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대학에서 고고학과에서 무엇을 배우는지 궁금한 학생들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고고학자가 되고 싶은 질문을 하는 사람은 당연히...


무엇보다도 고고학이 다루는 대상은 유적과 유물이다.
유적과 유물에 대해서는 포스팅 한 바 있다.

http://eastsearoad.tistory.com/51?category=725433

http://eastsearoad.tistory.com/84?category=725432


고고학과 혹은 고고학 관련학과에 가면 학교마다 커리큘럼에 차이는 있다.


예를 들면 순수 고고학과는 1학년부터 4학년까지 고고학 관련 수업으로만 들을 수 있지만, 고고인류학과는 대게 고고학 전공과목과 인류학과 전공과목으로 나눠지고, 둘 다 들어야 한다. 졸업할 때 요구되는 학점은 같으니 당연히 고고인류학과를 졸업하게 되면 고고학 관련 과목에 대한 이수학점은 낮다. 물론 인류학 수업도 들었으니 분명히 플러스 되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학생들은 고고학자는 발굴하고 거기서 나온 유물로 연구하는 것을 꿈꿀 것이다.

당연히 이와 관련된 과목이 있어야 한다. 야외고고학, 고고학 실습과 같은 것이다.
인문학에서 실습이 있는 학과가 거의 없지만 고고학은 예외다.
발굴도 발굴이지만, 유물을 관찰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관찰하면서 실측이라는 것을 배우게 된다. 건축학에서 도면 설계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유물을 똑같은 사이즈로 자로 재고 본뜨고, 유물 만드는 사람이 어떻게 만들려고 했는지 의도를 파악하면서 실측을 한다.


그림 1. 아누치노14유적의 석촉(내가 가지고 있는 실측도면은 대부분 러시아에서 그린 것이다. 박물관에서 일하면서 그린 것은 내것이 아니다. 모눈종이는 대부분 푸른색 계통인데, 러시아것은 오렌지 색. 모눈종이에 그리는 이유는 실제크기로 그리기 위한것임.정확함을 추구함.)


그림 2. 프레오브라줴니예1 유적의 토기 실측도(그림 3을 실측한 것. 실측도를 바로 논문이나 보고서에 이용하지 않고,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작업을 다시 한다. 최근에는 일본에서 유물 실측하는 기계가 만들어졌다고도 한다. 혹은 3D프린터기도 활용가능하다고 한다. 유물을 종이 도면으로 만드는 일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자됨으로 이런 부분들이 개발되고 있다. 매장관련업종에서는 이런 부분이 솔깃할 수도 있지만 실측은 그리는 기술적인 부분 보다는 유물관찰을 하는 것이다)

 


그림 3. 그림2의 대상이 된 토기. 


이 실측은 나중에 트레싱 작업(최근에는 일러스트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을 통해서 보고서 유물 도면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실측은 겉으로 보면 기술적인 부분만이 강조되지만, 사실은 유물을 관찰하는 것이다. 세밀하게... 예를 들면 토기의 문양은 어떻게 새겼는지, 이 도끼를 쓴 사람이 오른손 잡이 인지, 토기 구멍은 왜 뚫었는지 등등..


실측제대로 배우게 되면 세상 어느 유물을 보아도 관찰 할 수 있다. 필자도 대학교 학부시설에 배웠지만 이것을 제대로 하려면 시간과 트레이닝이 필요하다. 필자의 경우는 학교 졸업 후 박물관에서 일하며, 수없이 실측을 했다. 밤에 자려고 눈감으면 모눈종이가 머릿속에 둥둥 떠 다녔다. 힘든 기간 이었지만 뒤돌아 보면 나에게 무엇보다 소중한 기간이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미래의 인디아나존스를 위해서.. > 고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측  (0) 2018.05.11
고고학 전공에서 배우는 것 2  (0) 2018.02.21
고고학자가 되는 방법  (0) 2018.02.12
고고학과 논쟁  (0) 2017.11.02
고고학의 특수성  (0) 2017.09.14
posted by 김재윤23

필자는 원래 석사 때 전공이 청동기시대였다. 남한 청동기시대 기원문제를 다루었었는데, 박사과정 중과 최근 까지는 계속 신석기시대로 글을 적었다. 물론 올해도 적고 있다. 그런데 딱 10년 만에 다시 청동기시대에 대한 글을 시작하고 있다.


 진주의 평거동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토기와 석기 가운데서 연해주와 관련된 유물을 찾았기 때문이다. 평거동에는 압록강 유역과 관련된 것도 있지만 그 쪽의 것이 아닌 두만강 유역 및 연해주 관련 자료가 많다. 바로 연해주의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와 시니가이 문화이다.



  연해주의 청동기시대 시작 문제는 토기와 석기를 중점적으로 다루려는 시각과 청동유물에  방점을 두는 시각으로 나눠진다. 그 대상은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이다. 원래 이 문화는 신석기시대와 다른 토기와 마제석기를 기반으로 해서 청동기시대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청동기를 모방한 석검과 청동유물이 없고, 마제석기가 주요하지 않으며, 농경의 존재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들로 인해서 신석기시대로 보고자 하는 논의도 생겨났다. 하지만 최근 신석기시대와 확연히 구분되는 토기와 재배된 곡물 존재로 인해서 청동기시대로 보고자 하는 의견도 다시 수면위로 떠올랐다.


 특히 마제석기보다 타제석기가 많은 점은 마제가 타제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부수적으로 사용될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청동기가 부재하는 것은 청동기 제작 집단과 접촉이 없었을 가능성도 존재함으로 토기와 석기가 시대 구분의 특징으로 삼아야 된다는 주장을 하게 되었다. 특히 올가-10 유적에서는 조와 기장 등 재배된 곡식이 출토됨으로 굴지구류가 없어서 농경이 없었을 것이라는 주장을 반박하였다. 마르가리토프카 문화는 학자에 따라서는 프후순 유형이라고도 한다. 모나스트르카-3, 바다라즈젤나야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를 칭한다. 연구자마다 따로 분석하였지만 모두 마연된 돌대각목문토기(그림1~5)를 특징으로 한다. 타제석기가 주요하며 마제석기는 원판형 석기, 석창, 석부가 있다.


그림 1. 프레오브라제니예-1 돌대문토기 1

그림 2. 프레오브라제니예-1 돌대문토기 2


그림 3. 프레오브라제니예-1 돌대문토기 3


그림 4. 프레오브라제니예-1 돌대문토기 4


그림 5. 프레오브라제니예-1 돌대문토기 5


그림 6. 프레오브라제니예-1 석촉


그림 7. 프레오브라제니예-1 원판형 석기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이것은 진주 대평에서 출토된 곡옥형 청동유물(그림 1)이다.

 


그림 1. 대평출토 곡옥형 청동기(선문대학교 2001)


얼마전 까지만 해도 대평출토 유물은 한국비파형동검(기원전 10~8세기)출토시기 이전 이라는 것에 논란이 있었다.


그 논란은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아니라는 설과 청동기시대이며, 비파형 동검 이전에 시기의 청동유물로 남한이 비파형동검 이전에 청동기시대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라는 것이다. 하지만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아니라는 설이 우세했다. 왜냐하면 출토정황이 명확치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정선 아우라지에서 남한 청동기시대에서 가장 오래된 토기와 청동기가 공반되어 출토되면서, 남한도 비파형 동검 이전에 이미 청동기가 존재했다는 것을 고고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다.


따라서 대평출토 곡옥형 청동기도 우연히 출토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방증한다. 그럼 이 유물은 어디서 온 것일까?
일단 남한에서 청동기시대 비파형 동검 이전에 청동 유물이 제작되었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따라서 외부지역으로부터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 유물은 연해주의 청동기시대 시니가이 문화(그림 2)에서 출토된다.



그림 2. 시니가이 청동유물(필자좔영)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앞서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토기, 석기, 집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http://eastsearoad.tistory.com/124?category=732912

http://eastsearoad.tistory.com/125?category=732912

http://eastsearoad.tistory.com/126?category=732912


이 문화는 한반도 두만강 유역의 서포항 유적에서 확인된다.
필자가 이를 서포항 상층문화로 논한바 있다(김재윤 2009).


연해주의 자이사노프카 문화는 두만강 유역, 연해주 내륙, 목단강 유역까지 넓게 퍼져 있었다.



그림1. 동해안북부문화권(5000~3800B.P.)


그림 2. 동해안북부문화권에서 출토된 토기


이를 필자는 ‘동북한문화권’이라고 논한 적이 있다(김재윤 2009). 그러나 동북한이라는 말은 국경이 포함된 내용으로 국경이 없었던 선사시대와는 대치된다. 그래서 ‘동해안북부문화권(김재윤 2017)’으로 정정한 바 있다.




그림3. 러시아,중국,북한의 접경지역. 다리로 이어진 곳이 러시아와 북한이고, 사진을 서서 찍은 곳이 중국이다

(http://eastsearoad.tistory.com/99?category=714181)


*이 지역의 역사를 제대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국경 수립전과 후로 나누어서 역사를 정리할 필요가 있으니....현실은 그리 녹녹해 보이지 않는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자이사노프카 문화에서는 연해주 신석기시대 최초로 갈판과 갈돌(그림 1)이 출토되었다. 갈판과 갈돌은 과거에는 농경의 직접적인 증거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에는 반드시 그렇다는 할 수 없다는 의견이 더 많다. 예를 들면 도토리를 가는 경우와 같이 농경과 관련되지 않은 식물이용에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 1. 갈판과 갈돌

하지만 확실히 앞선 루드나야 문화, 보이스만 문화와는 다른 문화 양상이 보인다. 특히 땅을 파는 굴지구(그림 2,3) 류가 많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 도구는 땅을 파는 도구로서 농경의 간접적인 증거로 많이 논하기도 한다.

물론, 땅을 파는 이유가 반드시 개간만 있는 것은 아니다. 집을 짓기 위해서 땅을 팔 때도 필요하고 등등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이유는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 부터도 필요 했는데, 이 자이사노프카 문화에서 집중적으로 대형 괭이가 발견되는 것은 앞선 시기와 문화양상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자이사노프카 문화에서는 일부 주거지에서 농경의 직접증거로 볼 수 있는 곡물이 발견되어서, 이 시기 부터 연해주에서 농경이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림 2.자이사노프카 문화의 굴지구

그림 3.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굴지구

그림 4. 굴지구류의 자루착장방법

그림 5. 현대의 괭이(굴지구)

목제가공구류와 생각되는 석부와 석착(그림 6, 7) 등도 확인된다.

그림 6,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석부와 석착


그림 7. 다양한 석부의 착장방법

재밌는 유물은 그림 8,9이다. 한반도에서는 달도끼 혹은 원형 석부라고 불리는 유물이다. 달도끼는 정확한 용도를 몰라서 부르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곤봉대가리’라고도 하는데, 막대기에 끼워서 사용하는 것으로 권력자를 상징한다고 보고 있다. 중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유물을 석월이라고 하며, 역시 신분이 높은 사람이 권위를 상징하는 유물로 보고 있다.
그런데 러시아에서는 구멍을 뚫기 위한 도구로 보고 있다.

그림 8.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투공구 1

그림 9.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투공구 2


유사하게 생긴 유물을 두고 각 국가 마다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는 점이 재밌기도 하고, 석기의 용도는 정말 알기 힘들다는 생각도 하게 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