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기원전 4세기 울란곰 유적에서는 청동제품으로 의례용품을 제작하지만 어린아이가 묻힌 무덤에는 둥근 반점이 있는 흰색 구슬로 만든 유물이 발견된다.

 

4호는 지표아래의 1m 정도의 깊이, 발견된 돌널무덤에서 인골이 발견되었다. 서쪽부위가 파괴되었지만 전체 규모를 알 수 있는데, 길이 1.6m, 너비 90cm, 높이 50cm이다. 석상의 윗부분은 납작한 도로 덮었다. 성인과 8~10세의 어린아이가 함께 매장되었다. 두개골 위에서 2점의 토기가 발견되었다. 어린아이의 아래에서 구슬과 조개가 함께 발견되었다.

 

그림 1. 울란곰 유적의 4호 무덤, 1,2: 토기, 3. 골제관, 4: 조개, 5. 골제 뚫개, 6: 반점 있는 흰색 구슬; 7: 청동버클, 8: 청동클립

 

비단 4호 뿐만 아니라 이 유적에서는 반점이 있는 흰색구슬과 조개가 늘 함께 발견된다.

노보고르도바는 이 유적에서 발견된 문양이 있는 구슬은 일종의 부적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유적에서 갓난 어린아이들이 발견되는데, 출산 한지 얼마 안 된 것으로 보아서 일정한 의식이 있었다고 여긴 것이다.

이는 동 시대 울란곰 북쪽지역인 투바의 사글리 바쥐 II유적의 예를 참고로 한 것이다. 노보고르도바는 두 유적이 대가족 구성원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비슷한 인구구조를 가진 동시기의 유사한 집단이라고 보았다. 가족구성원 뿐만 아니라 무덤의 구조 및 출토유물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 유적에서는 사람 모양의 인간형상물이 발견되었는데, 일종의 부적으로 여겼다(그림 2).

 

 

그림 2. 투바 사글리 바쥐 II유적 8호 여성상

 

이는 투바에 살고 있는 현존 민족에게 전해지는 여성과 관련된 의례 ‘우루그-쿠드’ 때문이다.

재지언어로 ‘아이의 영혼’ 혹은‘태아’를 의미한다. 우루그- 쿠두를 하지 않으면 어린아이의 죽음을 초래하거나 여성에게 불임의 벌을 내린다고 믿었다. 샤먼은 의식을 거행하면서 여성의 불임 혹은 어린아이의 죽음 원인을 밝혀내었었다.

의식 중에서 우루그 꾸드의 저장소 역할을 하는 것이 인간형상물로 ‘우루글라르 에에렌’이라고 불렀다. 펠트 혹은 모피로 제작되었다.

낮에 샤먼과 친인척들이 참가한 가운데 펠트 혹은 모피로 제작했다. 이를 신생아의 요람에 넣는 의식을 거행했고, 날카로운 도구와 무기와 함께 아이에게 선물했다. 인형의 어머니는 아이의 어머니와 같다는 생각으로, 어린아이의 수호신 인 것이다.

투바와 몽골에서는 요람을 매다는 행위와 어린아이 곁에 두는 물건은 매우 한정적었는데, 대부분 날카로운 화살촉과 칼 등의 무기이다.

 

투바 지역에서 발견되는 인간형상물과 같은 역할을 하는 일종의 부적이 어린아이의 무덤에서 발견되는 반점이 있는 구슬로 생각되었다. 울란곰 유적에서 인간형상물은 출토되지 않는다.

 

 

스키타이 문화에서 인간형상물은 주로 흑해지역에서 발견되고, 알타이 및 시베리아에서는 나오지 않고, 대신 미라가 확인된다. 스스로 인간스스로 형상물이 된 가장 극대화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Соломатина С. Н. 1984, Обряды призывания уруг куду у западных тувинцев (к материалам о женских культах у народов Саяно-Алтая).— Всесоюзная научная конференция, посвященная 100-летию со дня рождения академика Б. Я. Владимирцова. Тезисы докладов. М.,(솔로마티나 1984, 투바 서부지역의 우루그 쿠드 신앙에 대해서)

А.Д. Грач Древние кочевники в центре Азии.// М.: ГРВЛ. 1980. 256 с., вкладки.(그라치 1980, 중앙아시아 고대 유목민)

Новгородова Э.А. 1989 :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М.: ГРВЛ. 1989. 384 с.(노보고르도바 1989, 몽골의 고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