장례식에 대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2020.07.16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바샤다르 유적] - 2600년 전 알타이의 장례식과 미라

 

2600년 전 알타이의 장례식과 미라

2600년 전 시베리아 알타이에는 높은 곳에 깊은 무덤구덩이를 파고 나무로 된 무덤방을 만들고 말과 함께 매장하는 장례식이 행해졌다. 2600년 전 이전에도 장례식 이후에 축조된 결과물은 다르지

eastsearoad.tistory.com


신타시타 유적이 위치한 토볼 강변은 매우 평지인데, 높이 4.5M의 쿠르간이 만들어졌다면 꽤 인상이 깊었을 것이다.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안드로노보 문화의 세력범위는 꽤 넓었다. 안드로노보 문화의 아류작이 아프카니스탄 북부(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까지 발견된다고 보고되었다., 당시에 전차로 커뮤니케이션이 되었다면, 리그베다를 지은이가 자신의 책에서 서술했을 지도 모르겠다는 상상도 해본다.

얼마 전에 시인 톨스토이(안나 카레리나를 쓴 소설가 아님)가 1840년에 쓴 ‘쿠르간’이라는 시도 발견했다. 쿠르간은 인상깊은 고대의 유산이었기에 아주 오랫동안 문학의 소재로 이용된 듯 하다. 인도 유럽 공통조어를 쓰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아리아인이라고 불렀다던지 이런 것은 전혀 잘 모르겠다.
신타시타 유적에서 발견된 이상한 쿠르간과 의례행위를 조금이라도 이해하려고 하는 노력?이다.

참고문헌
Генинг В.Ф., Зданович Г.Б., Генинг В.В. Синташта: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памятники арийских племен Уральско-Казахстанских степей. Часть 1. Челябинск. Южно-Уральс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92. - 448 с. (게닝, 즈다노비치, 게닝. 1992. 신타시타 유적: 우랄-카자흐스탄 스텦지역 아리아 인의 고고학 유적)
데이비드W. 앤서니. 『말, 바퀴, 언어』. 에코리브르. 2015.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우크라이나 드네프르강의 유역(좀 더 정확하게 남부그 강)에는 쿠쿠테니-트리폴리예 문화라고 하는 매우 지속력이 강한 농경문화가 자리 잡았다. 문화는 기원전 5200~5000년경에 시작된다. 이 문화의 후기인 기원전 3700년경에는 대형 집락이 들어선다. 집들이 따닥따닥 붙어서 둥글게 지어진 것이다. 마이단네츠케, 탈얀키, 도브로보디 유적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을 일컬어서 도시라고 하지는 않았다. 도시에는 행정관청이나 사원 혹은 매우 집중화된 권력이 나타나야 하지만 이 유적에서는 그런 흔적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비슷한 시점에 흑해의 우안에 위치한 코카서스 산맥의 북부 쿠반 강 유역에서는 도시라고 부를 수 있는 취락지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매우 강력해 보이는 권력을 가진 남성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높이가 11m가 넘고 직경이 100m가량의 남성 무덤이다. 이 남성은 코카서스 보다 남쪽의 우루크 지역 사람들과 알고 지냈다. 마이코프 남성의 의복과 일부 부장품은 거기서 가져온 물건이기 때문이다. 목걸이로 사용된 구슬은 더 먼 동쪽 타지기스탄, 파키스탄 등에서도 가져온 것이다.

 

그런데 마이코프 문화를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유적이라고 하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문화적 코드는 무덤인데, 쿠르간이다. 기원전 4400~4200년경 드네프르강 유역에 말을 타고 나타났던 스레드니 스톡 문화에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던 쿠르간은 동유럽 전체에도 퍼졌고, 일부 엘리트 집단들은 부장품을 풍부하게 묻었다. 이 문화는 기원전 3700년까지 영위되다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고 그 이후에는 미하일로프카 I문화가 들어섰다. 이때 코카서스 지역에서는 마이코프 문화가 생겨나면서 쿠르간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미하일로프카 I문화에서도 쿠르간이 만들어지지만 훨씬 더 큰 쿠르간은 코카서스 지역에서 생겨났다.

 

그림 1. 코카서스 북쪽 마이코프 문화의 쿠르간

 

그림 2. 드네프르 강 하류의 미하일로프카 I 문화의 쿠르간

 

마이코프 문화 이전에는 스보보드노예 문화가 있었고, 집이나 토기 제작기술은 이곳에서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단지 무덤양식의 변화만 마이코프 문화에서 있었다. 마이코프 문화는 재지의 문화이지만, 인접한 지역에서 유행하던 매장방법을 따르면서 쿠르간을 만들었을 것이다. 혹은 사람들이 왔을 것이다.

 

마이코프 문화의 토기는 붉은 색으로 광을 내서 만드는 항아리형 토기이다(그림 3).

 

그림 3. 마이코프 문화의 토기

 

마이코프 문화에서는 토제 원통형 인장(그림 4)도 발견되었다. 크라스노바르데이스코예 유적에서 발견된 것인데, 사슴과 나무가 새겨져 있다. 기원전 4000년경에 비슷한 문양이 아나톨리 지역에서 점토판에 새겨진 것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코카서스 남쪽 도시의 우루크 중~후기에 돌로 되어서 메소포타미아 상인들이 사용했을 것이다.

 

그림 4. 원통형 토제 인장

 

기원전 3700~3400년경 마이코프 유적이 위치한 코카서스 지역에서는 도시라고 할 수 있는 곳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그에 못지 않은 권력자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그는 동시대의 다른 이들은 알지 못했던 사람들과 교류했던 흔적을 남겼다.

 

참고문헌

데이비드W. 앤서니. , 바퀴, 언어. 에코리브르. 2015.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현재 살펴보고 있는 드네프르 강 유역의 기원전 4세기 스키타이 무덤인 가이마노바 유적은 하나의 봉분 아래에 2개의 큰 무덤방(1번, 2번 무덤방)과 작은 무덤방 2개가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심에 위치하고 깊은 곳에 만들어진 무덤은 2번 무덤방이다. 무덤방은 수직으로 판 입구 아래에 있지 않고 입구를 파고 연도(무덤방과 연결되는 복도시설)를 통해서 동굴처럼 생긴 무덤방으로 연결되도록 만들어졌다. 무덤방은 네모반듯한 것이 아니라 천정이 둥그스럼하게 생겼고, 무덤방의 입구도 타원형이다.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

전통이어서 그렇다고 볼 수 있지만 그래도 그 전통은 어디서 시작되었을까? 깊은 구덩이를 파고 동굴과 같은 무덤방을 만드는 것은 쿠르간의 구조에서부터 발견된다. 쿠르간의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이 있지만, 동유럽 초원의 동석기시대부터 쿠르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드네프르강 유역과 볼가 강 유역에서 발견되는 스레드니스톡 문화(Среднестоговская культура, Srednestogovskaya culture) 인 기원전 4000년기 전반을 쿠르간 I기라고 하며,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이행하는 동석기시대에 해당된다. 쿠르간 III기가 되면서 얌나야 문화 공동체(기원전 3000년 기 전반)가 되는데, 동유럽부터 시베리아 초원에서도 얌 문화가 발견된다. 동유럽의 동석기시대 마지막시기이다. 

[문화공동체는 문화권과 같은 개념이다. 암나야 문화 (Ямная культура, Yamnaya culture). 얌(Ям)은 구덩이라는 의미이다.]

 

쿠르간의 대표적인 연구자인 마리야 킴부타스는 ‘무덤은 자궁이다’라고 하는 이론을 유럽의 신석기(그림 1) 및 동석기시대  무덤에 대입했다.

 

그림 1. 아일랜드 신석기시대 널길무덤문화 기원전 4천년기 후반

 

무덤은 자궁이다라는 생각은 이미 오래전부터 서구의 학자들 사이에 있었다.

 Dames(1977)는 무덤은 실제 주검을 묻는 방과 긴 회랑 같은 통로로 구성되는데 자궁과 질을 나타낸다고 했다. 무덤을 만드는 자의 목표는 가능한 어머니의 몸에 가깝게 가는 것처럼 만들었을 것이고 그 개념이 무덤의 배치에도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보았고, 마리야 킴부타스는 이를 인용했다(1989). 무덤을 자궁으로 보는 시각은 구석기시대라고 르로이 구르한(1967)이 생각했다. 구석기시대에 지형적으로 좁튼 통로나 타원형 지대 또는 절개된 틈새나 동굴속 작은 구멍들에 표시한 흔적들이 이미 무덤을 자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필자는 비슷한 생각이지만 좀 더 정확하게는 무덤은 자궁을 의미하며 만들었을 테지만, 어느 순간 부터는 그 의미가 약간 다르게 변질되었을 것이라고 본다.  

 무덤을 자궁이라고 생각한 시점이 구석기시대인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최소한 쿠르간에서 발견되는 입구의 모양이나 통로 및 땅에 주검을 매장하는 의미가 자궁의 형상화 했다는 생각은 필자가 늘 생각해 오던 바이다.  필자가 경험한 장례식에서 가족들이 하는 모든 말과 행위는 다음에는 더 좋은 곳에 태어나라고 빌어주기는 것이기 때문이다. 좀 더 솔직히는 이런 말과 행위는 남아 있는 자들이 스스로 위안을 삼는 말이기도 하다. 실제로 일어나는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이러한 의미를 담은 무덤 구조가 스키타이 시대 들어와서 어마어마하게 커진 것은 단순히 주검매장을 위한 공간으로만 보기에는 경제적이지 못하고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사상적인 의미(+알파)가 클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예전 포스팅에서 마리야 킴부타스를 약간 비판한 적이 있는데 쿠르간에 대한 연구방향이 처음과 달라서 개념이 불분명해졌기때문이다. 소비에트 연구자 이지만 원래는 리투아니아 연구자였고 마지막에는 미국학자로 생을 마감했다. 그 전 포스팅에서 라트비아라고 했는데 그녀는 리투아니아 사람이다.

 

더보기

필자가 어렸을 때 중3쯤에 당시 학생들 사이에서 대유행했던 것이 외국사람들과 펜팔하는 것이었다. 다들 미국 혹은 영국사람들과 펜팔 신청을 했지만 나는 동유럽사람을 신청했다. 원하는 것은 러시아였지만 원하는 국가로 러시아를 신청할 수는 없었고 퉁쳐서 동유럽이라고 되어서 적었는데, 우연하게 당첨된 것이 리투아니아의 또래 여학생이었다. 거의 2년 동안 한달에 한번쯤 편지를 주고 받았는데, 어느 순간에 끊기었다. 그렇게 생각해보니 나는 리투아니아 사람과도 인연이 있었네....ㅋ

 

참고문헌

Dames, M. 1977 The Avebury Cycle. London: Thames and Hudson

Leroi-Gourhan, A. 1967 Treasures of Prehistoric Art. New York: Harry N. Abrams.

Gimbutas Marija ,1989. The Language of the Goddess: Unearthing the Hidden Symbols of Western Civilization. San Francisco: Harper & Row.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시대의 사르마트 문화(스키토-사르마트문화)는 볼가 강~돈강 유역과 우랄 강 하류에 주로 분포한다. 유럽쪽에 더 가까운 볼가~돈강 유역과 아시아쪽에 더 가까운 우랄 강유역의 무덤은 구조차이가 있다. 이를 기준으로 스키토-사르마트 문화는 같은 문화이지만 지역유형으로 구분한다.

 

볼가~돈강 유역의 무덤은 봉분을 만들기는 하지만 무덤구덩이를 파고 그 위를 나무덮개 혹은 덤불 등으로 덮고 봉분을 쌓는 구조가 기원전 6세기부터 발견된다. 목조구조물 혹은 나무방 등을 무덤구조물로 사용하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블류멘펜드 유적(기원전 5세기)(그림 1-2)과 레닌스크 유적 등이 있다.

 

반면에 우랄강 유역의 무덤은 일정하지는 않지만 무덤구조에 나무로 된 방을 만든다. 이미 포스팅한 파트프마리 I유적 뿐만 아니라 타라-부탁(그림 1-1a,1b) 유적이 있다. 두 유적은 같은 시기(기원전 6세기)의 유적이지만 무덤 구조는 비슷한 듯 다르다. 바닥을 파는 방법이 다른 것인데, 파트프마리I유적은 시신을 안치하기 위한 공간만 팠고, 타라-부탁 유적에는 바닥 전면을 파고 목조구조물을 여러 겹 둘렀다.

 

우랄 강 유역의 기원전 5세기에는 좀 더 복잡한 구조가 등장한다. 메제트-사이 유적인데, 무덤 안에 3개의 구조가 다른 무덤이 동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중앙의 무덤은 나무를 사용한 나무방(3d)이 가장 아래에 있고 그 위를 카타콤이라고 부르는 무덤(3f)이 무덤방 덮개를 파고 들었다. 뿐만 아니라 카타콤 무덤은 목조구조물의 서쪽(3b,c)에도 자리잡았다. 그 끝에는 또 다른 무덤구조가 있다. 한쪽 벽면을 계단처럼 판 것이다(3e).

스미르노프는 메체트-사이 유적의 II호 쿠르간은 같은 시기에 만들어졌다고 보았다.

 

이제까지 살펴본 우랄강 유역의 무덤은 어떤 형식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무덤구조가 발견된다고 했는데, 메체트-사이 유적은 그런 유적의 총합처럼 보인다. 필리포프카 유적 1호에서도 같은 봉분 아래에 구조가 다른 지상식 매장주체부(목조구조물)과 지하식(연도가 달린 토광묘)가 함께 발견된 적이 있다. 메체트-사이 유적과 같이 한 봉분 아래 여러 무덤구조가 함께 존재하는 예로 볼 수  있다.

 

스미르노프는 볼가-돈강 유역은 원래 그 지역에 살던 사람들의 무덤구조에 스키타이(흑해유역)문화의 영향으로 봉분과 목제덮개를 사용하는 구조로 바뀌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림 1-2의 블류멘펠드 유적의 무덤 구조를 알 수 있는 단면도는 구할 수 없었다.)

스키토-사르마트 문화의 무덤은 주인공이 여성인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이를 일반화 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그림 1. 기원전 6~5세기 스키토-사르마트 문화의 쿠르간, 1-타라-부락 유적(기원전 5세기), 2-블류멘펠드 유적(기원전6세기), 3-메체트-사이 유적(기원전 5세기)

 

참고문헌

 

Смирнов К. Ф., Петренко В. Г. 1963, Савроматы Поволжья и Южного Приуралья. М., 1963(스미르노프, 페트렌코, 1963, 우랄남부와 볼가 강 의 사우로마트)

Степи европей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Археология СССР / Археология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средневековья 1989. 464 с(러시아과학아카데미 1989, 소비에트 연방 유럽 내의 스키타이-사르마트 시기, 소비에트 고고학 시리즈)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4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