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고대 알타이(기원전 5세기)의 무덤 속에서 나오는 그릇은 토기 외에도 목제로 된 용기가 존재한다. 손잡이가 한쪽으로만 붙은 것인데, 아르잔-2호에서 발견되면서 기원전 7세기 이후부터 이미 시베리아에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목제 용기는 알타이의 무덤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더 전통적인 그릇이며, 역시 쿠미즈를 담기 위한 그릇이다.

 

주로 알타이에서만 출토되지만 서쪽에도 사용되었다. 볼가 강 유역의 필리포프카 유적에서는 목제 그릇에 달아서 장식했던 동물장식이 발견되었다. 모로드비노프카 유적의 목제 그릇은 아마도 유일하게 알타이를 벗어나서 목제 그릇의 존재가 확인된 예일 것이다.

필리포프카 유적에서 나온 금판 장식들과 유사한 유물들이 기원전 5세기 이후에는 흑해지역에서도 드문드문 발견되기 때문에 목제그릇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 파지리크 유적의 5호분 출토 목제 잔

 

그림 2. 알타이의 뿔로 된 항아리, 아크 알라하-3 유적

 

나무잔 혹은 나무용기가 우유 혹은 유제품을 담는 용기를 사용하는 장면을 헤로도투스는 설명했다.

 

‘속이 깊은 나무 용기에 노예들이 주위에 서서 우유를 흔들도록 만든다. 표면에 생긴 것을 끌어내는데, 이것을 소중하게 여긴다. 바닥에 있는 것은 덜 한 것으로 취급받는다’라는 구절이다. 우유의 상층만 걷어내서 뭔가를 만드는 장면이다.

 

아뭏튼 나무잔과 토기는 모두 유제품과 관련된 그릇이라는 것은 이미 다 밝혀진 바이다.

 

그런데 알타이의 무덤에는 액체를 담기 위한 그릇이 한 종류 더 있는데 뿔로 만든 항아리 혹은 잔이다. 사실 스키타이 서쪽에서는 뿔로 된 항아리는 나오지 않는다. 각배의 전통이 있기 때문이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11. 9. 09:15 고깔모자와 코트

 

시베리아에서 발견되는 외투 종류 가운데 모피가 아닌 펠트로 제작된 코트가 파지리크 유적의 3호에서 발견되었다. 3호는 기원전 5세기의 1호, 2호, 5호와는 달리 기원전 3세기로 이미 스키타이 문화는 없어지고, 흉노 시절에 해당하는 무덤이다.

 

모자가 달린 매우 부피가 큰 펠트로 만들어진 것인데, 옷 위에 착용할 수 있고, 고리투스를 덮을 수 있다. 후드는 탈부착 가능하다. 인접한 투바지역의 민족지 자료가운데 비슷한 옷이 비옷으로 사용되었다. 이 펠트로 된 레인코트는 카자흐스탄의 말 목동과 몽골과 투바에서도 20세기 초까지 존재했다고 한다.

 

그림 1. 파지리크 유적 3호의 펠트코트

 

무기를 덮을 수 있을 정도로 큰 의복은 시베리아 남부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유목민들 사이에 매우 인기 있었다. 사냥이나 목축 뿐만 아니라 군사작전에도 사용된 기록이 남아 있다. ‘Strategikon’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인 Maurice(582~602년)가 남겨 놓은 군사매뉴얼인데, 이 코트에 대한 기록이 있다. 스트라테기콘에 따르면 소매가 넓은 펠트로 된 외투 또는 후드가 달린 옷이 군사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고 한다. 갑옷과 활을 덮을 수 있을 만큼 커서, 우천시 혹은 이슬로 축축해지면, 갑옷과 활을 덮어서 무장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언제라도 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또 갑옷은 펠트 코트로 가리면 그 빛이 적에게 멀리 보이지 않고, 또한 적의 화살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에 필요하기 위함이다.

 

아마도 이 비옷이 나온 3호 보다 이른 시점의 무덤에서도 비슷한 유물이 남아 있었을 수 있다. 이들 무덤에서는 알 수 없는 펠트조각들이 대량으로 나왔으나, 이미 형태를 알 수 없었다. 코트 형태가 아니라도 어떤 모습으로든 비오는 날에 대한 대비는 있었을 것이다. 

스키타이 활이 다른 유목민들 사이에서 매우 유명했고, 이 활을 만든 사람들은 잘 사용하고 보관하는 방법도 알았을 것이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11. 5. 09:15 고깔모자와 코트

스키타이 사람들의 고깔모자를 찾아서 페르시아와 그리스의 간접적인 자료(궁전 벽화, 토기)를 살펴보았다. 대개 인접한 국가들의 사람들은 스키타이인을 표시할 때 고깔모자를 쓴 채로 표시하는 것은 공통적이다.

하지만 실물자료가 발견되는 알타이에는 고깔모자(물론 하위 유형은 여러 가지이다) 외에 그냥 둥글고 귀를 덮는 흔히들 투구형 모자라고 부르는 자료가 알타이에서 발견되었다.

 

그림 1. 알타이 파지리크 유적 2호분의 투구형 모자

 

가장 많이 인용되는 헤로도투스는 스키타이 사람들을 묘사할 때 머리장식, 허리띠와 그 장식은 황금이라고 간략하게 묘사한 것과는 달리 페르시아 문헌에서는 3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사카하우마바르가(하오마(음료)를 마시는 사카), 사카티그락사우다(뾰족한 모자를 쓴 사카), 사카타이 파라드라야(바다 건너 사카족)이다. 그중에 헤로도투스가 언급한 아미르 스키타이는 사카하우마바르가와 같다(스테파노바, 판코바). 현재의 자료로 이들을 구분할 수는 없다.

 

특히 흑해지역의 자료는 유기물질은 거의 남겨져 있지 않고 알타이에서만 실물자료가 남아 있다. 이전에 포스팅 한 바와 같이 ‘왕의 장례치르는 방법’에 나오는 미라도 알타이에서 발견된다.

 

알타이의 쿠르간에서는 외투가 발견된다. 모피로 만든 것인데,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남성미라도 모피를 입고 매장되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이 남성은 바지와 모피코트 외에는 그 안에 상의는 입고 있지 않았다.

 

그림 2.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모피코트

 

그런데 흑해지역의 체르토믈리크 유적에서 출토된 은제 암포라는 그리스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주인공의 여성 무덤방에서 발견되었다. 그릇의 모양와 문양은 전체적으로 그리스 수입품으로 보이는데, 중간에는 스키타이 남성들이 말을 다루고 있는 장면이 함께 표현되었다.

그 중에 한 남성은 맨발에 바지를 입고 벗은 가슴 위에 모피 자켓을 입고 있는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그림 3).

 

그림 3. 체르토믈리크 유적의 은제 암포라 세부.

 

또 톨스타야 마길라 유적에서도 모피코트가 등장한다. 금으로된 가슴장식 혹은 목걸이에도 스키타이 남성들이 유목을 하는 장면이 가장 안쪽에 표시되었다. 그중에 가장 중앙에 있는 두 남성이 바지만 입고, 모피코트를 두고 서로 잡아 당기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그림 4. 톨스타야 유적의 가슴걸이(혹은 목걸이) 중 세부

 

알타이의 혹독한 기후를 생각한다면 모피코트는 당연하지만, 흑해지역의 자료는 좀 의외이다. 이제까지 살펴온 여러자료(특히 그리스 토기)에서 스키타이 남성들이 옷은 다 입었지만 종종 맨발로 표현되는데 맨발에 모피코트는 아이러니 하기 때문이다. 체르토믈리크 유적의 암포라에 스키타이 남성도 맨발이다. 그렇다고 스키타이 남성들이 다 맨발로 다니는가? 그렇지 않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5~4세기 흑해지역의 스키타이 여성들은 대체로 원통형 혹은 역 사다리꼴 모양의 모자를 착용하는 예가 많았다. 모자라기 보다는 유기질제 모자틀에 금제 장식판을 붙이기 때문에 일종의 관(冠)으로 본다. 하지만 모노드비노프 쿠르간(그림 1), 카라고데우야쉬흐 유적( 포스팅), 보그다노프카 유적 등 몇 몇 유적에서는 고깔모자를 쓴 여성들이 발견되었다.

 

그림 1. 모노드비노프 쿠르간의 여성 관 장식

 

2020.12.24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흑해의 전사] - 쌍두마차 탄 스키타이 태양신

 

쌍두마차 탄 스키타이 태양신

스키타이 문화에서 확인되는 전차의 모습을 2종류를 보았다. 알타이 파지릭 5호분에서 발견된 4륜의 나무로 된 마차와 아무다리야 퇴장지에서 출토된 2륜의 마차이다. 각각 4륜의 마차(파지릭 5

eastsearoad.tistory.com

 

 

특히 모노드비노프 쿠르간에서 발견된 관의 정수리에는 새머리 장식이 발견되었다. 고깔모자는 흑해지역에서도 사용되었지만 새머리가 장식된 것은 좀 다른 의미 일 수 있다. 이와 닮은 모자는 주로 시베리아 알타이의 유적에서 발견된다. 특히 남성 모자의 끝에 새 머리 장식을 달았다(포스팅). 물론 아크-알라하 3유적의 여성도 높은 가채를 썼는데, 새가 장식된 것이다.

 

2020.01.29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아크 알라하 3 유적(여성미라,얼음공주)] - 시베리아 알타이에서 '코로나(корона)'의 기원?

 

시베리아 알타이에서 '코로나(корона)'의 기원?

필자도 중국 상해, 남경 등 학과 답사로 같이 참여하기로 계획되었다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취소되었다. 비자피와 얼마간의 위약금을 물어야 했지만, 그래도 그냥 취소보다 병이 창궐

eastsearoad.tistory.com

2020.01.23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아크 알라하 3 유적(여성미라,얼음공주)] - 알타이의 얼음공주는 삭발하고 가발썼어요~

 

알타이의 얼음공주는 삭발하고 가발썼어요~

최근에는 사회적으로 삭발이 크게 회자 되기도 했는데, 머리카락의 의미는 어떤 결기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결기가 아니라도 머리카락에 대한 인간의 욕망 혹은 자신의 결심을 보여준다.

eastsearoad.tistory.com

 

또 모노드비노프 유적에서는 나무로 된 그릇이 발견되었는데, 손잡이가 달리고 동체부가 매우 둥글게 생긴 것이다. 그런데 흑해지역에서 발견되는 그릇과는 매우 다르다. 알타이의 파지리크 유적의 2호에서 나온 소형의 청동솥(그림 2) 모습과 매우 유사하다.

 

그림 2. 파지리크 유적 2호의 청동솥

 

알타이의 파지리크 유적에서는 동양인 얼굴을 한 여성과 서양인 남성이 만나는 장면을 묘사한 카페트가 발견되었다. 실제로 유적에서 발견된 여성과 남성은 서로 인종이 다른 남녀가 하나의 통나무에서 매장되었다.

 

모노드비노프 유적에서 보이는 새 장식 고깔모자, 나무그릇 등은 알타이의 유적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것은 아닐까?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3. 10.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기원전 5세기경 스키타이 문화권에서는 알타이의 높은 곳에서는 말을 변형시킨 동물문양이 발견된다(그림 1). 미라의 문신에게서 발견되는데, 살아 생전에도 문신을 했는지는 의문이다.

그러나 말을 변형하는 것은 스키타이 문화권에 속하는 흑해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 지역에서 이 시대에 변형동물은 대개 그리스 신화속의 장면이 표현된 유물에서 보인다. 그리스 사람들이 흑해지역에서 많이 살았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그림 1. 알타이의 베르흐 칼쥔 II 유적의 전사

 

이 지역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유물 가운데서 말이 나타나기는 한다. 그러나 스키타이 동물장식처럼 ‘양식화(스타일)화 되지 않았다(그림 2). 있는 그대로의 모습인데, 쿨-오바 유적에서 출토된 말 탄 전사가 대표적이다. 이를 두고 말을 동물장식을 썼다고 할 수는 없다. 

 

그림 1. 쿨-오바 유적의 말 탄 전사

 

말이 양식화 되어서 나타나는 것은 기원전 5세기 이후이고, 알타이에서 가장 극대화 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알타이 주변의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기원전 5~4세기 유적에서 보이기는 하지만 크게 변형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말을 무덤에 부장하는 전통, 말을 화려하게 치장하는 전통, 말을 변형시키 동물문양의 전통은 확실히 시베리아의 지역적 특징이다.

초원을 달리는 민족에게서 가장 중요한 동물은 말이었을 것이다.

왜 다른 지역에서는 말을 양식화 한 동물문양장식은 없을까?

몸을 말고 있는 호랑이와 이를 변형시킨 늑대는 많은 지역에서 확인되는데..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