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1. 2. 9. 13:31 스키타이 동물장식

 

 굴랴예프(2019)는 곰=북쪽 타이가 삼림 지대라는 관념을 고칠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곰이 유라시아 전 지역에 고대 민족들의 신앙적 동물로 자리잡았다는 민족지 자료를 참고한 것이다.

 

기원전 7세기 코카서스 산맥 북쪽 켈레르메스 유적에서 발견된 은제 거울 속의 곰이 최초로 발견되었고 같은 시기 레퍄호바타야 (Репяховатая Могила) 유적에서도 청동 끝장식으로 곰이 발견된다고 한다.(그러나 이 유적의 유물은 실제로 그림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다가 기원전 5세기 경에 곰의 머리와 발만 표현된 ‘공양당하는 자세’의 장식이 발견된다. 이 유물은 드네프르 강 유역과 크림 반도(흑해 북안)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보다 더 오래된 기원전 6세기경에 아나닌스카야 문화(카마 강 유역)에서 거의 비슷한 유물이 발견된다. 카마 강 유역과 드네프르 강 유역 사이의 돈 강 유역에서 이 유물은 거의 없다.

연대로 보아서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유물이 기원전 5세기에 스키타이로 침투? 했다고 볼 수 있다.

 

지도

www.google.com/maps/d/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그런데 이 문제는 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 스키타이 문화의 기원과 관련된 문제이다. 흑해지역에서 자생했다는 생각도 있지만 스키타이 문화는 깊숙한 동쪽 어딘선가 왔다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의견이다(로스토프체프 1929, 테레노시킨 1971, 알렉세예프 2003). 물론 반대하는 의견도 있다. 깊숙한 동쪽은 투바, 카자흐스탄 북쪽, 알타이인데, 이곳은 산림이 우거진 지역이다. 그래서 스키타이 인들이 흑해 북쪽과 코카서스 지역으로 이주하기 전에 곰에 대한 숭배 사상이 있었고 그 사람들이 흑해 부근에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 있다. 동쪽에서 오는 과정 중에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도 곰 형상물이 생겨나고, 결국 이 문화에서 곰 숭배가 스키타이 문화에서 나타난 일종의 부적처럼 마구장식에 달렸을 가능성이 있다(굴랴예프 2019).

 

아나닌스카야 문화와 사우로마트-사르마트 문화(스키타이 문화 가운데 볼가 강 유역)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다. 또 왜 돈강 유역은 아나닌스카야 문화와 흑해 드네프르강 유역의 중간지점인데 왜 곰 장식이 발견되지 않는지도 어떻게 설명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Гуляев В.И. Культ медведя и элитные курганы Скифии //Археология, этнография и антропология Евразии Том 47 № 3 2019с. 85 – 93.(굴랴예프 2019, 스키타이 무덤에서 발견되는 곰 의례의 요소)

Тереножкин А.И. Скифская культура // Проблемы скифской археологии. – М.: Наука, 1971. – С. 15–23. –(МИА; № 177).(테레노시킨 1971, 스키타이 문화)

Алексеев А.Ю. 2003 : Хронография Европейской Скифии VII-IV веков до н.э. СПб: Изд-во Гос. Эрмитажа. 2003. 416 с(알렉세예프 2003, 기원전 7-4세기 유럽스키타이문화의 편년)

Rostovtzeff M.I. The Animal Style in South Russia and China. –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1929. – 112 p. –(Princeton Monographs in Art and Archaeology; vol. XIV).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