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살핀 지역에서 신석기시대의 시작연대는 각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표1). 그런데 중국 신강성과 인접한 지역에서 공통적인 문화양상을 보이는 시점은 4500년 전부터이다(그림12).
중국 신강 3유형과 몽골 1단계는 5500년 전 께 해당되는데, 원통형 및 원추형 석인석핵이 출토된다는 점은 공통적이지만, 내용이 빈약하며, 각 지역에서 뒤를 잇고 있는 신강 4유형, 몽골 2단계의 유물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5500년 전께는 뚜렷한 특징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신강 4유형이 되면 카자흐스탄 동부의 우스티-나림 문화와 몽골의 신석기시대 2단계는 아주 유사한 유물조합을 보인다(그림12). 원통형(그림12-2,5)과 원뿔형 석인석핵(그림11-1,4), 석핵형 긁개(그림12-3,13)는 이들 지역에서 모두 확인된다.
시묘노프는 원통형과 원뿔형 석인석핵은 규조암을 눌러떼기 방법으로 석인을 잘라내는 가운데 생기는 것으로 구석기시대에는 부정형이다가 신석기시대가 되면서 고착되는 것으로 보았다Семенов С.А. 1968). 끝이 둥글게 처리된 긁개는 석인기법을 이용한 석기로서 신강의 4유형(그림12-11,12)과 우스티-나림(그림12-10) 문화, 몽골 2단계(그림12-13), 3단계에서 동일하게 확인된다. 그 외에 석도는 세 지역에서 확인되는데, 인부가 직인으로 ‘ㄱ자 형 석도(그림12-16,18,22) 및 반타원형에 가까운 석도(그림12-15,19)가 우스티-나림과 신강 4유형, 몽골 3단계에서 확인된다. 마연된 어망추(그림 11-23,24)와 장타원형의 석인 제작도구(그림12-25,28)는 우스티-나림문화과 신강 4유형에서 같은 형태의 것이 각 지역에 출토되었다. 우스티-나림문화와 몽골에서는 유사한 타제 석부(그림12-29,30)가 확인되며, 몽골과 신강에서는 마제 공이(그림12-40,42)도 출토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지역에서는 모두 켈테미나르문화의 흔적이 확인된다. 석인 가운데 한쪽변만 잔손질해서 다른 쪽 보다 길게 처리한 뚜르개(그림12-33)는 우스티-나림문화(그림12-36), 신강, 몽골(그림12-41) 모두에서 확인된다. 또한 켈테미나르문화의 석촉(그림12-33)도 신강 4유형(그림12-36)에서 보인다. 평면형태 사다리꼴인 켈테미나르문화와 유사한 형식의 마제석부가 신강(그림12-40), 몽골(그림12-42)에서 출토되었다.
한편 바이칼 유역의 석기는 타제석창(그림12-45)과 유경식 석촉(그림12-46,47)이 신강 유역(그림12-43,44)에서 확인된다. 뿐만 아니라 우스티-나림문화에서는 시베리아에서 가져온 석재로 제작된 석인석핵 및 골각기 가운데 낚시바늘, 납작한 석기, 조합식검이 시베리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Ошибкина С.В.(ред)., 1996,)
또한 몽골에서는 바이칼 유역의 토기 및 조합식검이 바로 북쪽에 위치한 바이칼 지역에서 영향을 받았다(Новгородова Э.А.,1989)
따라서 카자흐스탄 동부~신강~몽골은 석기양상으로 보아서 한 문화권을 이룬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그 시점은 4500년 전 부터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몽골, 카자흐스탄 동부, 신강 지역에서 좀 더 이른 시기의 유적이 확인된다면 그 시기는 더 빠를 수도 있다. 또한 이 지역은 바이칼 유역 및 카자흐스탄 동부보다 서쪽인 켈테미나르문화와의 관련성도 유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그림12).
필자가 이 지역을 고고문화보다 좀 더 큰 의미인 문화권으로 설정한 것은 주거양상 및 토기 때문이다. 토기가 많지는 않지만, 지역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우스티-나림문화에서는 시베리아 신석기토기와 인접한 켈테미나르문화의 토기가 확인된다(Ошибкина С.В.(ред)., 1996). 신강 지역은 시베리아 토기에 대한 언급은 없고 채색토기가 출토되며(伊第利斯·阿不都热苏勒,1993), 몽골 3단계에도 채색토기(그림7-54~58), 시베리아 토기(그림7-59~65)가 있다. 만약 신강 4유형에 망상문 토기, 첨저토기 등 시베리아토기가 확인되었다면 몽골 3단계와 이 지역이 켈테미나르문화의 영향을 받은 카자흐스탄 동부에 비해서는 더 유사한 지역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주거양상은 카자흐스탄의 켈테미나르문화(그림4) 및 우스티-나림문화가 텐트형주거식(Ошибкина С.В.(ред)., 1996)인 것에 비해서 주거지가 확인된 몽골은 수혈식(그림7-5)이다. 즉 석기양상은 같은 문화권으로 보이지만, 주거양상이나 토기양상에서는 신강지역과 몽골이 더 관련성이 깊다.
참고문헌
Семенов С.А. 1968, Развитие техники в каменном веке.(Ленинград:НАУКА, 1968). pp. 46~51.
Ошибкина С.В.(ред)., 1996, Неолит Северной Евразии, Москва, НАУКАIbid. pp.130.
Новгородова Э.А.,1989,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Москва:НАУКА, pp. 70~73.
Ошибкина С.В.(ред)., 1996, Неолит Северной Евразии, Москва, НАУКА Ibid. pp.130.
伊第利斯·阿不都热苏勒,1993, 「新疆地区细石器遗存」.『新疆文物』, 4期, pp.15~59.,宋亦箫, 2010, 「新疆石器时代考古文化探論」, 『西部考古』, 第4輯,pp.4~9.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교과서 밖의 역사 2: 카자흐스탄과 중국신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신강성과 바이칼 유역의 신석기문화 (0) | 2019.07.23 |
---|---|
중국 신강성과 몽골의 신석기문화 비교 (0) | 2019.07.23 |
시베리아,검(sword) , 그리고 해피엔딩 (0) | 2019.03.26 |
세상의 중앙 천산산맥 (0) | 2018.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