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시베리아의 알타이 남부 파지릭계곡에는 2500년 전 공동묘지가 있다. 그곳의 이름은 파지릭 유적인데, 2호분에는 남성과 여성 미라가 확인되었다.

 

이 유적은 스키타이 문화를 이루는 한 장소로서, 알타이에 위치한 유적은 파지릭문화라는 지역명칭이 있다. 파지릭문화에서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여성미라를 소개한 바 있다. 시신을 미라 처리했다는 점에서 두 유적은 늘 비교된다.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여성은 살아생전에 샤먼이었을 것으로 학계에서는 추정한다. 파지릭 유적의 2호분은 스키타이 문화의 왕족이었다고 들 한다.

이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흔히들 거울은 샤먼의 물건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어쩌면 그 당시에는 샤먼과 왕족의 구분이 애매했 던 사회였는지도 모른다. 거울이 일상생활용품은 아니기에 위세품, prestige 라는 말로 설명이 되는지도 모르겠지만....

 

암튼 파지릭 유적 2호분에는 거울이 2점 출토된다. 청동제 거울(그림1)과 은제 거울(그림2,3)이다.

청동제 거울은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도 출토되었는데, 손잡이 달린 목제 틀에 네모난 청동판을 한쪽에 끼워넣은 것이다. 파지릭 2호분 청동제 거울은 원형의 청동제 거울에 한쪽에 손잡이를 붙인 것이다. 거울의 단면은 한쪽은 편평하고 한쪽은 볼록하다. 손잡이는 긴 가죽으로 싼 것이다(그림1-4). 청동거울은 표범모피로 된 주머니와 함께 확인되었다(그림1-5).

 

그림 1. 파지릭 2호분 출토 청동제 거울과 표범모피로 된 주머니

 

 

그림 2. 파지릭 2호분출토 은제 거울

 

 

그림 3. 파지릭 2호분 출토 은제 거울 , X선 촬영

 

은제 거울은 가죽주머니 안에서 화장품과 함께 확인되었기 때문에 여성용이다. 원형(직경 15cm)의 거울 아래에 사다리꼴 모양의 자루(길이 11.5cm)가 아래에 붙어 있다. 거울의 한면은 완전히 매끄럽고 반대쪽은 문양이 있다. 중앙에는 원뿔모양의 원형 꼭지가 있고 그 주변을 원형 테두리가 둘러 싸져 있다(그림 2,3). 그 테두리 주변에는 12개의 동심원 문양이 있고, 그 간격에는 수직 및 대각선으로 음각되어 있다(그림 2). 은제 거울 끝에는 이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자루가 붙어 있고, 이 자루는 뿔로 된 손잡이에 삽입되어 제작된 것이 X선 촬영 결과 알 수 있었다(그림 3). 손잡이의 단면은 팔각형이다.

은제 거울이 여성용이었기 때문에 청동제 거울은 남성의 것이라고 루덴코는 설명했다.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 출토된 목제+청동 거울은 나무틀의 뒷면에 사슴문양이 새겨져 있었고, 담는 주머니는 펠트로 된 것이었다. 파지릭 2호분의 출토품은 청동제 거울은 손잡이 까지 청동으로 제작되었고, 표범모피로 된 가죽주머니 안에서 보관되었다. 은제 거울 역시 남아 있지는 않지만 표범모피주머니에 보관되었다고 한다. (거울도 동물과 관련을 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경우의 수가 너무 적지만.)

 

필자가 하나씩 설명할수록 놀라운 점은 문화의 성격이 매우 다양하다는 점이다. 방향성은 공통적이지만, 거기에 표현된 것은 각기 개성이 있다. 이렇게 말 할 수 있는 전제조건은 같은 시기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만약에 유물이 출토된 시간성에 차이가 있다면 동시대의 것이 아니라면 다를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논할 근거가 없다. 그러나 동시대이고, 가까운 장소에서 같은 문화에서 다양한 유물이 확인되는 점은 매우 다양하고 개성이 강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큰 테두리의 질서는 유지되지만 그 안에서의 개성은 존중되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Руденко С.И. 1953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Scythians: warriors of ancient Siberia. [British Museum. The BP exhibition. Organized with the State Hermitage Museum, St Petersburg, Russia] Ed. by St John Simpson and Dr Svetlana Pankova. London: Thames & Hudson Ltd. 2017. 368 p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작년에 필자가 진짜 재밌게 본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나 빼고도 다 재밌게 보셨겠지만.

그런데 여주인공이 처음배웠다는 영어단어

Gun, Glory and sad endding이었다. 오늘 제목은 그걸 살짝 바꾼 것이다

얼굴 가리고 총들고 지붕 위에서 적을 정확하게 저격하는 모습이 너무나 인상깊었다. 그리고 명예...

주인공이 들고 있던 총의 옛 모습이 검이었을 테니깐. 우리가 살고 있는 배경이 그 때 그 슬픈시절이 아니니, 새드엔딩이 아니길 바라는 마음에서..


그렇다. 

오늘 약간 풀어놓을 것은 인류사 최초의 무기이다.


 

사실 요즘 필자는 환단고기 때문에 홍산문화를 난도질하는 중이다. 첫걸음은 토기인데,,왜냐하면 고고학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편년문제 때문이다. 편년은 그냥 시간 혹은 기간 쪼개기로 생각하면 된다. 이 부분은 논문은 두어편 있어야 할 듯한데,, 한편은 곧 공개될테고, 다른 한편은 시베리아 자료가 약간 부족해서 조금 시간이 걸릴 듯하다..좀 많이 안타깝다.

 

그리고 이를 보완하는 유물이 아래의 사진이다.


 사진1. 홍산문화에서 출토된 조합식석인검(적봉박물관에서 필자촬영)


조합식석인검, 석인창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석인골병도(石刃骨柄刀)라고 한다.

주로 나무나 뼈를 갈고 홈을 파서 석인(石刃)을 끼워넣은 것이다.

석인이라는 용어는 어려워 보이나, 영어로 하면 blade인데, blade는 그냥 쓸 수 없어서 어딘가에 끼워서 쓰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늘 설명한다. 석기가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변화된 것은 컴퓨터가 방만한 크기에서 손바닥만한 크기로 변한 것과 같은 거라고 설명하면, 모두 잘 이해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 석기를 제작하는 방법과 만들기 적합한 재료, 그리고 이 도구를 쓸 수 있는 환경은 후기구석기시대 부터라고..(이 부분은 논점에서 벗어남으로 다음에 설명한다.)


이 유물이 중국요서지역에서 보이는 것은 홍산문화부터이다.

그런데 이 유물은 시베리아의 것이다.

시베리아에서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순동시대인 글라스코보문화까지, 청동검이 등장하기 직전까지 지속된다. 또 이 유물이 주로 분포하는 바이칼 유역의 아래 동네인 몽골, 중국신강, 카자흐스탄 까지 5000년 경에 출토된다. 아마도 알타이 산맥과 붙어 있는 천산산맥을 따라서 흘러들어가는 것 같다.




그림 2. 후기구석기시대(1~4)와 순동시대(5~7)의 조합식검과 창




그림 3. 시베리아 신석기시대 조합식 석인검


필자는 이 유물이 언제 어디서 없어지고, 생겼는지가 매우 궁금하다.

동쪽의 끝은 중국요서지역 홍산문화(6000~4500년 전) 및 그 이후의 소하연문화(4500~3500년 전)이다. 제대로 알려면 홍산문화의 언제적부터 이 유물이 나오는지도 살펴야 하고, 어떤 상황(유적)에서 출토되는지도 조사해야 한다.

그리고 이 유물이 들어가는 서쪽과 남쪽도 궁금한데,,,..확실한건 시베리아에서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나온다는 점이다. 시베리아에서는 청동검 등장까지 사용된다. 그리고 정확하게 청동검과 이 유물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궁금하다.

 

인류사 최초의 무기라고 생각된다. 혹은 무기형태...무기에 사회적역할을 부여하면 후기구석기시대무기는 약간 어불성설이지만, 그런데 무기의 모습을 띤 것은 맞다.

 그래서 필자는 이미 구석기시대에 인간이 만들 수 있는 것의 첫 모습은 다 있었다고 생각한다

 

중국요서지역에서 확인되는 이 유물의 기원 찾기 때문에 시베리아로 눈을 돌리게 되었고, -영의 Great game 이전에 시베리아에 포함되었던 현재의 카자흐스탄에도 관심이 가게 된 것이다.(이는 카자흐스탄이라는 나라가 만들어진 배경과 관련 있는데,,,아마 다른분들이 많이 포스팅했을 가능성이 많다)


유라시아를 내가 통째로 다 할 수는 없으니, 지역도 한정시키고, 주제도 몇 개로 줄일려고 한다. 시베리아는 중앙유라시아에 포함된다. 서울대 김호동교수는 중앙유라시아의 가장 북쪽지역으로 보고 있다(김호동, 아틀라스 중앙 유라시아). 이 유물 때문에 시베리아 후기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를 포스팅하고,,,,원고도 적어야 한다.


필자의 수업자료에서..(중앙유라시아로 규정된 부분)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4 5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