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 투바의 헴칙-봄 유적이나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의 타스몰라 유적에서 발견되는 수수께끼 같은 동물문양장식은 골제에 표현된 것으로 주로 기원전 5세기경으로 생각된다.
페레보드치코바는 이 유물이 사슴돌의 전통을 따르고 있어서 두 유적은 기원전 5세기 유적이지만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좀 더 이른 유적에서도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 것으로 필자는 해석한다. 스키타이 동물양식의 속성 중에 하나인 하이브리드형 동물과는 다르다는 견해이다.그 외의 연구자들은 대부분 잡종동물로 생각한다. 어찌되었던 실제 유물보다는 훨씬 복잡한 사정이 있는 유물이라는 것은 모든 연구자들의 생각인 듯 하다.
수수께끼 같은 동물장식은 이미 소개한 바 있는 몽골의 울란곰 유적(기원전 5~3세기 혹은 기원전 4~3세기)(그림 1-5)에서도 나온다. 골제 버클인데 하나의 사슴머리가 다른 사슴의 목과 뿔 사이에 끼워진 채 확인되었다. 그라치는 서로 다른 동물이 삽입된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페레보드치코바는 빈 공간을 채우는 특징인 수수께끼 동물장식(그림 1-1~3)의 기법이라고 생각했다.
그림 1. 수수께끼 동물장식, 1,2-헴칙-봄(투바), 3-타스몰라(카자흐스탄), 4-사글리이-바쥐(투바), 5-울란 곰(몽골)
보여지는 형상이 같지는 않지만 같은 전통으로 생각되는 유물은 울란곰 유적의 북쪽인 미누신투바의 사글르이-바쥐 II유적에서도 출토되었다. 한 판에 말과 양, 영양과 맹금의 머리가 표현되었다. 영양의 머리가 말의 몸통에 밀착되어서 빽빽하게 공간을 꽉 채우는 기법이다. 다르게 이야기 하면 공간을 절약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그림 2. 사글리이-바쥐 출토 동물장식(그림 1-4와 동일유물)
수수께끼 동물장식을 연구한 그라치와 페레보드치코바는 2000년대 발굴된 아르잔-2 유적을 보지 못했지만 사실 이 유적에서도 그와 유사한 방법 혹은 전통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주인공의 목걸이, 모형 솥에 시문된 동물문양인데, 공간을 꽉 채우는 방법이다.(아래 두 포스팅에서 볼 수 있다)
2020.06.02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아르잔 유적 2호] - 2700년 전 시베리아 호랑이 눈
포스팅(0607
2020.06.07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아르잔 유적 2호] - 시베리아 스키타이문화 여성의 검과 칼
아르잔-2 유적은 기원전 7세기 중반 이다. 페레보드치코바가 생각한 대로 수수께끼 동물장식은 스키타이 동물장식 보다 더 이른 사슴돌 전통에서부터 시작되었다는 의견을 보충하는 자료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Грач А.Д. Древние кочевники в центре Азии 1980(그라치 1980, 중앙아시아의 고대 유목민)
Переводчикова Е.В. 1994 : Язык звериных образов. Очерки искусства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М.: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1994. 206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스키타이 동물장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재하지 않은 동물 (0) | 2021.09.28 |
---|---|
황금을 지키는 그리핀을 찾아서 (0) | 2021.06.30 |
수수께끼 같은 동물문양장식 (0) | 2021.05.27 |
스키타이 문화에서 S형 맹수장식 (0) | 2021.05.26 |
스키타이 세계의 변질 혹은 상호작용 (0) | 2021.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