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2. 2. 2.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유라시아 초원 철기시대 문화인 스키타이 문화는 흑해지역부터 시베리아 혹은 몽골의 서부까지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동물장식, 무기, 마구 등에서 공통성이 보인다. 좀 더 서쪽인 중국 요서지역의 하가점상층문화의 북쪽 지대에서도 3요소가 보이기는 하는데 몽골의 서부지역만큼 뚜렷하지는 않다.

 

동물장식이 가장 보편적이면서 뚜렷한 특징인데, 몸을 말고 있는 원형 맹수장식은 확실히 기원전 9세기에 시베리아에서 나타나서 서부지역과 중앙아시아로 퍼져나간다. 그 시점은 기원전 7세기이다. 맹수장식의 변화도 시베리아에서 자체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기원전 5세기경에는 뚜렷하게 외부에서 들어온 모습도 관찰된다. 파지리크 유적에서 발견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다. 예를 들면 맹수가 피식자를 뒤에서 공격하는 동물투쟁문양이다. 알타이에서 발생된 동물투쟁문양은 서로가 서로를 공격하지만 앗시리아 계통의 문양은 맹수가 약한 동물을 공격하는 장면이다. 그런데 아직 분명치 않은 점은 이것이 과연 앗시리아에서 직접적으로 들어온 문양일까 하는 의문이다.

 

기원전 7세기 흑해 주변(흑해 우안, 코카서스 북쪽)의 켈레르메스 유적에서 발견된 금제 그릇 중에서 앗시리아 수입품에서 이러한 문양이 관찰되며, 그 뒤로 스키타이 문화권에서도 제작되었다. 그런데 이 문양이 200년동안 이 지역에서 사용되면서 알타이에서도 제작사용되었다면 과연 이것을 앗시리아 문화의 직접적인 영향이라고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스마트폰을 최초로 만든 곳이 미국(IBM사이먼)이라고 해서 이를 응용 혹은 본따서 만든 삼성스마트폰의 주도권이 미국인가 하는 문제와도 비슷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시베리아에서 외부 지역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아니다.

 

반면에 서부지역에서는 기원전 7세기경부터 흑해지역에서 전통적인 변형 동물장식 외에도 시베리아에서 온 원형맹수장식 뿐만 아니라 코카서스 산을 넘어 온 우라루투, 앗시리아 등지에서 수입한 변형동물들도 많다.

 

 

 

그런데 서부지역에서 유행하던 동물문양이 동부지역에서도 보이는 것이 있다. 이는 다리를 접고 앉아 있는 사슴장식인데, 사슴의 뿔이 매우 화려하고 도상학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이 유물은 확실히 흑해지역에서 잘 만들어지고 같은 시기에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동부지역에서 발견된다. 이 시기에 시베리아에서는 다리를 세운 사슴이 아르잔-2호에서 발견되고, 다리를 접은 사슴은 기원전 5세기경에나 시베리아의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발견된다.

 

 

그림 1. 기원전 7세기, 흑해 코스트롬스카야 유적 사슴

 

그림 2. 기원전 7세기, 카자흐스탄 실릭티 유적의 사슴

그림 3. 기원전 5세기 타가르 문화(미누신스크 분지)의 사슴

 

 

시베리아에서는 전통적인(청동기시대부터 전해진) 사슴장식은 표현방법이 매우 다양하며 암각화와 사슴돌이라고 불리는 입석에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몸통길이 만큼 길게 표현된 뿔을 달고 있는 사슴이 다리를 접어 넣어서 표현한 것은 흑해지역에서 먼저 표현되기 시작해서 동부지역까지 퍼졌다고 볼 수 있다. 흑해지역에서 이러한 사슴문양이 발견된 것은 기원전 7세기경이며, 같은 시기에 아르잔-2호에서 볼 수 있는 사슴문양은 다리를 세우고 등에 혹이 있는 문양이다.

 

그런데 그럼 흑해지역에서 나타난 사슴문양(그림1)은 어디서 온 것인가? 어느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딱 떨어진 것인가 하는 문제가 또 생긴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1. 22. 09:22 스키타이 동물장식

스키타이 문화권(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을 구성하는 요소는 동물장식, 무기, 마구이다. 그 중에서 동물장식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굽동물과 맹수, 맹금류가 주요한 소재이다. 스키타이 문화권이 주로 영위된 곳은 초원지대이고 이곳에 사는 동물이 그 대상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선입견을 깬 것은 물고기 형태의 문양장식이다. 많지는 않지만 주로 기원전 5~4세기에 유물이 출토된다. 우랄 남부의 초원지역인 이레크 강(러시아와 카자흐스탄 경계지역) 주변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흑해지역에서 발견되는 물고기 장식과 매우 흡사하다.

물론 강에도 물고기가 살기 때문에 (얼마나 식용으로 이용했는지는 모르지만) 그럴 수 있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림 1. 필리포프카 유적의 물고기 장식, 목제 그릇을 덮었음, 황금

2020.11.21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우랄 남부/필리포프카 유적] - 우랄 남부의 스키타이 물고기 문양

 

우랄 남부의 스키타이 물고기 문양

우랄 남부의 필리포프카 유적에서는 스키타이 문화(시베리아와 흑해)의 특징이 약간은 변형되어 나타난다. 그래서 이 지역에서는 사브로마트 문화-사르마트 문화라고 한다. 스키타이 문화권을

eastsearoad.tistory.com

 

 

그림 2. 가이모노바 유적의 물고기 장식

2021.09.18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가이모노바 유적] - 목제 스키타이 굴레장식의 흔적

 

 

가장 어색한 물고기 장식은 알타이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안장을 덮은 덮개의 양쪽 끝에 달려것으로, 말을 장식한 것이다. 파지리크 유적, 투엑타 유적, 바샤다르 유적, 아크 알라하 1유적 등에서 발견된 바 있다. 이들 유물은 흑해지역과 이레크 강 주변에서 발견되는 유물과는 차이가 있다.

 

그림 3. 아크 알라하 1 유적의 안장덮개

 

흑해지역과 우랄 남부지역은 페레보드치코바에 의하면 스키타이(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에서 서부지역에 속하고 알타이는 동부지역이다. 그녀의 분석에는 물고기 장식은 제외되어 있었으나 물고기 장식의 형태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수량은 작지만 물고기 장식이 기원전 5~4세기 경에 발견된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서부지역에서는 그릇 장식 뿐만 아니라 마구 장식 등으로 금속제(황금, 청동)로 제작된 것이다.

 

*유적의 위치는 아래의 지도에서 찾을 수 있다.

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필자가 가장 많이 포스팅한 시베리아와 흑해를 잇는 지역은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이었고, 주로 카자흐스탄의 동부와 서부에 유적이 많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 카자흐스탄 서부는 우랄강 유역의 유적으로 볼가 강 하류~돈강 유역의 쿠르간을 묶어서 스키토-사르마트 문화라고 한다. 여기에 필리포프카 유적, 탁사이 1 유적, 베소바 유적 등이 속한다.

기원전 5~4세기 필리포프카 유적과 베소바 유적 등에서는 낙타 동물장식(그림 1-37)등이 나오는데, 과연 스키타이 문화권에 들어갈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스키타이 문화권(스키토-시베리아문화권)의 3요소 중 가장 핵심으로 일컬어 지는 것은 동물장식이며, 동물장식 가운데 원형맹수장식이다. 시베리아의 아르잔-1호에서 출토되어 그 이후로도 카자흐스탄(테미르-고라, 칠릭타, 우이가락), 쿠반강 유역(세미브라티예, 켈레르메스 유적)등 스키타이 문화권의 중요한 지역에서 출토되면서 당시에 세계적인 문화 아이콘이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스키토-사르마트 문화 1기에서도 원형 맹수장식이 출토된다. 볼가하류~돈강 유역의 트리 브라타(그림 1-3)(3형제라는 뜻)이라고 하는 유적에서 주둥이가 매우 길게 표현된 맹수장식이 발견되며, 우랄 남부의 퍄노프카 라고 하는 유적(그림 1-7)에서도 원형맹수장식이 발견되었다.

스키토-사르마트 문화는 우랄 남부지역과 볼가하류~돈강 유역의 특징이 구분된다.

맹수장식 가운데 다리를 아래로굽히고 있는 장식판(그림 1-2)은 흑해의 켈레르메스 유적의 표범장식과 비교된다. 다리를 굽히고 있는 점은 차이가 있지만 귀, 눈, 코 등은 켈레르메스 유적의 유물에서 유래했다고 생각한다.

블류멘펠드 유적(그림 1-25)에서 출토된 재갈멈치는 가장자리 끝에 이빨을 드러낸 맹수머리가 조각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원행 맹수장식이 새겨진 것이다. 투엑타 유적(그림 2)에서 출토된 유물과 비교할 수 있다. 바르나 유적(그림 1-48) 재갈멈치가 출토되었다.

 

그림 1. 스키토-사르마트 문화와 훈-사르마트 문화의 동물장식

 

 

그림 2. 알타이 투엑타 유적의 재갈멈치

 

물론 세부적으로 다를 수는 있지만, 구부러진 재갈멈치 끝에 이빨을 드러낸 맹수를 장식했다는 기본 개념은 지켜지는 것이다. 그래서 스키토-사르마트 문화의 동물장식이 공통성을 이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흑해 및 시베리아와 다른 유물은 이 외에도 많이 관찰되며, 지역적으로 가까운 카자흐스탄 중부지역과 더 유사한 동물장식도 발견되는 것이 이 지역의 특징일 것이다. '예쁜' 그리핀도 없다.

 

참고문헌

Степи европей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Археология СССР / Археология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средневековья 1989. 464 с(러시아과학아카데미 1989, 소비에트 연방 유럽 내의 스키타이-사르마트 시기, 소비에트 고고학 시리즈)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의 중간에 위치한 카자흐스탄 지역에 위치한 스키타이 문화의 여러 무덤은 각 지역 마다 만드는 방법이 다르다. 카자흐스탄 동부인 산악지대와 인접한 지역은 그래도 유적간의 공통성이 있지만, 카자흐스탄 중부와 서부 지역은 유적 마다 공통성이 빈약하다는 점에서 매우 특이하다. 스키타이 문화권의 동부(시베리아)와 서부(흑해부근)처럼 어떤 특징으로 묶이지 않는다.

 

앞의 포스팅에서 카자흐스탄 중부에 위치한 스키타이 문화권의 지역문화를 타스몰라 문화라고 일컫는다고 했다. 이 문화에서는 ‘수염이 달린 고분’이 특징이라고 했는데, 고분 뒤에 길게 이어진 석열이 마치 수염과 같다고 해서 붙인 별명이다.

하지만 이런 석열이 길게 딸린 고분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고분도 많다. 특히 2000년대 이후에 발굴된 유적은 석열이 없어도 ‘엘리트’의 무덤으로 생각되는 유적이 발견되었다.

누르켄-2 유적, 세렉티-1 유적등은 연도(무덤 입구에서 매장 주체부로 들어가는 무덤의 복도)가 있는 무덤이다. ‘연도’는 흑해지역 무덤에서도 관찰되었지만, 이 지역의 연도는 봉분 안에 설치된 것으로 외부로 드러나지 않았다.

 

하지만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연도가 있는 무덤은 입구부터 연도, 매장주체부를 돌로 덮었는데, 각 부위만을 덮어서 무덤구조가 드러난다.

대표적인 무덤이 누르켄-2 유적이다. 이제까지 살펴본 무덤구조와는 전혀 다른데, 입구부터 지하로 들어간 연도와 무덤방의 바닥 높이가 같다. 지하라고 표현했지만 깊이 1m(2호기준)정도이고, 연도와 매장주체부까지 납작한 돌을 세워서 축조했다(그림 1-2). 매장주체부는 납작한 돌을 눕혀서 무덤 벽을 쌓아 올린 것이다(그림 1-3).

 

그림 1. 누르켄-2 유적 1호

 

그림 2. 누르켄-2 유적 2호

 


최상부의 돌로 덮힌 부분(m) 납작한 판돌로 덮힌 부분(m) 무덤방(m) 무덤구덩이(m) 연도(m)
1호 직경 41
높이 4.3
직경 38 직경 10
높이 1.15
2×2.2×0.75 15×1×0.7
2호 직경 54
높이 6.1
직경 52
3×2.75×1 11×1×0.7

 

1호와 2호는 매장주체부의 지붕 모양이 다른데, 2호(그림 2)는 천장이 둥글게 만들어진 것이다. 무덤의 벽은 역시 납작한 판돌을 눕혀서 세운 것이다. 1호와 2호 모두 판돌 위는 다시 돌로 덮었다.

 

 

무덤의 구조상 도굴이 성행 할 수 밖에 없다. 무덤을 대강 만들었다고 하기에는 너무 규모가 크고, 그렇다고 어떤 규칙성에 의해서 꼼꼼하게 만들었다고 볼 수도 없다. 외형만 크게 만드는 경쟁이 일어났나 싶은 생각도 든다. 누군가에게 자랑하기 위해서, ‘내가 우리 아버지 무덤을 이렇게 크게 만들었다.. ’이런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참고문헌

 

Бейсенов А.З. Дромосные курганы сакской эпохи на реке Жарлы (Центральный Казахстан). // Самарский научный вестник. – Самара: СГСПУ, 2016б. №3 (16).– С. 7786. 베이소노프 2016, 카자흐스탄 중부의 자를리 강에 위치한 사카시대의 연도가 있는 무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