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기원전 5~4세기 고대 흑해연안에 살았던 스키타이 여성들 중에는 유독 화려한 모자를 썼던 경우가 무덤 속에서 종종 발견된다. 스키타이 칼라프라고 불리는 이마를 가리도록 된 모자를 일컫는다.

 

또 티아라 라고 불리는 유물도 발견된다. 몇몇 무덤에서 발견되는데, 스키타이 칼라프 중에 높은 종류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좀 다르다. 유기질제로 된 모자 틀에 장식을 붙여서 만들었고, 상단이 편평하다(그림 3).

 

이들은 실제로 유적에서 발견되기도 하고 여성형상물에서도 확인된다. 알렉산드로프스키폴 유적에서 발견된 아르김파사는 티아라를 착용하고 있다(그림 1). 또 비슷한 시기에 알타이의 파지리크 유적 5호의 카페트 속 여성도 무엇인가를 쓰고 있는데, 티아라와 비슷하다(그림 2).

 

 

그림 1. 알렉산드로프스키폴 유적, 얼굴 위는 단순한 모자가 아니라 무엇인가를 쓰고 있는 것이 보인다.

 

그림 2. 파지리크 유적 5호의 카페트 부분

 

그림 3. 크라스니이 페레코프 유적 출토

 

스키타이 칼라프 중에서 메토피드라고 불리는 이마장식을 제외하고는 티아라, 고깔모자, 칼라프 모두 머리 위로 높게 하는 것이 스키타이 여성들의 모자 특징이다. 모자는 높을수록 중요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시베리아의 아르잔-2호의 주인공 무덤을 보면 고깔모자의 전통은 여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4세기 흑해 북안에 살던 스키타이 여성들은 다양한 모자를 착용했다. 특히 큰 무덤에서 나오는 여성들은 화려한 모자와 함께 부장이 되었다. 대체로 권력자의 아내이거나 자신이 권력자이기도 하다. 체르토믈리크 유적에서는 5개의 모자가 복원되기도 했다.

 

우슨 스키타이 칼라프라고 불리는 모자는 크게 두 종류인데, 앞서서 설명한 앞 이마를 가리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위와 옆에만 구멍이 있는데 베일(위) 및 가죽(옆)에 끼워서 착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유물을 metopid라고 불린다.  사흐노프카 유적의 유물이 대표적이다. .

 

그림 1. 사흐노프카 유적의 메토피드

 

또 하나는 stlenida이다. 이 것은 길쭉한 장방형 장식판 여러개를 쌓아서 만든 것으로 가장 위의 장식판이 두텁다. 여기에는 관자놀이 장식이 함께 달린다. 이 모자도 이마를 가리도록 쓴다.

 

그림 2. 체르토믈리크 유적의 스트렌니다

 

그림 3. 스틸렌니다의 착용 예(미로시나 복원)

 

여기서 예전에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에서 출토된 이마 장식을 stlenida라고 한 적이 있다(포스팅)

2022.08.27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 - 흑해 스키타이 여성의 옷 장식

 

흑해 스키타이 여성의 옷 장식

볼쇼야 블리즈니차는 처음부터 필자의 마음을 끄는 유적이었다. 왜냐하면 유적의 이름 때문이었는데, “큰 쌍둥이”라는 뜻이다. 무덤의 외관을 지역의 주민들이 그렇게 불러와서 생긴 이름인

eastsearoad.tistory.com

 

 

좀 더 정확하게는 stlenida의 부속품으로 이마를 장식했던 부분만 남아 있는 것이다.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의 주인공은 그리스 칼라프도 쓰고 있었지만 스키타이 머리장식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흑해북안에서 발견되는 머리장식 종류는 스키타이 칼라프 외에도 고깔모자와 티아라 스타일도 있다.

 

스키타이 칼라프는 그리스 칼라프에 비하면, 훨씬 화려하고 복잡하다. 칼라프라는 용어를 구지 쓰지 않아도 될 것 같은데, 이미 오랫동안 사용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5세기경 다른 민족들이 스키타이 사람을 알아채는 것 중에 하나는 모자였다. 헤로도투스는 스키타이 인의 고깔모자에 대해서 기록한 바 있다. 실제로 유물 속에서도 스키타이 남성들은 고깔모자를 쓰거나 혹은 쓰지 않는 장면이 관찰된다. 고깔모자는 흑해지역 뿐만 아니라 시베리아의 알타이에서도 출토된다.

 

그런데 스키타이 여성들의 모자는 조금 더 다양했다. 고깔모자 뿐만 아니라 스키타이 칼라프, 티아라 형태 등이 있다. 칼라프는 원래 그리스 여성의 모자를 지칭하지만, 스키타이 칼라프와는 전혀 다르다. 스키타이 여성들은 더 화려하고 복잡하게 만들어서 썼다.

 

흑해북안에서 나온 그리스 칼라프 중에 대표적인 것이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에서 나온 것이다.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 모자 안에 내용은 고깔모자를 쓴 스키타이 여성전사와 그리핀이 싸우는 장면이다.

 

그림 1.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의 칼라프 중에서 여성전사와 그리핀의 싸움

 

 

흑해북안에서 발견되는 기원전 5~4세기 유물 가운데 그리스 여성과 스키타이 여성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것도 머리장식과 의복이다. 스키타이 여성과 그리스 여성은 머리에 모자를 쓰는 방법부터 다르다. 그리스 여성들은 칼라프를 머리 위에 살짝 얹은 것처럼 착용한다(그림 2). 하지만 스키타이 여성들은 어떤 모자이든지 이마를 덮어서 머리카락을 드러내지 않는다(그림 3).

 

그림 2.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의 여성형상물, 그리스 여성이 칼라프를 쓰고 있다.

 

그림 3. 사흐노프카 유적 출토, 스키타이 칼라프, 스키타이 칼라프는 2종류가 있다. 이건 매우 간단한 종류이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4세기 러시아 남부이자 코카서스 북쪽에 위치한 곳에는 매우 특이한 무덤이 19세기부터 알려졌다. 카라고데우야쉬흐 유적의 외관은 당시에 스키타이 무덤과 같이 높은 봉분이 있지만, 내부구조는 코카서스 북부지역 및 인접한 흑해지역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것이다. 석실방 4개가 연결된 것인데 이러한 무덤은 고대 트라키아에서 발견된다고 한다.

 

이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은 이등변삼각형 형태의 모자장식이다. 여성의 무덤방에서 발견되었는데, 베일을 연결해서 썼을 것이다.

 

이 모자장식에는 상, 중, 하단에 있는 사람들의 소속이 다르다. 가장 상단은 의복으로 보아서 기원전 5~4세기의 그리스여성이다. 중간에 있는 사람은 전차를 타고 있는 남성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전차와 사람은 분리된 것으로 사람은 남성이 아닌 여성로써 니케로 본 의견도 있다. 하단의 군중 속에 있는 여성은 대체로 스키타이 여성으로 보고 있다. 고깔모자는 스키타이 사람들의 상징이다.

 

 

그런데 이 모자장식에는 트라키타 문화의 요소가 있는데, 중간과 하단을 연결하는 부분과 하단의 마지막 단에는 얇은 띠의 문양이다. 또 잔치장면에서 각배 반대편에 약병?과 같은 물건을 건네는 장면도 불가리아에 있는 카잔라크 무덤에서 볼 수 있다고 한다.

 

 

그림 1. 카라고데우야쉬흐 유적의 여성 관장식

 

그림 2. 카잔라크 무덤의 벽화 중 일부, 이 유적은 불가리아에 위치한다. 기원전 4세기 유적으로 1979년부터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그림을 보존하기 위해서 무덤은 공개되지 않고 복제품만 인근에 있다. 이 유적의 무덤도 돌로 된 무덤방인데, 외관도 돌로 만들어져 카라고데우야쉬흐 유적과는 완전히 같지 않다.

 

기원전 4세기 동유럽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매우 복잡한 양상이었던 것 같다.

 

참고문헌

Манцевич А.П. 1962 : О золотой пластине из кургана Карагодеуашх (к толкованию сюжета). // СГЭ. Вып. XXXIII. Л.: 1962. С. 41-43 (만체비치 1962, 카라고데우야쉬흐에서 나온 황금장식판)

Marina Yu. Vakhtina, The Female Burial at Karagodeuashkh, Environment and Habitation around the Ancient Black Sea, De Gruyter, 2021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4세기 코카서스 북쪽과 흑해 북안에는 스키타이 문화가 존재했다. 오늘날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로 소속이 다르지만 그건 얼마되지 않은 일이고, 역사적으로 흑해지역을 둘러싼 문화적 특징은 스키타이 문화 이전에도 같은 문화지역이었다.

 

하지만 기원전 7세기 스키타이 문화가 드러서면서부터 이웃한 지역의 문화가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했고, 기원전 5세기 이후가 되면 가속화된다. 특히기원전 4세기 코카서스 북쪽과 흑해 북안에는 스키타이 문화가 존재했다. 오늘날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로 소속이 다르지만 그건 얼마되지 않은 일이고, 역사적으로 흑해지역을 둘러싼 문화적 특징은 스키타이 문화 이전에도 같은 문화지역이었다.

 

하지만 기원전 7세기 스키타이 문화가 드러서면서부터 이웃한 지역의 문화가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했고, 기원전 5세기 이후가 되면 가속화된다. 특히 그리스 문화가 많이 발견되고, 스키타이 사람들은 그리스 제품을 많이 수입해서 썼다. 식기, 장신구 등 정해진 것이 있다.

 

그런데 그리스 문화 이외에도 다른 문화의 요소도 나타나는데, 카라고데우야쉬흐 유적에서 볼 수 있다. 이 무덤에는 여성과 남성이 매장되었다. 무덤의 내부 석실방은 스키타이 문화 혹은 그리스 문화에서도 찾아 볼 수 없고, 고대 트라키아와 유사하다고 한다(바흐티나 2021).

 

바흐티나는 이 무덤에서 가장 확실하게 재지의 문화와 트리키아 문화, 그리스 문화가 복합되는 근거로 남성무덤방에서 나온 고리투스 장식판을 예로 들고 있다.(그림 1).

체르토믈리크 유적의 장식판과 비교되는데, 1894년의 출판물에는 소개되어 있지만, 실제로 유물은 제2차 대전때 유실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림 1. 체르토믈리크 유적(위)과 카라고데우야쉬흐 유적(아래)의 고리투스 장식판(Lappo-Danilevskij A.S., Malmberg V.K. 1894)

 

 

그림 2. 체르토믈리크 유적의 고리투스 장식판

 

*고리투스: 활과 화살을 함께 넣는 스키타이 활통을 일컫는 용어

 

참고문헌

Marina Yu. Vakhtina, The Female Burial at Karagodeuashkh, Environment and Habitation around the Ancient Black Sea, De Gruyter, 2021

Lappo-Danilevskij A.S., Malmberg V.K. 1894. Drevnosti Južnoj Rossii. Kurgan Karagodeuašch (Materialy po archeologii Rossii 13). St. Petersburg.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