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기원전 5~3세기의 몽골 서부에 존재했던 울란곰 유적에서 가장 많은 수의 인골이 발견된 곳 중에 하나는 나무방 47호이다. 10개의 통나무로 된 격자 맞춤으로 만들어진 무덤방이다. 높이는 90~110cm, 남동벽은 5단의 통나무로 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50×45cm 규모의 구멍이 뚫려 있다. 바닥에는 나뭇가지를 깔았는데, 바닥에서 흩어진 인골이 발견되었다. 북동쪽 벽에 위치한 인골 1기만이 원래 피장된 모습이고 모두 흩어진 상태였다(그 이유에 대해서는 기술되지 않았다)

인골이 흩어진 상태였지만 노보고르도바는 47호를 크게 3그룹으로 나누었다.

 

가장 서쪽부터 남성과 여성 가 그룹, 중앙의 두 남성, 동쪽의 여성과 3달 된 어린아이를 나그룹, 남성, 갓난 어린아이 다 그룹으로 구분한다.

가그룹의 남녀(I호와 II호 인골)는 장년으로 연령은 파악 불가능하다. 하지만 1호 남성 주변으로는 얼룩문양이 있는 구슬 2점, 양 두개골 5점, 토제 항아리 4점과 목기 1점 등 많은 유물과 부장되었다. 2호 인골 여성은 뼈가 거의 잘 알 수 없을 정도이고, 조개, 청동펜던트 등이 부장되었다.

 

중앙의 나그룹 남성은 서로 뒤섞여 있는 상태이다. 남성 주변에서는 토기 안에 양뼈가 발견되었다!. 특히 IV호 인골의 두개골은 도끼로 맞은 창상과 화살촉에 의한 타격흔적 등이 발견되었다.

 

가장 동쪽의 다그룹에서는 V호 여성과 VI호 어린아이의 뼈는 거의 뒤섞인 상태였다. 청동으로 된 여러 장신구, 동물장식이 표현된 패식, 소의 뿔, 투부 뿐만 아니라 황금으로 싼 나무막대기 등이 발견되었다. 금제품이 거의 없는 울란곰 유적에서는 거의 유일한 유물이다. 그 옆의 VII호 남성 인골 옆에서는 산양이 새겨진 청동거울이 발견되었고, 그리핀이 그려진 청동 장식도 출토되었다. VIII호 인골은 아주 작은 뼈로 갓난아이, IX호 인골 남성의 뼈이며, 가장 동쪽에 위치한다. 개뼈, 양뼈, 골제화살촉이 옆에서 발견되었다.

 

47호 무덤에서 발견된 VII호 남성은 이 유적에서 발견된 가장 화려한 장식의 청동거울(그림 1-8)과 그리핀이 새겨진 패식(그림 1-11)을 가졌던 남성이다.

 

그림 1. 울란곰 47호 유적 출토 유물, 1-눈 모양이 그려진 구슬,2- 조개 장식, 3- 펠트 고리, 4,5-철제품, 6-화살촉, 7-청동제 칼, 8-거울, 9-11:청동장신구, 12-뿔로 만든 물건, 13-21-토제 항아리. 그림에 13번이 두 개인데, 막대모양은 V호와 VI호 주변에서 나온 막대기일 가능성이 있음. 

 

그림 2. 울란곰 유적 47호 분의 내부, 그림 설명에는 ‘7호’라고 되어 있으나 ‘4’자가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7호는 돌널무덤으로 인골 1기만 발견되었음.

 

 

청동거울의 좀 더 자세한 모습은 포스팅 참고

2021.04.19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울란곰 유적] - 기원전 5~3세기 몽골 울란곰 유적의 의례품

 

기원전 5~3세기 몽골 울란곰 유적의 의례품

울란곰 유적에서 발견된 청동거울은 1건을 제외하고 대부분 손잡이가 붙은 형식인데, 역시 기원전 4세기 가량에 나타나는 유물이다. 그 1건은 꼭지가 달린 거울이다. 스키타이 문화에서 꼭지가

eastsearoad.tistory.com

I호 남성 옆에 무덤방 동쪽 벽을 따라서 4점의 토기가 나란히 놓여 있었다고 했지만 이 남성의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이 유적에서 대부분 머리위에서 토기가 발견되기 때문이다. 정확하게 적어 놓지는 않았지만 도굴 혹은 유적의 파손에 의해서 인골이 이미 많이 흩어져서 생겼을 수 있다.

산양이 그려진 청동거울과 그리핀 장식, 금으로 싼 막대기, 9명의 사람으로 보아서 아마 울란곰유적에서 가장 큰 가족 구성과 부를 가졌던 사람들로 생각된다.

 

47호분에서는 두 세대 이상의 가족이 매장되었다. 울란곰 유적의 무덤안의 인골 수는 인접한 알타이 추야 강 계곡의 여러 무덤과는 다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울란곰 북쪽의 투바지역의 사글리-바쥐 I유적에서 볼 수 있는 매장 구성원이다. 하지만 청동거울과 장신구 등에서 확인되는 산양과 그리핀의 모습은 이 유적 역시 ‘스키타이 동물스타일(양식)’의 범주 안에서 있다.

 

참고문헌

Новгородова Э.А. 1989 :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М.: ГРВЛ. 1989. 384 с.(노보고르도바 1989, 몽골의 고대)

А.Д. Грач Древние кочевники в центре Азии.// М.: ГРВЛ. 1980. 256 с., вкладки.(그라치 1980, 중앙아시아 고대 유목민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몽골의 지역문화인 울란곰 문화는 기원전 5~3세기의 유적이다. 인접한 파지리크 문화와 많은 공통점이 있지만 또 차이점이 있다. 바로 그릇이다.

 

파지리크 문화에서 추야 강 계곡의 울란드리크 유적, 유스티드 XII유적, 유스티드 I유적 등에서는 무덤에서 대부분 발견되는 것은 목제 그릇이었다. 주로 쟁반형태와 손잡이가 한쪽으로 달린 잔이었다.

하지만 울란곰 유적에서는 목제 쟁반이 출토되는 곳도 있지만 모든 무덤에서 나오는 것은 아니고, 목제 잔은 보이지 않는다. 대신 죽은 이들은 모두 토기와 함께 매장되었다. 심지어는 어린아이의 무덤에서도 보인다. 다양한 형태의 토기가 발견되었다(그림 1).

 

 

그림 1. 울란곰 유적의 토기

 

아마도 생업과 관련되었거나, 그릇의 재료가 되는 소재 때문일 수 있다. 기원전 1천년기 중엽(기원전 6~5세기)의 몽골에서는 말, 소, 양, 염소, 낙타 등 5종류의 가축을 길렀고, 현재도 몽골에서 기른다.

몽골 소는 독자적인 유형으로 서몽고에서 가축화 된 것이다. 야쿠티야, 동시베리아, 자바이칼(바이칼 우편), 카자흐스탄, 몽골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아시아 소의 한 종에서 유래한 것이다.

하지만 기르는 동물 중 가장 선호된 것은 양인데, 투바, 알타이, 카자흐스탄 등 모두 비슷하다. 특히 양 꼬리를 선호하는데 기름기가 많은 종이 선호되었고, 그 중에서도 기름이 많은 꼬리는 유목민이 즐겨 먹는 부위이다. 그리고 양 꼬리가 무덤에서 종종 발견된다.

말은 유목민에게 부의 척도로 생각되는 동물이다. 주요 이동 수단이고, 젖도 이용할 수 있으며, 겨울에는 눈 밑에서 알아서 건초를 찾아 먹는다.

 

낙타는 건조한 지역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 매우 건조한 기후에 있는 유목민은 소는 사육할 수 없고 말, 양, 낙타가 우세하다. 현재 몽골 고비에서도 이 세 종류를 가장 많이 기르며, 투르크메니아 지역에서도 얼마전까지 가축 구성이 동일하다.

기원전 1천년기 몽골의 유목민들은 아주 건조한 반사막과 같은 기후에서 고산의 초원에 이르는 지역까지 이동하면서 목축했다. 그래서 노보고르도바는 그들의 생활은 매우 유동적이며 다양한 지리적 조건 속에서 동일한 목축은 없다고 일축했다.

 

그런데 위에서 언급한 동물은 기원전기 1천년기 몽골의 일반적인 가축이고, 울람곰 유적에서 낙타는 기르지 않았을 수 있다. 울란곰 유적의 주변에는 큰 호수가 많은 지역으로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 낙타는 기르지 않았을 것이다.

목이 긴 항아리 등 토기는 액체류 즉 동물의 젖이나 이를 가공한 유제품을 보관하는 장소이다. 쟁반류는 삶은 고기를 담는 그릇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두 유물의 빈번 정도는 아마도 기르는 동물에게서 주로 얻을 수 있는 음식의 공급원 차이일 수 있다.(정도의 차이지 이 집단에서 삶은 고기를 먹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다. 유적에서는 청동솥에서 고기 삶은 흔적이 발견되었다)

 

그렇다고 해도 대부분의 죽은 이 머리 위에서 토기를 두는 행위는 이웃한 주민들이 보았을 때 분명 다른 장법이었을 것이다. 

 

 

참고문헌

Новгородова Э.А. 1989 :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М.: ГРВЛ. 1989. 384 с.(노보고르도바 1989, 몽골의 고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4세기 울란곰 유적에서는 청동제품으로 의례용품을 제작하지만 어린아이가 묻힌 무덤에는 둥근 반점이 있는 흰색 구슬로 만든 유물이 발견된다.

 

4호는 지표아래의 1m 정도의 깊이, 발견된 돌널무덤에서 인골이 발견되었다. 서쪽부위가 파괴되었지만 전체 규모를 알 수 있는데, 길이 1.6m, 너비 90cm, 높이 50cm이다. 석상의 윗부분은 납작한 도로 덮었다. 성인과 8~10세의 어린아이가 함께 매장되었다. 두개골 위에서 2점의 토기가 발견되었다. 어린아이의 아래에서 구슬과 조개가 함께 발견되었다.

 

그림 1. 울란곰 유적의 4호 무덤, 1,2: 토기, 3. 골제관, 4: 조개, 5. 골제 뚫개, 6: 반점 있는 흰색 구슬; 7: 청동버클, 8: 청동클립

 

비단 4호 뿐만 아니라 이 유적에서는 반점이 있는 흰색구슬과 조개가 늘 함께 발견된다.

노보고르도바는 이 유적에서 발견된 문양이 있는 구슬은 일종의 부적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유적에서 갓난 어린아이들이 발견되는데, 출산 한지 얼마 안 된 것으로 보아서 일정한 의식이 있었다고 여긴 것이다.

이는 동 시대 울란곰 북쪽지역인 투바의 사글리 바쥐 II유적의 예를 참고로 한 것이다. 노보고르도바는 두 유적이 대가족 구성원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비슷한 인구구조를 가진 동시기의 유사한 집단이라고 보았다. 가족구성원 뿐만 아니라 무덤의 구조 및 출토유물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 유적에서는 사람 모양의 인간형상물이 발견되었는데, 일종의 부적으로 여겼다(그림 2).

 

 

그림 2. 투바 사글리 바쥐 II유적 8호 여성상

 

이는 투바에 살고 있는 현존 민족에게 전해지는 여성과 관련된 의례 ‘우루그-쿠드’ 때문이다.

재지언어로 ‘아이의 영혼’ 혹은‘태아’를 의미한다. 우루그- 쿠두를 하지 않으면 어린아이의 죽음을 초래하거나 여성에게 불임의 벌을 내린다고 믿었다. 샤먼은 의식을 거행하면서 여성의 불임 혹은 어린아이의 죽음 원인을 밝혀내었었다.

의식 중에서 우루그 꾸드의 저장소 역할을 하는 것이 인간형상물로 ‘우루글라르 에에렌’이라고 불렀다. 펠트 혹은 모피로 제작되었다.

낮에 샤먼과 친인척들이 참가한 가운데 펠트 혹은 모피로 제작했다. 이를 신생아의 요람에 넣는 의식을 거행했고, 날카로운 도구와 무기와 함께 아이에게 선물했다. 인형의 어머니는 아이의 어머니와 같다는 생각으로, 어린아이의 수호신 인 것이다.

투바와 몽골에서는 요람을 매다는 행위와 어린아이 곁에 두는 물건은 매우 한정적었는데, 대부분 날카로운 화살촉과 칼 등의 무기이다.

 

투바 지역에서 발견되는 인간형상물과 같은 역할을 하는 일종의 부적이 어린아이의 무덤에서 발견되는 반점이 있는 구슬로 생각되었다. 울란곰 유적에서 인간형상물은 출토되지 않는다.

 

 

스키타이 문화에서 인간형상물은 주로 흑해지역에서 발견되고, 알타이 및 시베리아에서는 나오지 않고, 대신 미라가 확인된다. 스스로 인간스스로 형상물이 된 가장 극대화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Соломатина С. Н. 1984, Обряды призывания уруг куду у западных тувинцев (к материалам о женских культах у народов Саяно-Алтая).— Всесоюзная научная конференция, посвященная 100-летию со дня рождения академика Б. Я. Владимирцова. Тезисы докладов. М.,(솔로마티나 1984, 투바 서부지역의 우루그 쿠드 신앙에 대해서)

А.Д. Грач Древние кочевники в центре Азии.// М.: ГРВЛ. 1980. 256 с., вкладки.(그라치 1980, 중앙아시아 고대 유목민)

Новгородова Э.А. 1989 :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М.: ГРВЛ. 1989. 384 с.(노보고르도바 1989, 몽골의 고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4. 22. 12:51 카테고리 없음

 

 

기원전 5? ~3세기의 울란곰 유적에서는 남녀의 매장방식은 동등하다. 남녀 모두 무릎을 굽혔으며 돌 베개를 머리 아래에 두었고 머리 위에는 토기를 한 점 씩 두었다. 다만 남성의 부장품은 무기가 많았지만, 여성은 무기가 많지 않고 장신구, 구슬, 부적 등을 소지하고 있었다. 나무방 무덤은 분화되지 않은 최소 2세대 이상이 묻힌 가족, 석관묘는 분화된 소가족이 매장되었다.

 

울란곰 유적의 나무방 무덤은 인접한 파지리크 유적, 투엑타 유적 및 바샤다르 유적 등 대규모 무덤에서 볼 수 있는 구조이다. 대부분 발굴된 무덤은 대형 고분으로 ‘왕’급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울란곰 유적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찾아 볼 수 없기 때문에 이미 계급분화가 일어난 것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노보고르도바는 이 모습에서 재산이 분화되는 시기이고 이를 가능케 했던 것이 전쟁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전사의 사회적 위치가 매우 높았을 것으로 추정했다. 유목적 목축사회에서 가축이 횡사 하거나 목장이 마르거나 혹은 목장이 기후변화로 얼었을 때, 전쟁을 통해서만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울란곰 유적에서 전사의 무덤에는 활과 화살, 칼과 검, 투부라는 공통적인 무기가 부장되었다. 같은 무기가 발견되는 동 시대의 유적은 울란곰 유적과 사회의 발전 수준, 경제제도, 문화 등과 같은 수준이라고 보았다.

전사들의 두개골에 난 창상은 대부분 두개골의 오른편 얼굴쪽, 관자놀이 뼈에 있는데 이는 백병전(白兵戰-칼, 창, 개머리 판 등으로 근접전)으로 나타난 것이다. 울란곰 유적 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창상이기 때문에 전쟁기술은 비슷하다. 그 때까지 동시대의 유적에서 발견된 남성들은 168~170cm이고 평균 65~67kg 가량의 신체조건이었다고 데베츠는 분석했다.

 

 

노보고르도바는 인접한 알타이와 비슷한 무덤구조이지만 유적에서 발견된 무덤이 가족관계이지 파지리크, 바샤다르, 투엑타 유적과 같이 상하관계가 아니라고 보았다. 알타이의 대형왕급 무덤이 있는 무덤은 기원전 6~5세기, 울란곰 유적은 기원전 5세기~3세기이다. 필자는 울란곰 유적은 기원전 5세기 보다 좀 더 늦은 기원전 4~3세기 정도라고 생각하지만 좀 더 뚜렷한 근거가 있어야 할 듯 하다.

 

전쟁을 통해서 재산을 취득했으며, 평등사회로 나아갔다는 생각은 무시무시하다. 검을 전공했다는 점과 어느 정도 상통하는 듯도 해 보인다..ㅋ 또한 이 여성학자가 주로 활동한 시기(소비에트 시절, 70년대와 80년대)에 내릴 수 있는 결론이었을 지도.

하지만 필자의 생각은 좀 다르다.. ‘평등사회’라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현상을 전쟁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 역시 토기제작과 토기와 관련된 것이다. 오랫동안 전해지는 유물 청동기시대 카라숙 문화의 토기와 검(카라숙 문화의 가장 늦은 연대를 기준으로 기원전 10세기 제작품이라면 500년 이상 전해졌다) 등....

 

 

그림 1. 울란곰 유적의 20호, 통나무관, 2살짜리 어린아이와 토기. 어린아이를 통나무관에 묻는 것은 아르잔-2호, 추야강의 여러 유적에서 계속 발견된다.

 

참고문헌

Новгородова Э.А. 1989 :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М.: ГРВЛ. 1989. 384 с.(노보고르도바 1989, 몽골의 고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몽골 스키타이 문화의 울란곰 유적에서는 동시대 유적에 비해서 토기가 많이 출토되는 편이다.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1점씩은 가지고 부장되었기 때문이다. 토기 생김새에 따라서 3가지 형태가 있는데 그 중에 가장 많은 보이는 것은 목이 높은 항아리로 액체류를 담는 용도이며, 쿱신이라고 불린다.

 

23호에서는 논란이 있는 항아리가 있다. 노보고르도바는 논란이라고 보지도 않았지만 언어학자들이 제기한 문제이다. 23호에는 몸통과 바닥이 흑색의 물감으로 채색된 일종의 표식이 있었는데, 언어학자들은 알파벳으로 생각했다(아래 포스팅 참고).

 

 

2021.04.15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울란곰 유적] - 몽골 울란곰 유적 7인 무덤 속의 청동거울

 

몽골 울란곰 유적 7인 무덤 속의 청동거울

몽골의 초기철기시대는 울란곰 문화라고 하는데 인접한 알타이 파지리크 문화와 공통점이 많다. 넓은 의미에서 스키타이 문화권에 속하는 각 지역문화이다. 파지리크 유적 보다는 추야강 계곡

eastsearoad.tistory.com

리프쉬츠는 후기 위구르 알파벳 명문과 비교했고, 8세기 중엽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는 글자라고 분석했다. 토기 소유자의 이름이라고 분석했다.

또 다른 언어학자인 보고류보프는 페르시아의 문장으로 ‘건강을 위해 마시자’라고 번역했다.

 

노보고르도바는 특히 리프쉬츠의 분석을 맹열하게 비난했는데, 토기 소유자의 이름이 아니라 제작자의 이름이라고 보았고, 특히 연대문제는 심각하게 생각했다.

무덤 내에서 후대 매장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명문으로 보이는 토기는 묻힌 그대로 피장자의 머리위에서 발견되었다. 명문이 있는 토기와 다른 토기는 같은 태토(토기의 재료)로 만들었고, 같은 점토를 입혀서 제작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채색된 물감도 47호(그림1-47)에서 나온 고사리 문양을 그린 토기와 같은 재료로 그려졌다는 점을 들어서 절대로 8세기 유물로 볼 수 없다고 보았다(노보고르도바 1980, 노보고르도바 1989의 독일어판).

 

 

그림 1. 울란곰 유적의 47호 출토 유물,  1-눈(eye)모양이 그려진 구슬,2-조개, 3-펠트로 만든 고리, 4,5-철제품, 6-화살촉, 7-청동칼, 8-청동거울, 9-11: 청동장신구, 12-골제품, 13-21: 항아리

 

어찌되었던 기호 혹은 표식이 있는 토기가 울란곰 유적에서 발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유적의 11호에서는 카라숙문화(청동기시대, 기원전 14~10세기)의 토기(그림 2-5)와 칼(그림 2-6)가 무덤 내에서 발견되었다. 앞서 설명한 카라숙문화의 단검이 무덤 내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이 오랫동안 전혀져 온 유물일 수 있다.

  토기의 문양 사이에 표식(그림 1-5의 네모칸)이 발견되었다. 카라숙문화의 토기(그림 3)와 비교해 보면 생김새, 문양구성방법은 거의 비슷하지만 그 곳에 표식이 새겨져 있는 것이다. 알타이 암각화와 사슴돌에 ‘기호’로 볼 수 있는 것들이 새겨져 있었는데, 그 중에서 삼각형의 꼭지점이 두 개 붙은 문양이 발견된 바 있다.

 

 

그림 2. 울란곰 유적의 11호분 무덤과 출토유물, 1-골제 장식판, 2-청동제 버클 장식, 3-귀걸이, 4-기하학적 문양이 새겨진 항아리, 5.6-남부시베리아 청동칼과 토기, 토기에는 기호(네모안)가 새겨져 있음. I-VI: 무덤의 인골

 

그림 3. 시베리아 청동기시대 카라숙문화의 토기

 

2021.03.26 - [암각화 유적] - 알타이 암각화에서 발견된 '기호'

 

알타이 암각화에서 발견된 '기호'

기억하시는지 모르겠는데, 알타이의 스키타이 문화에 해당하는 파지리크 문화의 여러 유적을 소개한 적이 있다. 미라가 나오는 유적도 있지만 유라시아 대륙의 도로 역할을 하는 추야 강의 지

eastsearoad.tistory.com

2020.09.24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시베리아/사슴돌] - 알타이 사슴돌에 새겨진 +기호

 

알타이 사슴돌에 새겨진 +기호

유스티드 계곡의 제사복합체 유적과 가까운 곳에 바르부르가지 강의 하류를 통과해야 한다. 바르부르가자 강의 입구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돌 기둥’ 혹은 ‘사슴돌’이 30개 이상 확인되었

eastsearoad.tistory.com

 

카라숙문화에서는 토기에 표식이나 기호는 그리지 않았다. 현재로는 스키타이 시대의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바르부르가자 강 입구의 석주의 표식, 차간-사알라와 바가 오구이 유적의 표식과 울란곰 유적의 11호분 토기의 표식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울란곰 유적 11호분 토기는 청동기시대 토기 이기 때문에 얼마든지 양상은 달라질 수 있다. 누가 이 토기에 표식을 남겼을까? 새로운 자료가 나온다면.

 

참고문헌

В. Н. Полторацкая. Знаки на предметах из курганов эпохи ранних кочевников в горном Алтае.//Археолог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Эрмитажа (АСГЭ). Выпуск 05(폴토라츠카야 1962, 산지 알타이 초기 유목민 무덤에서 발견되는 표식)

Новгородова Э.А. 1989 :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М.: ГРВЛ. 1989. 384 с.(노보고르도바 1989, 몽골의 고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