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유라시아 타이가 지대에 위치한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마을의 경계를 나무 울타리로 만들고 통나무로 집과 무덤을 지은 흔적이 남겨져 있다. 타이가 남쪽에 있는 스텝지역의 스키타이 인들의 유적에서 마을 유적이 잘 발견되지 않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그들은 스키타이 유물을 수입하거나 모방해서 만들기도 했다. 단검 중에 동물장식이 달린 청동손잡이는 스키타이 물건을 모방하고, 자신들이 만든 날을 끼워서 사용했다. T자형 철검은 정확하지 않은데 이 지역에서 만들었을 수도 있고 수입했을 수도 있다. 화살촉도 자신들이 만든 것이 많지만, 기원전 6세기 경부터 발견되는 화살촉 가운데는 코카서스 북쪽의 켈레르메스 유적에서 만든것과 거의 유사한 유물이 발견되며 점차 시간이 갈수록 비율이 높아진다.

 

동물장식은 마구, 걸쇠걸이, 청동거울, 벨트 장식 등에서 볼 수 있다. 청동거울은 2정류인데 손잡이가 아래로 달린 것(그림 1-1)과 거울 뒷면에 꼭지(그림 1-2)처럼 달린 것이다. 손잡이가 아래로 달린 것은 흑해 스키타이 문화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유물이다. 흑해지역의 거울은 손잡이가 길지만,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것은 손잡이 부분이 파손되어 불분명하다. 비슷한 특징의 유물을 참고하면(그림 1-3,4) 손잡이는 따로 제작되어서 거울경면을 끼워서 사용했을 수 있다. 거울의 평면형태도 완전히 둥근 것이 아니고 가장 위쪽이 튀어나왔다. 거울 배면(뒷면)에 표현된 동물장식은 스키타이 동물장식에서 볼 수 없다. 스키타이 동물장식은 각 동물의 특징이 분명하면서 어떤 특정 부분을 추상화시킨 것이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거울속에 동물은 정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그림 1-1의 동물은 주둥이는 길고 단절되어 있으면서 몸통은 비대하고 사지는 매우 간락하다. 멧돼지처럼 보이지만 갈기가 표현되어 있어서 어떤 동물을 합성한 것으로도 보인다. 스키타이 문화의 동물장식에 비해서 익숙해 보이지 않지만 만약 같은 동물장식이 반복되었다면 아나닌스카야 문화를 상징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생긴 동물이 표현된 유물은 아주 소수(바실례프 2004)이다.

그래서 합성하는 동물 장식이 이 문화에서는 크게 발달하지 않았을 수 있다.

 

 

완전히 둥근 거울은 꼭지가 달린 거울(그림 1-2)인데, 동물장식이 달려 있다. 뿔이 있는 산양으로 머리를 뒤로 돌리는 자세로 표현되었는데, 스키타이 유물에서 볼 수 있다. 거울 가장자리에 테가 높이 달린 것도 스키타이 거울의 특징이다. 꼭지 달린 거울은 흑해보다는 시베리아에서 아주 많이 확인되는 유물이고, 머리를 뒤로 돌리는 자세는 흑해에서 기원전 7세기부터 있었던 동물 장식에서 발견된다.

 

 

그림 1-1은 스키타이 문화에서 볼 수 없는 것으로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거울이지만, 크게 유행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그림 1-2의 청동거울에 달린 동물장식은 이 지역에서 단독으로도 많이 발견된다고 한다.

 

그림 1.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청동거울: 전형적인 유물(1,2)과 비슷한 유물(3~8)

 

참고문헌

Васильев Ст.А. Ананьинский звериный стиль: Истоки, основные компоненты и развитие // Археол. вести. – 2004. –№ 11. – С. 275–297.(바실레프 2004, 아나닌스카야 동물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베리아 서부 지역이자 우랄 산맥 서쪽 볼가강-카마강 유역에는 초기 철기시대 아나닌스카야 문화가 존재했다. 스키타이 문화와 동시대의 문화로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 여러 물품을 수입해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스키타이 문화의 지도는 우측에서 확인가능합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무기이다.

하지만 어제 살펴본 바와 같이 철제검이나 두 종류 이상의 금속 재료를 써서 만든 검은 수입품인지 애매한 것도 있고, 모방해서 만든 것도 있었다. 손잡이가 단순하고 거푸집에서 손잡이까지 한번에 만든 철제 검은 어디서 제작했는지 분간하기가 어려워서 애매했다. 손잡이가 화려하게 장식된 검은 검의 몸통(신부)는 철제, 손잡이는 동(순동 혹은 청동)으로 만들어졌는데, 자신들의 독자적인 검도 있었고 그 기술로 스키타이 검을 흉낸 것도 아밀호보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모방한 동검은 손잡이가 스키타이 동물장식과 비슷한 것이 발견되었는데, 제작 기술이 달라서 직수입품은 아니다.

 

www.google.com/maps/d/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검 보다는 화살촉이 많이 발견된다. 청동제품이다.

흑해지역에서 발견되는 화살촉 보다 훨씬 종류가 많다. 화살촉을 분류해서 설명하면 (다들 도망가실테니) 너무 복잡하다. 크게 분류하면 흑해지역에서 보이지 않는 유물과 아주 비슷하게 생긴 유물(그림 1-52,53)이 있다. 그림 1의 유물은 기원전 6세기 유물이라고 한다.

흑해의 우안, 코카서스 산맥 북쪽에 위치한 켈레르메스 유적(기원전 7세기)에서 출토된 화살촉과 기원전 6세기 아밀호보 유물(그림 1-52,53)은 매우 유사하다. 흥미로운 점은 이 지역에서 시간이 흐를수록 켈레르메스 화살촉처럼 생긴 유물이 많아진다.

 

그림1.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청동화살촉, 기원전 6세기

 

그림 2. 스키타이 문화의 켈레르메스 유적

 

스키타이 문화의 화살에 대한 이야기는 헤로도투스도 적은 바 있고, 아파다나 궁전에도 페르시아 군인들이 스키타이 활과 고리트를 들고 있는 장면이 새겨져 있다.

 

참고문헌

Кузьминых С. В. Металлургия Волго-Камья в раннем железном веке: Медь и бронза. — М.: Наука, 1983. — 257 с.(쿠지미니흐 1983, 볼가-카마 강 유역의 초기철기시대: 순동과 청동 금속제작)

Алексеев А.Ю. 2003 : Хронография Европейской Скифии VII-IV веков до н.э. СПб: Изд-во Гос. Эрмитажа. 2003. 416 с(알렉세예프 2003, 기원전 7-4세기 유럽스키타이문화의 편년)

Галанина Л.К. 2006 : Скифские древности Северного Кавказа в собрании Эрмитажа. Келермесские курганы. СПб: Изд-во Гос. Эрмитажа. 2006. 80 с. (Коллекции Эрмитажа)(갈라니나, 2006, 에르미타주 소장, 카프카스 북쪽의 켈레르메스 고분. 스키타이 문화유물)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우랄 산맥의 좌측에 위치한 볼가 강과 카마 강 유역의 초기 철기시대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남쪽의 초원지대에서 수입된 것으로 생각되는 검이 발견된다.

손잡이가 T자형이고, 검날 멈추개는 나비형으로 생긴 것이 많다. 이들 유물은 철제품이다(그림 1, 8번 제외). 이와 달리 손잡이에 뿔처럼 생긴 ‘촉각’모양의 장식이 붙거나 어떤 장식이 붙은 것도 있다(그림 2-12,13,16,17).

 

그림 1.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 발견된 스키타이 철제 단검

 

그림 2.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 발견된 단검

 

그런데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이들 유물을 전부 초원지역으로부터 들여온 것일까? 아니면 이 지역에서 만든 것일까?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단검 중에는 날부터 손잡이까지 같은 거푸집에서 한번에 주조된 것은 청동 혹은 순동으로 제작된 것이다. 그림 2-1~3이 일주식으로 만들어진 것인데(그림 2-1~3), 손잡이 모양은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고유특징으로 알려졌다.

이 문화에서는 일주식이외에도 손잡이 따로 날을 따로 만드는 방법(별주식)도 존재했다. 손잡이는 청동으로 날은 철제로 만들어진 것이다. 손잡이에는 스키타이 문화에서 볼 수 없는 2열로 된 원형문양이 표현되었다(그림 3).

즉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일주식과 별주식 검을 만드는 전통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3.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단검

 

그런데 손잡이가 복잡하게 꾸며진 유물 중에서 동물의 뿔장식(그림 2-16, 17), 그리핀(2-12,13), 산양 머리(그림 2-5)가 붙은 것은 손잡이와 날이 따로 만들어진 것이다. 손잡이는 청동 혹은 순동으로, 날은 철로 제작되었다. 철 보다 무른 성질의 동이 섬세하게 표현하게 쉬웠기 때문일 것이다. 이 방법은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검 제작 방법이다.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발견된 동물장식이 달린 청동 검이나 철제의 T자형 검은 일주식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이다(그림 4).

 

그렇다면 동물장식 검(그림 2-12,13,16,17)은 손잡이만 스키타이의 것을 모방했을 가능성이 있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자신들의 검을 제조했고, 일부 유물에서 스키타이 유물을 모방한 것이 발견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거의 유사하게 생긴 철제 스키타이 검(그림 1)도 있는데 그대로 가져온 것인지 이 지역에서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매우 많은 금속제품이 발견되는데 그 중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청동제화살이다.

 

그림 4. 스키타이 문화권 가운데 타가르 문화의 청동검

 

 

참고문헌

Кузьминых С. В. Металлургия Волго-Камья в раннем железном веке: Медь и бронза. — М.: Наука, 1983. — 257 с.(쿠지미니흐 1983, 볼가-카마 강 유역의 초기철기시대: 순동과 청동 금속제작)

Васильев Ст.А. Ананьинский звериный стиль: Истоки, основные компоненты и развитие // Археол. вести. – 2004. –№ 11. – С. 275–297.(바실레프 2004, 아나닌스카야 동물장식)

Завитухина М.П. 1983 : Древнее искусство на Енисее. Скифское время. / Публикация одной коллекции. Л.: Искусство, Лен. отд., 1983. 192 с.(자비투히나 1983, 예니세이강의 고대 예술)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의 북쪽에는 타이가 삼림지대가 펼쳐져 있으며 볼가 강 중류부터 카마 유역에는 아나닌스카야 문화가 번성했다. 스키타이 문화와 비슷한 시기인 기원전 8세기부터 이 문화의 실체가 알려져 있다. 스키타이 연구자들은 대부분 동물장식을 비롯한 여러 요소들 때문에 이 문화에 관심을 둔다. 동물장식 외에도 흑해 지역으로부터 수입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유물 중에 하나가 단검이다.

 

손잡이 끝에 동물의 뿔이 추상화되어 달린 것은 기원전 6세기 이후의 유물로, 흑해지역에서도 기원전 6세기부터 등장한다. 흑해 지역의 많은 유적에서 출토되지만 그 중에서도 솔로하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을 기준으로 한다. 솔로하 스타일이라고 한다(그림 1).

 

그림 1. 흑해지역의 기원전 6세기 이후 청동단검

 

물론 흑해지역에서 기원전 6세기 이전에도 단검은 존재한다. 멜구노프, 켈레르메스 유적의 유물은 화려하게 치장된 것으로 의례용이다. 화려하긴 하지만 실제 일반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기원전 7세기경 흑해지역을 대표하는 단검은 손잡이에 아무 문양이 없는 ‘T’자형 검이다(알렉세예프 2003)(그림 2).

 

그림 2. 알렉세예프의 스키타이 유물 편년, 상단은 기원전 700~530세기, 하단은 기원전 530/550~300년. 알렉세예프는 흑해지역의 스키타이 문화가 시작된 시점을 기원전 700년 기원전 8세기라고 보고 있으나, 학자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견해차가 있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도 촉각이 달린 단검도 있지만(이미 포스팅했음), 아밀호보 유적에서는 기원전 7세기 경의 흑해지역에서 발견되는 매우 단순한 청동제 단검(그림 3)이 출토된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흑해지역에서 수입해서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이 지역에서는 손잡이가 ‘T’자형인 단검과 동물장식이 달린 단검이 공존해서 나온다(그림 3, 4).

 

그림 3. 아밀호보 유적의 단검 1

 

그림 4. 아밀호보 유적의 동물장식 단검 2

 

 

 

참고문헌

Д.А. Топал, АКИНАКИ КЛАССИЧЕСКОЙ СКИФИИ: ТИП СОЛОХА, 2014

В.С. Патрушев, МОГИЛЬНИКИ ВОЛГО-КАМЬЯ РАННЕАНАНЬИНСКОГО ВРЕМЕНИ, 2011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 북쪽의 타이가 지대의 초기철기시대문화인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동물장식이 스키타이 문화의 것과 유사해서 초원지대와 어떤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유물 가운데 초원과 코카서스 산맥 일대(흑해의 우측)에서 수입한 것으로 생각하는 유물은 단검, 도끼(전투용), 화살촉, 마구류, 청동으로 된 그릇도 있다.

그런데 마구류는 장식의 종류에 따라서 이 지역에서 먼저 생겨난 것도 있다. 곰 장식인데, 이 지역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드네프르 강 유역에서는 기원전 4세기 경에 발견된다.

이것은 매우 한정된 유물로 살펴본 이야기 이고, 많고 많은 흑해지역의 굴레장식은 기원전 7세기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했지만 특정 유물만 이 지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흥미로운 것은 이 지역에서는 그리스 스타일로 생각되는 유물은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필자는 이것이 가장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하는데, 만약에 흑해지역의 스키타이 사회를 대표하는 물건이 그리스 스타일이었다면, 아나닌스카야 문화에도 그리스 유물이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사람들이 스키타이 문화의 유물을 받아들였을 때 스스로 원했거나 혹은 구지 그렇지 않았더라도 만약 외부의 유물을 들였다면 가장 유행하거나 인기있는 품목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 품목에 그리스 유물은 없었다. 필요가 없었을 수도 있고 잘 몰랐을 수도 있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는 마을과 무덤이 함께 발견되는 것이다(그림 1). 나무방을 만들어서 무덤을 만드는 특징은 흑해 지역에서도 발견된다(시간과 지역에 따라서 나무방을 쓰지 않는 경우도 있다). 물론 알타이와 시베리아에서 나무방은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스키타이 문화의 특징이다.

 

스키타이 문화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일까? 무기, 마구, 동물장식이라고 삼요소를 꼽았지만 나무방이 있는 쿠르간(봉분묘)도 지역과 시간에 따라서 구분해서 정의한다면 가능하다.

 

그림 1. 아크밀로보 유적의 복원도

 

참고문헌

В.С. Патрушев, МОГИЛЬНИКИ ВОЛГО-КАМЬЯ РАННЕАНАНЬИНСКОГО ВРЕМЕНИ, 2011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