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몽골의 기원전 5~3세기의 울란곰 유적을 발굴하고 연구한 노보고르도바는 이 유적이 거대 고분이 축조되는 파지리크 유적과 비교해서 평등사회를 이루었다고 보았다. 이 유적에서는 어떤 특정 무덤에서 부(富)가 집약되지 않기 때문이다. 울란곰 유적에서는 머리에 창상을 입은 남성들이 많이 확인되고, 동 시대의 다른 유적에 비해서 어린아이의 수가 적게 나오는 점으로 보아서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매우 빠르게 유적이 만들어졌다고 보았다. 울란곰 유적의 평등사회는 전쟁이라는 사회적 갈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하지만 어제 포스팅에서 살펴보았듯이, 파지리크 유적과 같이 어떤 특정 무덤을 중심으로 부가 비정상적으로 집약되는 현상이 보이지 않을 뿐이지, 평등하다고 해도 47호 무덤과 같이 울란곰 유적의 다른 무덤과는 다른 유물 출토양상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

 

완전한 평등이라는 것은... 어쩌면 존재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이것은 철저하게 타자가 바라보는 시각일 수도 있다. 자신은 산양이 조각된 청동거울이 있던지 없던지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후대의 우리가 바라보기에는 모든 사람이 특정한 스키타이 동물양식이 표현된 유물을 가지지 않았다는 것에 의미를 둘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어찌되었던 울란곰 유적은 파지리크 유적에 비해서는 대부분의 무덤이 비슷한 상태이다. 단지 나무방 무덤과 돌널무덤으로 구분되고, 전자에는 많은 사람이 부장될 수 있다. 하지만 두 사람만 묻힌 경우도 있다.

 

노보고르도바는 스키타이 동물양식이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아서 형성되었다는 그리스(파르마콥스키, 아르타모노프) 혹은 이란(아르타모노프, 첼레노바) 제작설을 일축하했다. 노보고르도바는 ‘현재 그 누구도 지지하지 않는 의견’이라고 한다. 필자도 예전에 포스팅한 바 있는데, 20세기 초에 생긴 그 설이 영미권에서 계속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노보고르도바는 ‘스키타이 문화’의 3요소 가운데 가장 중요한 동물 스타일은 사슴돌에서 출발되었다고 보았다. 파지리크 유적에서 볼 수 있는 말의 가면은 사슴을 흉내낸 것으로 사슴숭상에서 발전한 것이다. 몽골에서 가장 오래된 숭배 중에 하나는 사슴숭배이고, 그 뒤로 생긴 것이 말 숭배라는 것을 상기시켰다.

 

몽골에서 발견된 스키타이 동물 스타일(양식)은 재지에서 살 고 있는 동물로, 고대 장인들이 보지 못한 그 지역에 살지 않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적이 없다. 예를 들면 사자와 같은 동물이다. 몽골(울란곰 유적)에서 발견된 동물양식은 흑해북안의 유물에 비해서 매우 자연스럽다. 특히 황금재질로 제작된 것은 없지만, 모든 무덤에서 동물 스타일이 발견된다. 특히 흑해 지역과 비교할 때 특정 유물이 아닌 일상생활품에서 표현된다고 보았고, 이 점이 흑해 보다 폭넓게 대중에게 자리잡은 근거라고 생각했다.

 

노보고르도바는 몽골에 대한 대단한 애정이 있었을 것이다. 나 같아도 그랬을 것 같다. 하지만 모든 동물 스타일이 일상생활용품에만 표현되었다는 점에서는 약간 생각이 다르다. 예를 들면 청동검 끝에 달린 그리핀, 청동거울 등은 의례적인 성격이 강하다.

 

2021.04.19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울란곰 유적] - 기원전 5~3세기 몽골 울란곰 유적의 의례품

 

기원전 5~3세기 몽골 울란곰 유적의 의례품

울란곰 유적에서 발견된 청동거울은 1건을 제외하고 대부분 손잡이가 붙은 형식인데, 역시 기원전 4세기 가량에 나타나는 유물이다. 그 1건은 꼭지가 달린 거울이다. 스키타이 문화에서 꼭지가

eastsearoad.tistory.com

 

흑해지역에서도 의례용품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용품에도 동물장식이 발현되는데, 청동솥이다. 기원전 7세기 켈레르메스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솥에는 동물장식이 주조된 것이다.

 

그림 1. 켈레르메스 유적의 청동솥

 

하지만 필자도 전체적으로는 노보고르도바의 의견에 찬성한다. ‘동물 스타일’의 시작은 몽골의 청동기시대 사슴돌 및 시베리아 청동기시대 무덤에서 발견되는 동물 스타일에서 일 수 있다. 필자만의 생각은 아니고 아르잔-1을 발굴했던 그랴즈노프 등 수많은 러시아학자들의 생각이다.

 

 

참고문헌

Новгородова Э.А. 1989 :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М.: ГРВЛ. 1989. 384 с.(노보고르도바 1989, 몽골의 고대)

М.П. Грязнов, 1980, Аржан. Царский курган раннескифского времени. (그랴즈노프 1980, 초기 스키타이 차르 무덤, 아르잔)

Фармаковский Б.В. 1914, Архаический период в России. — MAP, №34.(파르모코프스키 1914, 러시아에서 (그리스)고대기)

아르타모노프 1966, Артамонов М.И. 1966 : Сокровища скифских курганов в собрани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Эрмитажа. Прага — Л.: Артия, Советский художник. 1966. 120 с (아르타모노프 1966, 에르미타주 소장 스키타이 무덤의 보물)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