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고대 알타이(기원전 5세기)의 무덤 속에서 나오는 그릇은 토기 외에도 목제로 된 용기가 존재한다. 손잡이가 한쪽으로만 붙은 것인데, 아르잔-2호에서 발견되면서 기원전 7세기 이후부터 이미 시베리아에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목제 용기는 알타이의 무덤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더 전통적인 그릇이며, 역시 쿠미즈를 담기 위한 그릇이다.

 

주로 알타이에서만 출토되지만 서쪽에도 사용되었다. 볼가 강 유역의 필리포프카 유적에서는 목제 그릇에 달아서 장식했던 동물장식이 발견되었다. 모로드비노프카 유적의 목제 그릇은 아마도 유일하게 알타이를 벗어나서 목제 그릇의 존재가 확인된 예일 것이다.

필리포프카 유적에서 나온 금판 장식들과 유사한 유물들이 기원전 5세기 이후에는 흑해지역에서도 드문드문 발견되기 때문에 목제그릇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 파지리크 유적의 5호분 출토 목제 잔

 

그림 2. 알타이의 뿔로 된 항아리, 아크 알라하-3 유적

 

나무잔 혹은 나무용기가 우유 혹은 유제품을 담는 용기를 사용하는 장면을 헤로도투스는 설명했다.

 

‘속이 깊은 나무 용기에 노예들이 주위에 서서 우유를 흔들도록 만든다. 표면에 생긴 것을 끌어내는데, 이것을 소중하게 여긴다. 바닥에 있는 것은 덜 한 것으로 취급받는다’라는 구절이다. 우유의 상층만 걷어내서 뭔가를 만드는 장면이다.

 

아뭏튼 나무잔과 토기는 모두 유제품과 관련된 그릇이라는 것은 이미 다 밝혀진 바이다.

 

그런데 알타이의 무덤에는 액체를 담기 위한 그릇이 한 종류 더 있는데 뿔로 만든 항아리 혹은 잔이다. 사실 스키타이 서쪽에서는 뿔로 된 항아리는 나오지 않는다. 각배의 전통이 있기 때문이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베리아의 기원전 9세기 유적인 아르잔-1호에서부터 산(알타이) 위의 유적까지 연속적으로 보이는 것은 나무무덤방의 축조기술이다. 알타이 파지리크 유적에서는 무덤구덩이에 넣기 전에 나무를 미리 재단해서 표시를 해 두었는데, 이 기술은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니다. 알타이 보다 먼저 무덤이 만들어졌던 우육분지 투바의 아르잔-2호, 아르잔-1호에서도 무덤방을 만들 때 가장자리에 홈을 파서 아래와 위의 나무를 결구하는 방법이 발견되었다. 그 엉성해 보이는 아르잔-1호에서도 주인공을 위한 무덤방은 같은 무덤 안에서도 달랐다.

 

연속성이 보인다고 해도 시간이 흐르면서 새로운 물질문화도 생겨난다. 필자가 보기에는 토기이다. 화려한 물질문화 속에서 어쩌면 매우 소박해 보이기도 하고, 별꺼 아닌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알타이의 무덤에서는 꼭 1~2점씩 부장되었다.

이들을 알타이에서 만들지는 않았고, 연구된 바에 의하면 산림스텦지역에서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500km 이상 떨어진 곳이다.

다양한 모양의 토제 그릇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한 기종만 나오는데, 목이 긴 항아리이다. 물론 항아리 마다 차이는 있으나, 사발이나 접시 이런 기종은 나오지 않는다. 모두 목이 긴 항아리이며, 채색되거나, 가죽 아플리케를 붙여서 장식했다.

 

 

그림 1. 파지리크 유적의 토기

 

목이 좁고 긴 항아리는 액체류를 위한 그릇이다. 특히 유제품(쿠미즈)와 같은 음료를 담았거나 혹은 좀 더 발효된 우유로 된 알코올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특히 파지리크 유적이나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는 토기 주변에서 유제로 된 어떤 액체류가 주변에 흥건했던 것을 기록했다.

 

쿠미즈와 우유로 술을 만드는 기술은 매우 오래되었던 것 같은데 13세기기록에도 남아 있다. 1253~1255에 몽골을 다녀온 루브룩(William of Rubruck) 수도사가 ‘루브룩 여행기(William of Rubruck's Account of the Mongols)’에 몽골의 풍속, 종교 등을 기록해서 당시의 상황을 알 수 있다. V장에서 쿠미즈 및 술과 관련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V장의 제목은 쿠미즈이지만, 내용에서 쿠미즈를 만들고, 버터도 추출하고, 거기서 더 자극적인 맛이 나기 시작하면 취하는 장면이 나온다는 것으로 보아서 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책은 라틴어로 쓰여졌고, 영어로 번역되어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무덤의 벽과 바닥에 깔았고, 고대인의 옷의 주요 소재였던 펠트는 유목민의 발명품이었다. 기원전 3천년경 메소포타미아의 설형문자에 이에 대한 언급이 알려져 있다. 펠트는 양을 길들인 후부터 발명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소재는 시베리아를 포함한 중앙아시아에서 더 인기있는 소재였다.

 

펠트는 양털을 실로 만들어 직조하는 것이 아닌 높은 온도에서 압력을 가해서 만든 텍스틸이다. 봄에 자른 양털은 길기 때문에 실로 만들어서 직조하기 좋고, 가을에 자른 양털은 비교적 짧기 때문에 펠트 만들기 적합하다. 펠트는 양실로 만든 직조물보다 훨씬 마찰력에 강하다.

 

펠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털을 납작하게 눕히도록 하기 위해서 두드리는 과정이 필요하다. 납작한 여러겹의 펠트를 여러 층으로 쌓고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물이 필요하다. 물을 준 후에 카펫처럼 단단하게 말아서, 누르거나 발로 차거나 해서 롤을 단단하게 만든다.

 

펠트는 무덤 바닥의 깔개와 벽의 장식으로도 사용되었다. 바닥의 깔개로 사용된 것은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 그대로 나왔고, 벽의 장식용으로 사용된 문양이 화려한 것은 파지리크 유적 5호묘의 것이 유명하다. 이 외에도 사슴털로 채워진 안장의 쿠션, 안장의 덮개, 모자, 후드가 달린 상의, 스타킹, 말 머리 장식 등 매우 많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양모 뿐만 아니라 야크의 털도 이용되었는데, 파지리크 2호와 5호묘에서 출토되었다.

 

 

 

 

 

그림 1. 파지리크 유적의 5호 출토품, 펠트로 만들어진 벽장식 카페트. 카페트 속의 남성과 여성은 같은 민족이 아니어서 더 눈길을 끈다.

 

 

 

무덤만드는 기술에 이용된 나무를 결구하는 방법과 펠트를 제작하는 방법은 결국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것이었다. 필자가 소개한 알타이의 유적 가운데 미라가 나오는 무덤은 극히 일부이고 파지리크 유적, 바샤다르, 투엑타 유적과 같이 화려하고 많은 부장품의 경우도 일반적인 것은 아니다. 해발 2500m의 우코크 고원에서 발견된 아크 알라하 3, 베르흐 칼쥔II유적, 추야 계곡의 수많은 기원전 5세기 사람들은 대부분 무덤 부장품이 소박하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에서 가장 이른 무덤인 아르잔-1호는 시베리아 투바 지역에 위치한다. 아르잔-1호에 대해서 소개한 지 오래되기는 했지만, 통나무 6000개 이상을 소비한 무덤에 대한 강열한 인상은 남아 있을 것이다.

 

나무를 이용한 무덤방의 전통은 투바에서 아르잔-1호와 아르잔-2호로 이어지고, 알타이의 무덤에서도 발견된다. 희한하게도 기원전 5세기 투바에서는 무덤이 발견되지만 나무방의 전통은 알려지지 않았다. 대신에 알타이의 해발 1500m이상 유적들에서 확인되었다.

 

아르잔-2호는 하나의 봉분 아래에 여러 개의 무덤이 함께 만들어진 것인데, 그 중에서 5호묘에 나무방을 2겹으로 만든 것이 발견되었다. 땅을 파고 나무로 된 무덤방을 넣도록 되어 있다. 구덩이의 크기는 나무로 된 무덤방 보다 살짝 크기 때문에 나무무덤방은 미리 재단을 해서 구덩이에 넣어야 했다. 나무가 겹쳐지는 끝에는 오목하게 홈을 파서 결구가 되도록 했다. 그런데 미리 재단을 하는 아르잔-2호의 무덤방 만드는 방법은 이른 시기의 아르잔-1호의 중심무덤방에서도 보이는 것이었다. 이 부분도 설명한 바 있다.

그리고, 알타이의 파지리크 유적 2호와 5호에서도 미리 재단을 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알타이의 무덤에서는 무덤방 위에 자작나무 껍질을 넓게 잘라서 펴둔 것이 발견되었다. 자작나무 껍데기는 가을과 겨울에 벗기지 못하고 봄 혹은 여름에 버낄 수 있는 것이다. 또 파지리크 유적, 바샤다르 유적 등에서는 무덤방을 덮었던 이끼 더미 속에서 노란색 꽃의 존재를 발견했다. 이들은 무덤을 만들기 위해서 여름부터 준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덤방을 덮었던 자작나무 껍데기는 20세기 후반까지도 지역 유목민들에 의해서 사용되었다. ‘유르트’라고 불리는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의 집이다.

 

 

그림 1. 기원전 5~4세기 시베리아의 암각화, 보야르 암각화 유적, 말라야 보야르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11. 25. 11:33 스키타이 무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가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많은 요인인 있었지만 스키타이 사람들의 방어무기인 비늘 갑옷으로 말과 기수를 잘 보호했기 때문이라고 아리안(Arrian)이 아나바시스에서 언급한 바 있다.

 

 

그림 1. 스키타이 문화의 비늘갑옷, 기원전 5~4세기

 

중무장을 한 전사는 말을 타고 다닌 기마병이다. 말은 아마도 유목민들이 이용하는 동물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다목적이었을 것이다. 타고 다니는 용도 뿐만 아니라 우유, 고기, 가죽을 제공했다. 말을 타고 다니는 지역에서 문화가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는 속도는 농경사회와는 차원이 다르다. 말을 타고 다니던 유목민의 기마병과 농경사회의 전사가 싸우는 것은 비교할 수 없었을 것이다.

 

말에 대한 정보는 다행히 무덤속에서 얻을 수 있다. 스키타이(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에서 무덤속에 사람과 말을 함께 부장했기 때문이다. 많은 동물을 숭배했지만(동물장식) 마지막까지도 함께 가는 동물은 말이었다. 아마도 말을 무덤에 넣는 것은 사후세계에도 말이 필요하다는 관념이 있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안장은 스키타이 문화 이전에는 발견된 적이 없는데, 중요한 발명품이었고, 유목민들이 세계 문명발전에 기여한 중요한 공헌 중에 하나로 여겨진다.

특히 알타이의 파지리크 유적에서는 다양한 안장이 그대로 남아 있다.

 

그림 2. 기원전 5세기 알타이 파지리크 유적의 안장과 말

 

 

 

하지만 안장이 없는 말도 무덤 속에서 많이 발견된다. 재갈과 재갈멈치, 굴레장식등은 있지만 안장이 없는 유적도 수를 헤어릴 수 없다. 예를 들어 파지리크 유적과 같이 시신을 미라 처리한 아크 알라하 3유적이 대표적이다.

 

루덴코는 자신이 발굴한 파지리크 유적의 말도 꼼꼼히 조사했다. 파지리크 유적 아래에는 냉동고와 같은 거대한 얼음층이 형성되어서 말의 상태가 매우 양호하게 남아 있었다. 지금도 그 중에 한 마리는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안장이 있는 말들은 영양상태가 좋았다고 루덴코는 기록했다. 안장을 지고 다녔던 말들은 1년 내내 목초지에서 스스로 먹이를 찾아다녔던 말과는 달리 보살핌을 잘 받은 것으로 여겨졌다. 말굽에 기근 고리가 남아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