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18세기 초반 시베리아 총독이었던 가가린이 수집해서 1712년에 표트르 1세에게 보낸 유물가운데 사람의 형상이 표현된 유물은 2점이다. 높이 1.5cm가량의 여성상과 직경이 3.8cm정도 되는사각통 금판위에 그려진 전사 5인이다(그림 1, 그림 2).

 

그림 1.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중에서 전사 5인이 그려진 황금원통

 

그림 2. 18: 전사 5인이 그려진 황금 통 그림1의 동일유물

 

여기에 표현된 전사 5인은 전쟁에서 막 이기고 돌아오는 장면을 표현한 것이다. 가장 앞의 말탄 기수 옆에는 말 안장 위에 전사의 시체를 던져 머리를 숙이고 있고, 그 뒤를 이어 나란히 뒤따르는 세 마리 말 중에 한 마리에도 역시 시체가 매어진 상태이다. 세 마리 말 중에 한 사람은 한 손에 검을 들고 생포한 장수(리더?)의 등을 겨누고 있으며, 그 뒤에 두 마리 말위에 탄 궁수는 생포한 전사를 향해 시위를 당기고 있다. 말을 탄 전사들은 헬멧을 쓰고 있는데 파지리크 유적 3호에서 출토된 것과 유사하다. 파지리크 3호 유적은 파지리크 5호, 2호, 1호(기원전 5세기)에 비해서 늦은 시기로 기원전 3세기 경에 해당한다. 코롤코바는 기원전 4~2세기 유물로 보았다. 기원전 2세기는 이미 스키타이시대는 아니다. 루덴코나 코롤코바 모두 기원전 5세기 보다 늦은 기원전 4~2세기

유물로 보았다. 

 

스키타이의 유물 가운데 금제품 위에 문양을 그릴 때 제작하는 방법은 chasing, punching, repousse이 있다고 설명한 적이 있다. 특히 체이싱기법은 볼록하게 튀어나온면 바로 옆에 음각을 해서 튀어나온 부분이 더 뚜렷하도록 보이는 기법이다.

표트르 1세의 유물에서도 체이싱 기법이 그대로 보인다(그림 3).

 

하지만 스키타이시대 이후에도 유물에 표현된 주제나 제작기법 등은 계속 사용되기 때문에 유구가 정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절대적인 연대를 알기는 힘들다. 단지 이 유물은 시베리아 출토 유물이라는 것이 확실하며, 기원전 5세기 이후의 어느 시점에 제작된 유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웅담이 유물에 표현되는 것은 스키타이 문화에서 흔히 선호된 주제이다. 

 

그림 3. 그림1-1의 세부

 

2020.12.10 - [아무다리야 퇴장유적] - 스키타이 핸드메이드 제작기술: 두드리고, 깍고, 잘라내기

 

 

스키타이 핸드메이드 제작기술: 두드리고, 깍고, 잘라내기

아무다리야 퇴장지 유물 가운데 스키타이 스타일과 제작기술로 만들어진 유물은 8점으로 파악된다.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사 현미경을 사용해서 분석한 결과이다(Scythians 2017). www.google.com/maps/d/edi

eastsearoad.tistory.com

2020.12.15 - [아무다리야 퇴장유적] - 스키타이 도깨비와 사자

 

스키타이 도깨비와 사자

아무다리야 퇴장유적에서 발견된 유물 가운데 스키타이 금제품 제작기법으로 만들어진 유물은 8점이다. 그 가운데 제작기법은 스키타이 기법이지만 문양은 전통적인 문양이 아닌 유물이 있다.

eastsearoad.tistory.com

 

 

참고문헌

 

Scythians: warriors of ancient Siberia. [British Museum. The BP exhibition. Organized with the State Hermitage Museum, St Petersburg, Russia] Ed. by St John Simpson and Dr Svetlana Pankova. London: Thames & Hudson Ltd. 2017. 368 p.

Е.Ф. Королькова Сибирская коллекция Петра I и золото древних кочевников Евразии. //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СПб: «Славия». 2012. С. 83-88(코롤코바 유라시아 유목민의 황금 유물 중에서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컬렉션)

Руденко С.И. 1962 : Сибирская коллекция Петра I. / САИ Д3-9. М.-Л.: 1962.(루덴코 1962, 표트르 1세 시베리아 콜렉션)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 중에는 매우 특이한 유물이 있다. 1716년 시베리아 총독이 보낸 유물목록을 다시 정리한 자비투히나(1977)의 글에서만 스케치 비슷한 유물이 있고 그 뒤로는 한 번도 언급된 적이 없다. 자비투히나, 코랄코바 등이 표트르 1세의 유물을 정리했지만다른 유물에 비해서 관심이 적다.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 중에서 가장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것은 버클 장식이다(그림1). 보통 쌍으로 존재하는데, 동물투쟁문양이다. 이 문양은 스키타이시대부터 흉노, 훈-사르마트 시기까지도 이어지는 대단히 지속력이 강하다. 이곳에는 늘 등장하는 것은 동물외에도 그 배경이 되는 나무 혹은 나뭇잎이다. 특히 사람이 등장하는(그림 1-1,2)는 나무가 배경이 된다. 그림 1-1은 여성이 쓰고 있는 유물이 파지리크 유적의 2호에서 출토된 유물과 비슷해서 기원전 5세기대의 유물로 생각된다. 그림 1-2는 그림 1-1보다는 늦다고 보는 의견과 비슷한 시점이라고 보기도 한다. 등장하는 인물 보다는 배경이 된 나무의 표현이 훈-사르마트시대(그림 1-4, 2-46~49)(사르마트문화 중 늦은시기, 사르마트: 볼가~돈강 유역에 걸친 스키타이 문화권내의 지역문화)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 1. 표트르 1세의 황금 유물 중에서 허리띠 버클장식

 

그런데 가가린이 1716년에 보낸 유물가운데 ‘유니크’ 혹은 독특하다는 표현말고는 다른 말로 설명이 안되는 유물이 있는데 황금나무이다(그림 2-50). 가가린의 유물목록에서 50번이고 무게는 12 황금근(золотник, zolotnik, 러시아제국시절 황금의 단위, 1졸로트닉=4.26g)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를 환산하면 51.12g이다. 현대에 새로 측정한 바에 따르면 53.1g이다.

 

그림 2. 표트르 1세의 황금 유물 중에서 1716년 가가린 목록 50번이 황금나무 

 

필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그림 1에 나오는 나무와 그림 2의 나무는 전혀 다른 나무이다. 그림2의 나무는 나무의 가장 높은 곳에 잎이 붙는 형태인데, 주로 종려나무라고 불리는 종이 대부분 잎이 끝에만 붙는다. 그러나 종려나무의 잎(한 가지에 가는 잎이 가지런하게 붙어 있음)과는 분명히 다르기 때문에 이 나무도 변형된 모습처럼 생각된다. 그렇다면 황금나무는 벨트에 표현된 나무와 전혀 다른 나무이기 때문에 출토지점도 완전히 다를까?

모두 같은 소포 속에서 나와서 다른 유물과 출토위치가 다르더라고 해도 그 인근이지, 아프리카 유물을 보냈을리는 만무하다. 황금나무를 만든 사람은 어디서 이런 나무를 보았을까? 표트르 1세의 황금 유물은 너무 유명해서 인터넷에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 황금나무는 사진조차 찾을 수 없고, 이 나무에 대해서 쓴 사람도 없다. 물론 손잡이가 양쪽으로 달린 황금 그릇(그림 2-45)처럼 페르시아계통의 유물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 곳이라고 단정할 수도 없다. 황금그릇은 어떻게 보면 매우 흔한 유물처럼 보인다. 흑해지역의 기원전 5세기 이후 유적, 볼가강의 필리포프카 유적 등에서 툭하면 나오는 유물이다.

 

더보기

황금나무의 잎을 다는 기술은 나무가지 끝에 고리를 매개로 잎을 단 것인데, 나뭇잎이 흔들릴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주로 관(冠)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인데, 오랫동안 북방민족들이 관을 만들때 사용한 방법 중에 하나이다.

 

 

참고문헌

Е.Ф. Королькова Сибирская коллекция Петра I — первое российское археологическое собрание. // Основателю Петербурга: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в Эрмитаже]. СПб: «Славия». 2003. С. 190-199.(코롤코바 2003,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수집품-러시아의 최초고고학유물)

М.П. Завитухина Собрание М.П. Гагарина 1716 г. в Сибирской коллекции Петра I. // АСГЭ. Вып. 18. Л.: 1977. С. 41-51 (자비투히나 1977, 1716년 가가린이 수집한 표트르1세의 시베리아 수집품)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18세기 시베리아 총독이었던 가가린은 1716년 12월 12일 표트르 1세에게 두 번째 소포를 보낸다. 그때 황제는 외국에 출장중이었고, 모스코프가 소포를 대신받았다. 이 사실은 표트르 1세와 함께 동행한 내각대신에게 보낸 편지 1717년 1월 18일에 기록이 되어 있었다. 모스코프는 즉시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가가린이 보낸 편지와 함께 유물의 목록을 작성했다. 가가린은 ‘1.5파운드가 되지 않는 작은 유물은 잃어버릴까 두려워서 보내지 않는다고 편지에 적었다. 하지만 편지와 달리 1.5 파운드가 되지 않는 소형 유물도 보냈는데, 그 유물 중에 하나가 금으로 만든 여성상이었다.

모스코프는 토볼스크에서 온 목록을 복사하지 않고 자신이 새로 정리했다. 물론 편지에 기초한 것이었다. 모스코프가 한 작업은 유물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이었다. 1727년 12월 22일유물은 쿤스트카메라로 옮겼는데, 모스코프는 여성상을 ’스타투이카(статуйка)‘라고 불렀다. 작은 상(statue)이라는 뜻이다.

 

쿤스트카메라에서 제작한 첫 번째 카달로그는 라틴어로 출판되었는데, 안드레이 그레코프가 그린 수채화를 구리판으로 만들어 삽화로 만들어 제작되었다. 1727년 쿤스트카메라가 불이 나면서 구리판은 소실되었지만 일부 삽화는 남아 있다.(아래포스팅의 수채화)

 

2020.02.15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시베리아황금유물컬렉션] - 러시아 에르미타주박물관 시베리아 황금유물 컬렉션의 사연

 

러시아 에르미타주박물관 시베리아 황금유물 컬렉션의 사연

시베리아 알타이 산의 아크 알라하 1유적의 1호분에서 출토된 네모꼴 나무방패를 살펴보다가 우리는 ‘솔로하’라고 하는 유적에서 출토된 황금빗에도 비슷한 유물이 새겨졌다는 사실을 알았

eastsearoad.tistory.com

 

 

 

 

그림 1.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컬렉션 중에서 여성상

 

높이 3.4cm, 너비 0.9cm,두께 0.4cm(무게 10.12g)이며 벌거벗은 여성상이다. 뒤에는 구멍이 달려 있다. 눈, 코, 입이 매우 크고 발달했다. 손 모양이 특이한데 왼손과 오른손이 가슴아래부터 배까지 일렬로 붙이고 있다. 특이하게 양 손에는 팔찌를 끼고 있다. 목은 짧고, 어깨가 넓은편인데, 뒤에서 보면 신체의 비율은 어린아이와 가깝다.

 

아시다시피 어느 무덤에서 나온지 모르니 이 벌거벗은 여성이 어디 출신인지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다른 유물과 비교를 해서 가늠할 수 밖에 없다.

 

G. Contenau et R. Ghirshman(1954), 보로비요바(1968), 푸가첸코바(1966) 등이 이 여성에 대해서 연구했는데 대부분 중앙아시아 혹은 아케미니드 왕조의 유물과 비교했는데, 손 모양과 정면자세, 비율 등이 그 근거이다. 대부분 기원전 5~4세기의 유물이었다. 대부분 어머니 조상을 형상화 한 것으로 의례품으로 보았다.

 

시베리아에서 벌거벗은 여성상이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말타와 부레티 유적이다. 맘모스 상아를 깎아서 만든 것인데, 세세하게(손과 발)는 다르지만 가슴과 Y존으로 여성성을 강조하고 있고, 목이 없게 표현된 점, 나신이지만 머리에는 뭔가를 쓴 모습, 작은 크기 등은 수 천년 전의 유물에서도 볼 수 있는 모습이다. 물론 이 유물로 표트르 1세의 작은 여성상을 연대 추정할 수 없고, 얼굴의 눈코입은 전혀 다른 모습이지만 생각해 볼 여지가 많다.

 

그림 2. 말타 유적 출토 여성상(1~23)과 남성상(24~29), 30,31은 불명확

 

참고문헌

 

Завитухина Золотая статуэтка из Сибирской коллекции Петра I и некоторые вопросы истории коллекции.// СГЭ. [ Вып. ] XXXVIII. Л.: 1974. С. 41-44(자비투히나 1974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컬렉션 중에서 황금상에 대해서)

김재윤 2019  시베리아 선사시대 인간형상물의 변화에 대한 검토, 韓國新石器硏究38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수집품으로 알려진 유물 가운데는 유물의 형태나 기본적인 모티브 뿐만 아니라 유물의 제작방법을 시베리아 아르잔-2호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는 유물이 많다.

‘시베리아’인데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그간 표트르 1세의 황금 유물은 영국박물관에 소장된 아무다리야 퇴장지 및 카자흐스탄 동부산악지대와 비교된 연구가 많다(Piotrovsky B., 1986, 코롤레바 2003 등 다수)

 

수집된 경위가 매우 다양하고(시베리아 총독 가가린에 의한 수집, 비트겐의 수집품을 옥션을 통해서 수집)유물의 연대폭이 넓어서 다양한 장소에서 수집되었을 수 있다.

게다가 17~20세기 중반까지도 ‘시베리아’는 우랄산맥 동쪽에서부터 극동까지 시베리아라고 불렀기 때문에 추정할 수 있는 영역은 매우 넓다.

 

그런데 투바의 아르잔-2호 발굴로 출토된 유물은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누금’기법이라고 불리는 작은 알갱이의 금을 유물에 부착하는 제작방법은 주로 흑해지역과 카자흐스탄 동부 산악지대에서 발견되는데, 흑해지역에서 기원전 7세기경에 발견되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먼저 생겨난 제작방법이라고 알았다. 물론 여기에 대해서도 많은 이견이 존재한다. 역시 그리스와의 관련성이다.

 

그러나 투바 아르잔-2호에서는 누금기법이라고 불리는 제작방법으로 장신구를 제작한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귀걸이이다(그림 1). 주인공 무덤 5호의 여성 뿐만 아니라 일반 여성의 무덤으로 생각되는 13호에서 출토된 귀걸이도 마찬가지 방법이 가미된 것이다(그림 2). 아르잔-2호 5호묘의 여성귀걸이(그림 1-1)는 둥근 고리 2개를 연결하고 그 아래에 원뿔 모양의 펜던트를 붙이는 방법이다. 아르잔-2호 13호묘 여성귀걸이(그림 2-5)는 원뿔 펜던트 아래에 구슬을 포도송이처럼 붙인 것이다.

 

그림 1. 아르잔-1호의 5호묘 여성 귀걸이

 

그림 2. 아르잔-2호의 13b호묘 여성 귀걸이

 

표트르 1세의 수집품 가운데 귀걸이(그림 3-3)는 둥근고리 아래에 원뿔모양의 펜던트를 붙이는 구조는 아르잔-2호 출토품과 같다. 그 아래에 붙인 구조물(그림 3-3-3)은 좀 더 복잡하다. 둥근 고리도 꼬아서 사용한 것(그림 3-3-1)이다. 표트르 1세의 수집품 가운데 아르잔-2호에서 출토된 유물과 비교해 볼 수 있는 유물도 있는 것이다.

 

 

그림 3.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 컬렉션

 

금제 알갱이를 붙이는 방법은 켈레르메스 유적의 여성머리띠 장식에서 발견되지만, 알갱이가 매우 크고 그 크기가 균일하지 않아서, 아르잔-2호와 비교해 볼 때 조잡해 보인다. 그리스에서 수입한 유물로 알려졌다(그림 4).

 

 

 

그림 4. 켈레르메스 유적 1호분 출토, 그리스+스키타이 스타일, 1903년 슐츠 발굴품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유물은 여러 지점에서 수집되어서 황제의 수집품으로 등록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아르잔-2호의 발굴로 그 지점이 좀 더 여러 곳이며, 좀 더 명확해 질 수 있게 되었다.

 

참고문헌

 

Piotrovsky B., Galanina L., Grach N. 1986 : Scythian Art. The Legacy of the Scythian World: mid-7th to 3rd century B.C. Leningrad: Aurora Art Publishers. 1986. 184 p

Е.Ф. Королькова Сибирская коллекция Петра I — первое российское археологическое собрание. // Основателю Петербурга: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в Эрмитаже]. СПб: «Славия». 2003. С. 190-199.

Чугунов К.В., Парцингер Г., Наглер А. 2017 : Царский курган скифского времени Аржан-2 в Туве. Новосибирск: ИАЭТ СО РАН. 2017. 500 с. (추구노프, 파르칭거,나게르 2017, 투바의 아르잔-2, 스키타이 차르 무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그 시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소장된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유물 컬렉션 가운데서 가장 빈번하게 애용된 동물장식은 호랑이다. 주로 허리띠 버클 장식, 목걸이 장식, 단추장식, 그릇의 손잡이 등 곳곳에서 발견된다.

 

그 중에서 호랑이의 꼬리 끝에 그리핀 머리가 달린 형태의 유물은 토크라고 불리는 목걸이 장식과 허리띠 버클 장식(그림 1, 그림 )으로 이용되었다. 두 호랑이는 늑골이 드러나도록 표현되었고, 꼬리를 아래로 내리고 있으며 말린 꼬리 끝에 그리핀 머리를 표현했다.

허리띠의 버클 장식은 흔히들 말하는 ‘동물투쟁문양’인데, 호랑이와 그의 사냥대상이 1:1의 구도가 아니다. 호랑이는 굽동물의 목을 물고 있고, 반대편의 새끼호랑이는 굽동물의 등과 꼬리를 가격하고 있다. 호랑이의 머리를 독수리가 가격하고 있다. 호랑이 두 마리가 물어 뜯는 굽동물도 하이브리드 동물이다. 선명한 굽과 긴 꼬리로 말로 보이지만, 부리가 달려 있고, 꼬리 끝에 역시 그리핀이 달려 있다. 동물투쟁문양이라고 불리는 동물이 주로 2 마리가 대립구도라면 이는 그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

 

그림 1.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 중에서

 

그림 2.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 중에서 토르크

 

 

그림 3. 알타이 바샤다르 유적의 통나무관

 

이 버클 장식의 호랑이는 몸을 세로 방향 곡선으로 채우고 있는 점은 목걸이의 호랑이와는 다른 점이다. 사실 몸에 털이 표현되며 날씬한 호랑이는 알타이 바샤다르 유적의 통나무관에서 표현되었다. 통나무관의 외곽과 덮개에 음각되어 있다. 역시 동물투쟁문양인데, 단지 서로 짝이 되는 동물이 일렬로 나란하게 표현되었을 뿐이다. 이는 용도가 크기가 큰 통나무관에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예전에도 언급한 바와 같이 동물투쟁문양이라고 불리는 구도의 동물장식은 2가지가 있는데, 일방적으로 맹수가 굽 동물을 일방적으로 물어 뜯는 장면과 굽동물로 보이는 동물이 반항하는 장면이 있다. 후자에서 굽동물은 실제 동물이 아닌 변형된 동물이다.

 

그림 1의 동물장식은 맹수가 일방적으로 물어 뜯는 장면도 아니고, 굽 동물이 반항하지도 않는다. 굽 동물 대신해서 독수리가 호랑이를 공격한다. 많지는 않지만 필자가 관찰한 2가지 형태의 동물투쟁문양 말고도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유물은 바샤다르 통나무관의 호랑이와 표현방법(몸통의 털, 귀, 발톱, 늘어뜨린 꼬리)이 가장 흡사하며, 여기에서 변형되어 꼬리 끝에 그리핀 머리가 달렸다고 볼 수 있다.

스키타이 동물장식을 연구한 페레보드치코바는 바사댜르 통나무관이 동물투쟁문양의 시작점이 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림 4. 그림 1과 동일 유물, 실제 색감과 다름.. 좀 더 노란색

 

 

 

참고문헌

Руденко С.И. 1962 : Сибирская коллекция Петра I. / САИ Д3-9. М.-Л.: 1962.(루덴코 1962, 표트르 1세 시베리아 콜렉션)

Е.В. Переводчикова 1994, Язык звериных образов. Очерки искусства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скифской эпохи(페레보드치코바 1994, 언어로서의 동물문양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