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유라시아 초원지대 북쪽의 타이가 지역(산림)의 초기철기시대 문화인 아나닌스카야 문화는 스키타이 문화권으로 넣을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가 가장 큰 논쟁인 것 같다. 동물장식으로 보면 유사한 점이 매우 많기 때문에 넣고 싶은 연구자가 있다. 그러나 이 문화에서 발견되는 성채 등의 마을 유적을 보면 스키타이 문화권(흑해나 알타이나 거주지 유적이 거의 발견되지 않음)내에서는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사실 이것으로 ‘아니다’라고 하기에는 애매하다.

 

그렇다면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무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봉분(쿠르간)’없는 무덤이 가장 특징이다. 가장 대규모 유적은 아흐미로보 Ахмылово, Akhmylovo 유적이다. 초기철기시대 이전인 청동기시대부터 유적은 만들어졌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이른 시기인 기원전 6~5세기 유적에서는 무덤 주변에 석주를 돌려서 묘역을 구분한 유적이 발견되었다. 무덤시설에는 나무로 구조물을 만든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대부분 단인장이었으나 2인장이나 집단매장이 이루어진 경우도 있다. 이 외에도 뼈만 추려서 넣은 2차장 유적들도 많이 발견된다. 인골이 남아 있는 무덤에서 확인된 바로는 팔다리를 쭉 뻗은 자세(앙와신전)로 사자를 매장했다. 무덤 내에는 토기에 고기를 넣어두는데, 남성은 말고기, 여성은 소고기로 구분했다.

 

www.google.com/maps/d/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무덤 안에 나무시설은 나무방(목곽)이나 나무관(목관)이었겠지만 잘 남아 있지 않다.

 

그림 1.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무덤, 아흐밀로보 유적의 다인묘

 

그림 2.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무덤, 아흐밀로보 유적의 무덤시설

 

스키타이 문화권에서는 이 지역과 가장 가까운 문화는 볼가 하류의 사르마트 문화인데, 그곳의 무덤은 흑해지역(물론 흑해에서 그리스 영향을 많이 받은 유적은 약간 다르다)과 유사한 점이 있었다. 봉분(쿠르간)이 있고, 지하에 여러 무덤방을 만들었다.

 

하지만 아나닌스캬아 문화에서는 무덤을 덮고 그 위를 덮은 흙 또는 돌로 만든 상부구조인 봉분이 없다.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무덤을 쿠르간이라고 부르는데 봉분무덤을 일컫는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봉분이 없기 떄문에 무덤의 종류로 ‘쿠르간’이라고 볼 수 없다. 또한 사자를 매장하는 자세도 차이가 있다.

이들 나름대로의 장례문화가 있었다고 해야할까? 아니면....

 

 

참고문헌

В.С. Патрушев, МОГИЛЬНИКИ ВОЛГО-КАМЬЯ РАННЕАНАНЬИНСКОГО ВРЕМЕНИ, 2011(파트루세프 2011, 볼가-카마강 유역의 초기 아나닌스캬아 문화의 무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볼가-카마 강 중류의 초기철기시대인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동물장식이 발견된다. 특히 스키타이 동물장식에서 볼 수 있는 유물(몸을 말고 있는 맹수장식. 곰 장식) 중에는 곰 장식은 이 지역에서 먼저 발견된다. 그래서 흑해지역에서 발견된 동물장식 중에는 동쪽 어디선가 먼저 발생하고 이 지역을 거쳐서 흑해 지역으로생겨났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더보기

< 물론 흑해지역에서도 이미 이 지역 청동기시대 마지막 시기인 코반 문화에는 동물장식이 있기 때문에 이 지역의 동물장식도 있다.>

 

스키타이 문화권의 가장 대표적인 그리고 이 문화를 상징하는 유물로는 몸을 말고 있는 맹수장식(일린스카야 1991, 보그다노프 2009)이라고 생각하는 학자들은 많다. 한편 끊임없이 논쟁이 이어지는 것 중에 하나는 하이브리드 동물인 그리핀이다.

아나닌스캬아 문화의 동물장식이 스키타이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볼 수 있는 유물 중에 하나가 검인데, 매우 유사하다. 특히 손잡이 끝에 달린 그리핀 머리는 흡사하다. 과장된 눈과 부리, 귀가 달린 모습, 서로를 마주보는 구도 까지 마찬가지이다. 특히 미누신스크 분지의 스키타이 문화 중에 지역문화인 타가르 문화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하다. 뿐만 아니라 뿔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이는(그림 1-1) 손잡이도 미누신스크 분지 뿐만 아니라 흑해지역(그림 1-6,7,10, 12)에서도 발견되는 유물이다. 헤로도투스는 스키타이 인의 단검(짧은 검)을 ‘아키나케스’라고 불렀다.

 

그림 1. 아나닌스카야 문화(1~5)와 스키타이 문화(6~12)의 동물장식검

 

하지만 이는 수입품은 아니다. 손잡이 끝은 매우 유사하지만 손을 잡는 부분과 날과 손잡이의 경계 부분(검날멈추개)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스키타이 문화에서 검날멈추개 부분은 ‘나비’모양(그림 1-6,7, 11, 12,13)이라고 한다. 손잡이와 검날멈추개 부분에는 문양이 없고 단순하다. 반면에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문양이 화려하게 남아 있다. 손잡이에 문양을 표현하는 것은 볼가 하류에 있던 필리포프카 유적(사르마트 문화의 유적 ,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가운데 볼가 하류의 지역문화)특징 중에 하나이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검은 청동으로도 만들어지고 철로도 만들어지는데, 이 지역의 독자적인 검은 짧고, 날부터 손잡이 까지 한번에 주조해서 만들어진 것(일주식)이다. 손잡이에는 소용돌이 문양이 있고, 검날 멈추개 부위에도 손잡이와 같은 문양이 있다(그림 2). 이 문화에서 발견되는 무기는 금속제 뿐만 아니라 단단한 물질로 만들어졌다.

 

그림 2.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동검

 

검의 손잡이를 화려하게 장식하는 이유는 보이기 위한 것이다. 검은 대부분 검집 안에 넣고 허리춤에 차게 되는데 보여지는 부분은 손잡이와 손잡이 끝이다. 실용성과는 거리가 멀다.

 

참고문헌

Богданов Е.С. Проблема происхождения образа хищника, свернувшегося в кольцо, в "восточной провинции" скифского мира.//Археология, этнография и антропология Евразии 4 (20) 2004 (보그다노프 2004, 스키타이 세계의 동쪽 지역에서 나오는 몸을 말고 있는 맹수 장식의 기원)

Ильинская В.А. Образ кошачьего хищника в раннескифском искусстве // СА. – 1971. – № 2. – С. 64–85.(일린스카야 1971, 초기 스카티이 예술에서 나오는 맹수장식)

Васильев Ст.А. Ананьинский звериный стиль: Истоки, основные компоненты и развитие // Археол. вести. – 2004. –№ 11. – С. 275–297.(바실레프 2004, 아나닌스카야 동물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지대 보다 약간 북쪽에 위치한 삼림지대인 타이가 지역에는 아나닌스카야 문화가 스키타이문화와 같은 시기에 존재했다. 필자가 이 지역을 포스팅한 이유는 동물장식 때문이다. 특히 곰 때문이었는데,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곰 장식(굴레장식)이 이곳에서 먼저 생겼을 수 있다는 굴랴예프(2019)의 연구를 보고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문화가 번성한 곳은 볼가-카마 강 유역으로 사르마트(사우로마트-사르마트) 문화(볼가강 유역의 스키타이 지역문화)의 유적지인 필리포프카 유적과도 비교적? 가깝기 때문이다. 필리포프카 유적에서는 목제그릇을 곰 장식으로 마무리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곰이 공양당하는 자세를 의미하는 장식이 굴레장식으로 제작된 것이 발견되었다.

-->

2021/02/07 - [스키타이 동물장식] - 기원전 4세기 유라시아 초원의 곰 장식

 

기원전 4세기 유라시아 초원의 곰 장식

흑해지역에서 발견되는 간두령 혹은 (막대)끝장식은 기원전 7세기에 나타나기 시작해서 기원전 5세기 이후 기원전 4세기까지 계속 나온다. 가장 이른 시기의 유물에는 지역 청동기시대 코반 문

eastsearoad.tistory.com

필리포프카 유적의 곰장식 그릇

2021/02/06 - [스키타이 동물장식] - 스키타이 문화의 곰 장식 나무그릇

 

스키타이 문화의 곰 장식 나무그릇

스키타이 문화 가운데 시베리아의 아르잔-2유적, 기원전 7세기 중반부터 출토되기 시작한 목제잔은 기원전 5~4세기에 동유럽 초원에서 발견된다. 새나 환상적인 동물의 이미지가 각인된 금판이

eastsearoad.tistory.com

 

 

흑해 지역의 스키타이 문화가 동쪽 어느 곳에서 왔다고 생각하는 학자(로스토프체프 1929, 테레노시킨 1971, 알렉세예프 2003, 그 외 다수)는 어찌되었건 스키타이 문화권 전체에서 볼 때 스키타이 문화는 독자적으로 생겨났다고 한 것이다. 문화권 안에서 생성된 스팟(투바, 알타이, 카자흐스탄 북쪽으로 알타이 인접지역)이 어느 지역인지 의견이 다를 뿐이지, 외부의 힘에 의해서 발생되었다고 주장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아나닌스카야 문화가 이 논의에 끼어들게 된 원인은 크게 두가지 때문이다. 곰 장식 뿐만 아니라 몸을 말고 있는 맹수장식 때문이다. 아르타모노프(1971)와 츨레노바(1971)는 흑해지역에서 발생한 곰과 늑대장식은 이 지역(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 먼저 발생해서 흑해로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다. 굴랴예프(2019)는 특히 곰 장식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더보기

<물론 흑해지역에서 ‘공양당하는 곰’이 나오는 기원전 4세기 이전에 이미 켈레르메스 유적(기원전 7세기) 은제 거울에 곰이 있다. 그런데 굴랴예프는 이 현상만 설명하고 별 다른 설명은 하지 않았다.>

몸을 말고 있는 맹수는 흑해 지역의 것이 주둥이가 많이 튀어나온 동물이어서 호랑이 혹은 표범이라기 보다는 늑대(아르타모노프 1971, 츨레노바 1971, 페레보드치코바 1994)라는 의견이 대다수이다.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맹수장식도 흑해유물과 비슷하다. 바실레프(1994)는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맹수장식이 기원전 5세기경에 이 지역에서 나오기는 하지만 유물이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런데 필자는 또 한가지 유물에 눈길을 둘 수 밖에 없었다. 검의 손잡이에 동물장식이 달린 검 때문이다(그림1). 그리고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갈고리 모양의 철제품에 달린 동물장식은 이 문화의 특징적인 유물이다.

 

 

그림 1.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검, 1~5 아나닌스카야 문화, 6~13: 스키타이문화의 검

 

 

참고문헌

Гуляев В.И. Культ медведя и элитные курганы Скифии //Археология, этнография и антропология Евразии Том 47 № 3 2019с. 85 – 93.(굴랴예프 2019, 스키타이 무덤에서 발견되는 곰 의례의 요소)

Тереножкин А.И. Скифская культура // Проблемы скифской археологии. – М.: Наука, 1971. – С. 15–23. –(МИА; № 177).(테레노시킨 1971, 스키타이 문화)

Алексеев А.Ю. 2003 : Хронография Европейской Скифии VII-IV веков до н.э. СПб: Изд-во Гос. Эрмитажа. 2003. 416 с(알렉세예프 2003, 기원전 7-4세기 유럽스키타이문화의 편년)

Rostovtzeff M.I. The Animal Style in South Russia and China. –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1929. – 112 p. –(Princeton Monographs in Art and Archaeology; vol. XIV).

Артамонов. Скифо-сибирское искусство звериного стиля. ПСА. М., 1971, стр. 24.(아르타모노프 1971, 스키토-시베리아 동물장식)

Н.Л. Членова. К вопросу о первичных материалах звериного стиля. ПСА. М., 1971, стр. 213-214 (츨레노바 1971, 동물장식의 기원에 대한 여러가지 문제점)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지대 북쪽에 위치한 타이가 지역에서 생겨난 초기철시대 문화인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동물형상 외에도 인간형상물도 있다. 금속으로 제작된 청동제품으로 기원전 5~3세기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앞서서 이야기 했지만 이 문화의 동물장식은 스키타이 문화 동물장식에서 어떤 특정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예를 들면 몸을 말고 있는 맹수장식과 같은 스키타이 문화권의 대표적인 유물이 이 지역에서도 많지는 않지만 발견된다. 특히 이 지역의 맹수장식은 주둥이가 튀어나와서 호랑이나 표범 보다는 늑대이며, 흑해 지역과 비슷한 점이 있다.

 

 

그림 1. 초기철기시대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기원전 5~3세기 유물

 

흑해 지역에서도 인간형상물이 발견되긴 하지만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청동 인간형상물과 비교해 볼 때 매우 세밀하며 이 지역 보다 일찍(기원전 7세기부터)발견된다. 특히 스키타이 신화속의 인물로 해석하려는 연구자들이 있다. 그래서 여성과 남성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그러나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인간형상물(그림 1-19~22)은 매우 단순하다. 얼굴표정과 의복표현이 없는 것도 존재한다. 성(性)은 구분되지 않는다.

이 문화의 인간형상물은 점토로 제작된 것도 아주 많이 출토되는데, 대표적인 유물이 타라소프스코예 의례장소에서 발견된 토제 인간형상물이다. 매우 간단하게 만들어진 것이다.

 

 

 

그림 2.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타라소프스코예 마을유적에서 발견된 토제품, 왼쪽에서 2번째 유물이 인간형상물이다. 그 오른쪽에 위치한 형상물은 정확하지 않지만 집이나 건축물 혹은 의례관련 유물일 가능성이 있다. 이 유적에서 발견된 인간형상물은 매우 간단하게 몸통에 머리 및 사지가 붙은 형태이다. 하지만 사진은 책의 표지에 있는 유물만 있어서 소개한다.

 

유라시아 초원지대 북쪽에 위치한 타이가 지역에서 생겨난 초기철시대 문화인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동물형상 외에도 인간형상물도 있다. 금속으로 제작된 청동제품으로 기원전 5~3세기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www.google.com/maps/d/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 발견된 금속제 인간형상물은 중세시대 기원후 7~8세기 유적에서도 발견된다. 천년 이상 시간이 흐른 후에 나타난 유물은 같은 모양일 수는 없다. 그러나 평면으로 인간형상물을 제작하며, 무표정한 얼굴표현, 성을 표현하지 않는 특징 등은 비슷하게 여겨진다. 그래서 동물문양과 같이 금속제 인간형상물도 매우 오랫동안 그 전통이 지속되어 온 것으로 여긴다. 중세시대 인간형상물은 인간만 표현된 것도 있지만 동물과 함께 결합되어 나온 형상물은 이 지역의 특징적인 유물로 여겨진다.

 

 

그림 3. 페름지역에서 발견된 7~8세기 인간+동물합성물

 

그림 4. 페름지역에서 발견된 7~8세기 인간

 

 

참고문헌

Васильев Ст.А. Ананьинский звериный стиль: Истоки, основные компоненты и развитие // Археол. вести. – 2004. –№ 11. – С. 275–297.(바실레프 2004,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동물장식)

Оборин В.А., Чагин Г.Н. 1988 : Чудские древности Рифея. Пермский звериный стиль. Пермь: «Пермс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88. 184 с. («Искусство Прикамья»)

Голдина Р.Д., Колобова Т.А., Казанцева О.А., Митряков А.Е., Шаталов В.А. Тарасовское святилище раннего железного века в Среднем Прикамье(골디나, 코로보바, 카잔체바, 미트랴코프, 샤타로프 2013, 카마 중류의 초기철기시대(아나닌스카야 문화) 타라소프스코예 자세유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지역 보다 북에 위치한 타이가 지대에는 스키타이 문화권과 어떤 방법으로든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아나닌스카야 문화(기원전 8~기원전 3세기)가 존재했다. 이 문화도 볼가 강 유역과 카마 강 유역에 널리 분포하면서 여러 지역에 다양한 소문화가 있었기 때문에 이 문화를 집합한 개념인 아나닌스카야 문화권이라고 불린다.

이곳에서는 마을 유적이 발견되는데, 스키타이 문화권과는 큰 차이점 중에 하나이다. 주로 강변에 위치한 구릉 위에 존재하며 성벽과 도랑이 발견되는데, 목책 시설을 갖춘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릉 아래에서부터 꼭대기 까지 목책(나무울타리) 시설을 둘러서 마을을 보호하는 경우도 있다. 이 성채 안에는 통나무로 만든 건물이 있었는데 일렬 혹은 원형으로 배열된 것이다. 통나무집은 구덩이를 파고 목제를 올려서 만든 것이다. 건물지의 평면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ㄴ 자 모양이다. 지붕은 편평하거나 경사지며 얇은 통나무, 잔디, 갈대, 자작나무 등으로 덮였다. 건물은 주거용, 제작장소, 종교장소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종교와 관련된 의례장소는 북쪽에 위치하며, 의식과 관련된 유물이 발견된다. 물푸레 나무로 만든 창, 건물지 주변의 도랑에 말과 곰의 두개골을 제물로 공양한 것 등이 발견되는데, 의례 행위와 관련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림. 1 투세믈랴 성채

 

그림 2. 세르빈스코예 성채

 

그림 3. 투세믈랴 성채의 복원도(위 2개), 트로이츠코예 성채 복원도

 

참고문헌

М.Г. Гусаков, Г.К. Патрик. 2009, Погребения на городищах лесной полосы раннего железного века (по материалам дьяковской, милоградской и юхновской культур)/У истоков археологии Волго-Камья (к 150-летию открытия Ананьинского могильника(구사코프, 파트리크 2009, 타이가 지대의 초기철기시대 성지에서 발견된 무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