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1. 1. 4. 13:06 스키타이 동물장식

 

그리핀의 한 요소(속성)이 되는 동물 중에 하나는 새(혹은 맹금)이다. 시베리아의 아르잔-1호에서 범 장식은 발견되었으나 새는 없었다. 이 보다 늦은 기원전 7세기 중반 아르잔-2호에서는 재갈멈치의 가장자리에 새의 머리는 출토되었기는 하지만 매우 작게 표현된 것이었다. 그리핀은 시각적으로 강하게 어필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재갈멈치(그림 1)에 그려진 새는 그런점에서 약간 부족하다.

 

그림 1, 아르잔-2호 출토 재갈멈치

 

반면에 날개를 핀 독수리는 흑해의 멜구노프 유적(기원전 7세기)에서 먼저 확인된다. 이 유적은 동유럽에서 가장 먼저 조사된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으로 날개를 편 독수리가 17마리나 출토되었다. 독수리는 벨트 장식으로 생각된다.

 

그림 2. 멜구노프 유적의 독수리(투키나 2006, 재편집)

 

흑해에서 맹금 장식은 간두령과 간두식으로도 활용된다. 켈레르메스 유적(기원전 7세기)에는 방울 머리 위에 장식되었다. 이 보다 늦은 울스키 아울 유적(기원전 6~5세기)(포스팅)에서는 새의 부리가 극대화 되어 표현되었다. 새의 부리를 편평하게 측면으로 표현하고, 왼쪽에 소형화 된 4마리 맹금류 측면이 연속되어 표현된 것이다. 이 유물은 방울이 달려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 하단에 끼울 수 있는 슴베가 만들어져서 어딘가에 꽂아서 사용한 유물은 맞다.

 

-->켈레르메스 간두령(안에 들어가야 있음)

2020/12/26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흑해의 전사] - 나무 위의 스키타이 신(神) 파파이(Papai)

 

나무 위의 스키타이 신(神) 파파이(Papai)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흑해 지역에서 발견되는 유물 가운데는 지팡이 끝에 꽂는 방울이 있다. 간두령이라고 하는데, 기원전 7세기부터 발견된다. 기원전 7세기 유물은 방울 끝에 새 혹은 동물문

eastsearoad.tistory.com

-->울스키 아울

2020/07/27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시베리아황금유물컬렉션] - 흑해 부근에서 발견된 스키타이 문화의 청동방울

 

흑해 부근에서 발견된 스키타이 문화의 청동방울

시베리아 알타이의 2600년 전 무덤인 투엑타 유적의 1호에서는 코젤(산염소)의 뿔을 나무로 만든 것이 출토되었다. 말의 얼굴에 씌웠던 말의 가면 중 뿔에 해당하는 유물이었다. 쌍으로 확인된 것

eastsearoad.tistory.com

멜구노프 새 장식은 머리는 측면, 몸통은 정면을 향하고 있다. 간두식에 표현된 유물도 새 머리의 측면이다. 하단에 자루가 착장되었다면 전체적인 구도는 멜구노프와 통하는 면이 있다. 흑해지역에서 새 장식은 날개를 펴고 머리를 돌리고 있는 새 장식과 새의 머리만 표현된 간두령 장식이 먼저 등장하며, 기원전 5세기 가량이 되면 점차 새의 표현은 자연스럽지 않고 부리만 강조되어 나타난다.

 

그런데 멜구노프의 새처럼 머리와 동체부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 표현은 켈레르메스 유적의 거울 속에 여신도 마찬가지이다. 그녀의 머리는 측면을 향하고 있고, 신체는 전면을 향하고 있다. 이 점이 특이한 이유 중에 하나는 이 여신과 상대편에 있는 남성신의 경우는 머리와 몸통 모두 측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켈레르메스 거울 속의 남성신과 여성신-->

2020/12/31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켈레르메스 유적과 유물] - 스키타이 남성신(神)

 

스키타이 남성신(神)

흑해지역 스키타이 문화 가운데 스키타이 남성이 유물속에 등장하는 일은 많지 않다. 기원전 5세기 이후에는 그래도 등장하지만 그 이전의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는 찾아 보기가 쉽지 않

eastsearoad.tistory.com

멜구노프와 켈레르메스 유적 모두 기원전 7세기이기 때문에 머리와 신체의 방향을 따로 표현하는 방법을 어디에 먼저 적용했는지는 모르겠다.

 

Тункина И. В. Сокровища Литого кургана и академик Г. Ф. Миллер // Вестник древней истории. 2006. № 3.(투키나 2006, 리토이(멜구노프) 쿠르간의 보물과 대학자 밀러)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1. 3. 13:37 스키타이 동물장식

 

흑해 지역에서 날개 달린 맹수장식은 기원전 5세기 이후에는 간두령의 장식으로 종종 보이는데, 네모 프레임안에 들어가 있다.

그런데 그리핀의 원형(元型)이 된 범 장식은 몸을 말고 있는 형태부터 시작해서 변형이 생기기 시작한다. 이는 흑해지역에서 먼저 보이는데, 테미르-고라 유적에서 출토된 원형상 맹수가 표현된 골제품은 삼각형에 가깝다. 이 유물은 골제로 된 말의 굴레장식이다. 중앙에 둥근 구멍이 있고, 삼각형의 각 꼭지점은 머리, 견갑부, 대퇴부와 상응한다. 부조로 처리된 면에는 면의 윤곽이 없다. 평면모양이 바뀌면서 범의 모습도 이상해 졌는데, 특히 두부의 표현이 좀 이상하다. 그러나 범 장식에서 보이는 둥근 귀와 콧구멍, 발끝은 원형을 유지하며, 꼬리와 주둥이가 연결된 점은 마찬가지이다.

 

그림1. 테미르 고라 유적의 골제 범장식

 

우이가락 유적(아랄해 주변의 유적, 사리다니야 강 유역에 위치)에서 출토된 범 장식은 또 다른 모습이다(그림 2-15, 16). 특히 그림 2-16은 발의 끝이 둥글게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볼 때 다리가 마치 세 개 인 것처럼 보이고, 꼬리 표현이 불분명하다. 그림 2-16는 견갑부와 대퇴부의 표현은 확실하지만 그 아래의 다리는 마치 새다리처럼 표현되어 있다.

이 유적에서는 맹수의 상반신만 표현된 유물이 출토되기도 한다(그림 2-8). 머리와 어깨가 직각으로 꺾인 형태로 맹수의 앞발 끝이 주둥이와 연결되었다. 어떻게 보면 범장식일까 싶을 정도로 의심이 들 정도이다. 그러나 둥근 눈, 둥근 콧 구멍, 둥근 발 끝 장식 등은 범 장식과 공통적이다. 물론 매우 과장되었지만 말이다.

 

그림 2. 아랄 해 주변의 우이가락 유적에서 출토된 마구와 굴레장

 

맹수의 부분장식은 특히 머리만 표현되는 것은 기원전 5세기경의 파지리크 유적에서도 발견되된다. 재갈멈치의 끝에서 확인된다. 알타이의 맹수머리는 대부분 이빨을 드러내고 있다.

 

그림 3. 알타이의 범 장식. 목제

 

 테미르 고라 유적과 우이가락 유적 모두 기원전 7세기 혹은 이보다 늦은 기원전 6세기 정도의 유적이다. 테미르 고라 유적과 우이가락 유적의 유물을 범 장식으로 왜 인식될까? 그것은 아마도 둥글게 몸을 말고 있는 자세와 둥글게 표현된 눈, 코(구멍), 발 끝 등 규칙이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이 유적의 장인들은 범을 본 적이 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못생긴 범장식을 만들었다. 그럼에도 그들은 다양한 소재로 이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О.А. Вишневская Культура сакских племён низовьев Сырдарьи в VII-V вв. до н.э. По материалам Уйгарака. / Тр. ХАЭЭ. VIII. М.: 1973. 160 (비시네프스카야 1973, 기원전 7~5세기 우리가락 유적의 유물을 통해서 본 사르다이야 강의 사카 족의 문화)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루덴코 1953, 스키타이 시대 알타이 산의 주민문화)

Переводчикова Е.В. 1994 : Язык звериных образов. Очерки искусства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М.: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1994. 206 с(페레보드치코바 1994)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1. 2. 13:19 스키타이 동물장식

 

 

 

흑해 지역에서는 여러 지역의 그리핀이 혼재 되는데,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동물스타일의 특징을 알 필요가 있다. 스키타이 동물 스타일이라고 볼 수 있는 가장 뚜렷한 것이 동물의 자세와 특정 속성의 과장된 특징이다. 스키타이 동물 스타일로 나타나는 세 그룹은 새와 관련된 동물, 굽동물, 맹수이다.

 

맹수는 범을 대상으로 하고 표범과 호랑이가 주로 대상이다.(예로부터 우리조상은 표범과 호랑이를 통칭해서 범이라고 불렀다).

 

가장 먼저 나타난 범은 아르잔-1호이고, 비슷한 자세로 표현된 것이 에르미타주에 소장된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컬렉션의 유물이다. 범의 긴 몸통은 중앙에 위치하는 발과 꼬리를 감싸고 전체적으로 고리모양이다. 몸통의 표현은 두 유물이 약간 차이가 있는데, 아르잔-1호의 것은 튀어나오도록 처리되었지만 편평하고, 표트르-1세의 범(그림 1-1)은 단면이 반원형에 가깝게 처리되었다. 두 유물은 세밀하게 표현되어서 머리, 견갑부, 대퇴부가 개별적으로 구분된다.

 

그림 1.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 컬렉션 (김재윤 편집, 2021)

 

하지만 흑해지역의 가장 이른 범 장식으로 생각되는 켈레르메스 유적의 것(그림 2)은 몸을 말고 있는 형태가 아니다. 표범의 다리는 각을 이루며 굽힌 듯 펴고 있다. 여기서 폈다는 의미는 몸을 말고 있는 범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더보기

(필자는 이 유물이 자연스럽지만 부자연스럽다고 여겨지는 이유가 똑같은 다리를 4개나 표현해서 그렇다고 생각한다. )

 

러시아 학자들은 이 유물의 가장 큰 특징중에 하나로 견갑부와 대퇴부, 목 부분 모두 면을 각으로 처리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같은 방법은 코스트롬스카야 유적에서 출토된 사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흑해 스키타이 동물양식의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이다.

 

 

그림 2. 켈레르메스 유적 출토 범장식(김재윤 편집, 김재윤 2021)

 

원형의 범장식과 다리를 세우고 있는 범장식은 각기 용도가 다르다. 전자는 말의 어딘가에 달았던 장식이고, 후자는 패식으로 방패의 장식이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마구의 부속품을 장식하는 동물장식은 마구라는 용도에 매우 많은 제약을 받는다. 예를 들면 재갈멈치 끝에 달려 있는 동물장식은 재갈멈치라는 기능 뿐만 아니라 장식적인 요소 혹은 의례적 요소까지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방패의 장식은 스키타이 동물장식이라는 특징만 내 보이면 되기 때문에 좀 더 제약을 덜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마구의 부속품으로서 역할을 하는 동물장식은 좀 더 정형화 되었을 수 있고, 이는 00스타일로 나타났을 수 있다. 필자는 이를 ‘브랜드화’라고 여긴다. 어떤 시스템 안에 들어가는 것이다. 시스템이 없었다면 만드는 장인 100명은 다 자기 만들고 싶은대로 만들었을 것이다.)

 

 

시베리아 아르잔-1호의 것은 기원전 9세기 가량이고, 표트르-1세의 범은 기원전 7세기 정도로 추정한다. 왜냐하면 표트르-1세의 컬렉션 유물은 전면이 황금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스키타이 문화 가운데 중앙아시아지역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흑해의 켈레르메스 유적은 기원전 7세기 가량이다. 두 범 장식의 비교는 기원전 9~7세기 경의 유물을 비교했다. 그런데 다리를 펴고 있는 모양의 범 장식은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는다. 반면에 원형의 맹수장식은 기원전 5세기 이후에도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원형 맹수장식은  이를 벗어난 자세의 유물들도 발견되는데, 켈레르메스 유적의 범장식도 포함된다. 

시베리아 스타일을 따르고 있다는 점을 발과 꼬리표현에서 알 수 있다.

 

 

 

참고문헌

Галанина Л.К. 2006 : Скифские древности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в собрании Эрмитажа. Келермесские курганы. СПб: Изд-во Гос. Эрмитажа. 2006. 80 с. (Коллекции Эрмитажа)(갈라니나, 2006, 에르미타주 소장, 카프카스 북쪽의 켈레르메스 고분. 스키타이 문화유물)

Е.В. Переводчикова 1994, Язык звериных образов. Очерки искусства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скифской эпохи(페레보드치코바 1994, 언어로서의 동물문양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1. 1. 10:22 스키타이 동물장식

 

 

흑해 스키타이 문화의 여성신은 기원전 7세기에는 양 손에 동물을 쥐다가 기원전 5세기 이후에는 동물이 없어지거나(알렉산드로프스키폴 유적), 다른 물상(검과 인간의 머리, 쿨 오바 출토) 등으로 다양해 진다.

 

그러나 남성신은 늘 동물과 함께 등장한다. 켈레르메스 유적의 거울 속의 스키타이 남성신부터 기원전 4세기 체르토믈리크 유적도 마찬가지이다. 스키타이 남성의 상대는 늘 그리핀이었다.

 

앞에서 여러번 이야기 했을 것 같은데, 그리핀은 맹수의 몸에 날개가 달린거나 원래의 사실적인 맹수와는 다른 동물의 신체부위를 붙인 동물을 통틀어서 부른다. 머리를 기준으로 할 때 사자머리 그리핀, 독수리머리 그리핀도 있지만, 신체를 보면 호랑이 몸통이 더 큰 주제인 유물도 존재한다.

 

흑해지역에서 그리핀은 역시 켈레르메스 유적의 거울 속과 간두령 끝에서 발견된다. 뿐만 아니라 시베리아의 아르잔-2호와 바샤다르 유적에서도 출토되었다. 하지만 양 지역의 그리핀은 차이가 있다. 어떤 동물이 주체가 되는지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베리아에는 맹금류가 주인공이고, 흑해에는 주변 지역의 여러 환상동물로 인해서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된다.

 

그림1. 바샤다르 유적 출토 그리핀, 독수리처럼 보이지만 두터운 다리와 귀로 보아서 일종의 그리핀이다.

 

그림 2. 아르잔-2호 유적 출토

 

자연물을 부위별로 잘라내서 붙이는 제조방법은 스키타이 동물장식의 일반적 원칙과 부합된다. 사실적으로 보이지만 추상성을 가미한 일반적인 원칙을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 스키타이 동물장식을 가장 잘 설명하는 유물은 이 환상의 동물이다. 기호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세계관을 내포한 물건으로서. 필자의 머릿속에서 계속 뱅뱅돌고 있지만, 아마도 힘들 것 같다.

 

Happy new year, hello 2021

 

с Новым Годом, привет 2021

 

참고문헌

Переводчикова Е.В. 1994, Язык звериных образов. Очерки искусства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скифской эпохи(페레보드치코바 1994, 언어로서의 동물문양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흑해 북안에서 발견되는 수 많은 유물 가운데 쿠반형 헬멧(투구)에 대해서 설명한 적이 있다. 이 투구는 기원전 7세기부터 흑해 북안에서 발견되며, 몽골과 중국동북지역까지 매우 넓은 지역에 분포했다. 흑해 지역에서 초기 스키타이 시기부터 사용되었다.

 

반면에 그리스 스타일헬멧도 발견된다. 이미 소개한 바 있는 말탄 스키타이 전사와 보병 전사가 싸우는 장면에도 등장하고, 솔로하 유적에서 발견된 빗 상단에 그리스 병사가 쓰고 있는 헬멧도 쿠반형과는 다르다.

 

2020/12/23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흑해의 전사] - 흑해의 스키타이 전사

 

2020/02/10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아크 알라하 1유적] - 2500년 전, 어느 그리스 장인의 스키타이 전사에 대한 기억

2500년 전, 어느 그리스 장인의 스키타이 전사에 대한 기억

그림 1. 솔로하 출토 황금빗, 에르미타주 소장, 전체 모습은 앞의 포스팅 참고 그림 2. 솔로하 출토 황금빗, 에르미타주 소장, 말탄 스키타이 전사의 모습, 투구는 코린트 식 그림 3. 솔로하 출토

eastsearoad.tistory.com

 

 

흑해 북쪽에서 발견되는 그리스식 헬멧은 두 가지가 있는데, 코린트(그림 1-5,6)와 아틱(attic) 스타일이다. 코린트 스타일은 완전히 머리를 덮는데, 눈만 내 놓은 것이다. 두개골 부위와 얼굴부위가 따로 제작되어 붙인 것으로 하단의 얼굴보호대는 목까지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코린트식 투구가 발견된 2곳인데 한 곳은 로메이코프카 고분에서 발견되었다. 이 유적은 켈레르메스 유적을 발굴했던 베셀로프스키가 1913년에 발굴했다고 알려졌으나 유적에 대해서는 거의 남겨진 정보가 없다. 로메이코프카 고분에서 발견된 것은 턱부분이 파손된 것이다. 다른 한 점(그림 1-6)은 케르치 해협에서 발견되었다고만 알려지지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지만 완전한 유물이 한 점 더 전해진다. 파손된 부분 없다. 로레이코프카 유적에서 나온 투구에 비해서 정수리 부분이 매우 높게 만들어진 것이다.

 

 

 

그림 1. 흑해 북안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투구, 코린트 스타일 투구(5,6), 트라키아 스타일 투구(2~4), 아틱 스타일(1)

 

아틱 스타일(그림 2, 그림 1-1)은 역시 두개골을 보호할 수 있는 부분과 얼굴 보호 부분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하단은 코린트 스타일과는 달리 볼을 가릴 수 있는 형태이다. 파스트르스코예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이 가장 대표적이다.

 

 

 

그림 2. 흑해 북안에서 출토된 아틱 스타일의 투구와 정수리 보호대, 화살촉

 

트라키아 스타일의 투구(그림 1-2~4)는 역시 두개골 보호부분(상단)과 얼굴보호부분(하단)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단의 형태가 뒤로 젖힐 수 있는 모자형태차럼 만들어진 것이다. 하단에는 아틱 스타일처럼 볼 가리개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흑해 북안에서 발견된 외국(코린트식, 아틱, 트라키아)의 투구는 대체로 연대가 기원전 5세기 이후의 것이다. 매우 오래전에 발굴 혹은 도굴되면서 정확한 유적의 정보가 없다.

 

흑해 북안에서 발견된 외국의 투구는 모두 실용성과는 거리가 멀다. 이들 투구는 상단과 하단이 따로 만들어지고 땜질해서 연결되었으나 시간이 가면서 하단은 매우 작은 못으로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된다. 유적에서는 발견될 때는 하단은 결실된 채 많이 발견된다. 결국 가장 실용적인 스키타이 스타일의 쿠반형태와 비슷하게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쿠반형 헬멧은 현대에서도 볼 수 있다..ㅋ

 

 

 

그림 3. 흑해북안에서 출토된 다양한 스타일의 투구변화

 

 

 

그림 4. 쿠반형 투구, 켈레르메스 유적 출토

 

 

말탄병사와 보병의 병사가 싸우는 장면이 표현된 장식판의 투구는 코린트스타일 가능성이 크다. 그럼 솔로하 유적에서 출토된 황금빗의 말탄전사는 어떤 스타일의 투구일까요?

 

사실 코린트 스타일 투구는 다스베이더의 투구와 매우 닮았다고 우기고 싶다. 영화잡지에서는 일본 사무라이의 투구를 모티브 했다고 하는 것을 읽은 기억이 있지만.

 

참고문헌

Артамонов М.И. 1966 : Сокровища скифских курганов в собрани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Эрмитажа. Прага — Л.: Артия, Советский художник. 1966. 120 с (아르타모노프 1966, 에르미타주 소장 스키타이 무덤의 보물)

Черненко Е.В. 1968 : Скифский доспех. Киев: «Наукова думка». 1968. 190 с(체르넨코 1968, 스키타이의 갑옷)

Галанина Л.К. 2006 : Скифские древности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в собрании Эрмитажа. Келермесские курганы. СПб: Изд-во Гос. Эрмитажа. 2006. 80 с. (Коллекции Эрмитажа)(갈라니나, 2006, 에르미타주 소장, 카프카스 북쪽의 켈레르메스 고분. 스키타이 문화유물)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