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알타이의 서쪽 사면 해발 1000~1100m에 위치한 카자흐탄의 베렐 유적은 앞서 살펴본 실릭티 유적과 무덤 구조 뿐만 아니라 유물도 상당히 차이가 있다.

실릭티 유적의 동물장식은 금판을 뒤에서 눌러서 앞쪽에 튀어나오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베렐 유적은 나무를 깍고 그 위를 금박으로 싸서 만든 것이다. 물론 금박이 잘 남아 있지는 않지만 몇 몇 유물에서 남겨진채 발견되었다.

 

베렐 유적은 이미 도굴당한채 발견되어서 유물이 많이 남아 있지 않지만 대부분 말의 장식이 남아 있었다. 그 중에서 말의 굴레에 달았던 굴레장식 가운데는 사슴 장식이 남아 있다(그림 1). 그런데 이 사슴장식은 약간 어색하다.? 어색하다는 표현이 맞지 않을 수 있지만 파지리크 유적과 비교하면 이제까지 없었던 사슴이다. 사슴이 입을 벌리고 표현된 경우는 바샤다르 유적, 투엑타 유적, 파지리크 유적에는 없었고, 대부분 호랑이나 표범 등 범 장식이 입을 벌리고 있다(그림 1). 두 동물이 대칭으로 표현되어도 얼굴을 서로 마주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등을 뒤로 돌리는 표현도 없었다.

 

 

 

그림 1. 베렐 유적 11호분에서 출토된 사슴장식이 붙은 굴레

 

물론 두 동물이 대칭되도록 구성된 장식 중에는 엘크(그림 2)가 있다. 투엑타 유적 1호에서 굴레장식에 달린 사슴의 얼굴이 베렐 유적 11호분과 유사하기도 했다. 물론 뿔의 표현은 전혀 다르다. 그러나 투엑타 유적 1호분 사슴의 뿔은 초본류를 모방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슴의 원래 뿔일 가능성이 없다.(이것은 실제 엘크와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위키백과 참고).

ko.wikipedia.org/wiki/%EB%A7%90%EC%BD%94%EC%86%90%EB%B0%94%EB%8B%A5%EC%82%AC%EC%8A%B4

 

말코손바닥사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스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무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말코손바닥사슴(학명: Alces alces)은 사슴과 말코손바닥사슴속에 속하는

ko.wikipedia.org

2020.07.19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투엑타 유적] - 2600년 전 하이브리드 동물문양

 

사슴 장식에서 서로 가슴만 붙인 것도 해발 1500m이상의 유적에서는 볼 수 없는 사슴의 자세이다.

 

그림 2. 베렐 유적 11호분 엘크

 

필자가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베렐 유적의 유물은 나무를 깎고 금박으로 싸서 만드는 방법은 알타이에서 이미 소개한 유물제작법과 관련이 있지만 동물표현에는 미세하게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물론 알타이 그리핀의 상징인 독수리머리 그리핀, 말의 마스크로 추정되는 부속품도 발견되어 파지리크 유적을 닮아 있기도 하다. 하지만, 다른 동물장식은 비율이 맞지 않고, 특정 부분만 강조되어 만들어져서 감쪽같지는 않다.

 

그림 3. 베렐 유적 11호분 독수리머리 그리핀

 

그림 4. 베렐 유적 11호분, 인간+동물

 

 

참고문헌

Sören Stark and Karen S. Rubinson with Zainolla S. Samashev and Jennifer Y. Chi 2012, Nomads and Networks: The Ancient Art and Culture of Kazakhst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카자흐스탄 동부의 실릭티 유적은 알타이 산 보다 남쪽에 위치한 평지의 유적이었다. 알타이는 여러 국가와 경계를 나누고 있는데, 러시아, 몽골, 카자흐스탄으로 카자흐스탄의 동부지역에는 알타이에 위치한 유적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잘 알려진 유적은 베렐이다. 1865년에 라돌프가 처음 발굴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자료는 남아있지 않고, 1998년 카자흐스탄에서 발굴한 정보가 남아 있다. 베렐 유적이 위치한 계곡에는 스키타이 시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기의 무덤이 100기 이상있다.

알타이의 추야강 계곡과 마찬가지로 무덤은 열을 지어서 발견되었다(그림 1).

그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11호분(직경 31.4× 28.6m, 높이 3~4m)인데, 무덤구덩이 안에 나무방을 넣고 빈공간에는 말 13마리를 묻었다. 나무방 안에는 통나무관이 있었고 남녀가 함께 안치되었다. 무덤은 여러 크기의 돌을 층별로 넣어서 축조했는데, 발견당시에 이미 도굴당한 상태였다.

 

 

그림 1. 베렐 유적의 무덤

 

 

그림 2. 베렐 계곡의 무덤군, 그림 1의 무덤은 북서방향을 길게 서 있는 무덤군(I)이다. 구글 위성지도(우측 지도 참고)에서 무덤 봉분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설명상으로는 같은 알타이의 파지리크 유적, 유스티드 유적 등과 비슷해 보이지만 신기하게도 베렐 유적은 나무로 된 무덤구조물에 큰 차이가 있다. 나무방을 통나무를 쌓아서 만들지 않고 나무를 잘라서 만든 납작한 목판으로 만든 것이다. 통나무관은 낙엽송을 파내어 만든 것이다. 그 위에는 물싸리 나무의 줄기와 가지를 얹은 후 자작나무 껍질을 두겹으로 덮었다(그림 3).

 

그림 3. 베렐 유적의 11호분

 

베렐 유적에서 나온 많은 유물은 파지리크 유적과 닮아 있다. 목제로 제작된 말의 굴레 장식, 토제 항아리 등이다.

 

해발 1500m의 파지리크 유적도 도굴당했는데, 1000~1100m가량의 베렐 유적은 더 쉽게 도굴당했을 것이다.

 

참고문헌

Sören Stark and Karen S. Rubinson with Zainolla S. Samashev and Jennifer Y. Chi 2012, Nomads and Networks: The Ancient Art and Culture of Kazakhst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Кубарев В.Д., Шульга П.И. Пазырыкская культура (курганы Чуи и Урсула), Барнаул: Изд-во Алтай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07. — 282 с.(쿠바레프, 술가, 2007 파지릭문화 유적(추야와 우르술라강의 고분

Самашев З. Берел. – Алматы: «Таймас», 2011.(사마세프 2011, 베렐)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권은 인접한 지역과의 비교도 이루어지지만, 넓은 지역에 문화가 묶여 있는 만큼 각 지역간의 비교 연구도 활발하다.

초원 북쪽에 위치한 산림지대인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 철제품은 널리 사용되고, 자신들의 제작기술이 있었어나, 스키타이 문화의 철제품 보다는 덜 정련된 철제품을 사용했던 것으로 밝혀졌다(쿠즈미니흐 1983).

 

그럼 스키타이 문화의 주요 유물중에 하나인 황금 유물은 어떨까? 황금 유물은 주로 흑해지역과 카자흐스탄에서 두꺼운 금제품을 사용해서 시베리아 알타이의 유물보다는 잘 알려져 있다.

실릭티 유적에서는 흑해지역보다는 얇지만 금박보다는 두터운 금판으로 제작된 동물장식이 잘알려졌는데, 사슴장식(그림 1), 몸을 말고 있는 범 장식(그림 2), 새 장식(그림 3, 4), 멧돼지 장식이다. 앞의 두 유물은 면을 강조한 표현이라면 새 장식은 선이 강조되었다.

 

그림 1. 실릭티 유적 5호분 출토 사슴장식

 

그림 2. 실릭티 유적 5호분 출토 범 장식(1,2-앞면, 3,4-뒷면)

 

그림 3. 실릭티 유적 5호분 출토 새 장식

 

그림 4. 실릭티 유적 5호분 출토 새 장식의 실측도

 

그 중에서 사슴장식은 흑해지역의 코스트롬스카야에서 발견된 사슴장식(그림 4)과 비교된다. 두 지역에서 발견된 유물은 자세는 같지만 몸통표현에 차이가 있다. 실릭티 유적의 유물은 몸통이 편평하게 표현되었고, 코스크롬스카야 유물은 앞서 여러 번 이야기 했지만 양적으로 표현된 유물이다. 물론 뿔의 가지 수, 뿔의 모양, 눈과 콧구멍의 모양 등 세부적인 표현 차이도 있다. 그러나 두 유물이 전혀 다른 제작기술로 만들어지게 보이는 것은 몸통 표현의 차이 때문이다.

 

 

그림 5. 흑해(코카서스 북쪽)코스트롬스카야 유적의 사슴장식

 

코스트롬스카야 유물과 실릭티 유물의 제작기술 차이처럼 보이는 그 배경에는 소재의 차이도 있다.

실릭티 유적은 이미 도굴당하고 남은 유물은 전부 금제품이었는데, 원래는 엄청나게 많은 금제품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금이 부족해서 금을 아끼기 위해서 얇게 금 장식을 만든 것 같지는 않고 얇게 만드는 것이 목적이었을 수 있다.

 

참고문헌

Черников С.С. 1965 : Загадка Золотого кургана. Где и когда зародилось «скифское искусство». М.: 1965. 190 с. («Из истории мировой культуры»)(체르니고프 1965, 수수께끼 황금 쿠르간, 언제 그리고 어디서 스키타이 예술은 시작되었을까

알렉세예프 2012, Алексеев А.Ю. 2012 : Золото скифских царей в собрании Эрмитажа. СПб: Изд-во Гос. Эрмитажа. 2012. 272 с. (알렉세예프 2012, 에르미타주박물관 소장 스키타이 차르의 황금유물 콜렉션)

Кузьминых С. В. Металлургия Волго-Камья в раннем железном веке: Медь и бронза. — М.: Наука, 1983. 257 с.(쿠지미니흐 1983, 볼가-카마 강 유역의 초기철기시대: 순동과 청동 금속제작)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문화에서 자주 애용된 새 문양 장식은 두 날개를 핀 형태부터 다양하게 있었다. 흑해 유적에서는 얼굴을 측면으로 돌린 형태이다. 다른 문양요소가 가미되지 않은 순수한 독수리 혹은 맹금류일 가능성이 크다.

 

실릭티 유적과 비교적 가깝지만 높은 산지에 위치한 투엑타 유적에서도 날개를 편 새 장식이 나오지만 이는 다른 동물과 결합된 하이브리드형 동물장식으로 그리핀이다.

 

실릭티 유적에서는 새 장식이지만 머리를 몸통으로 돌리고 있다. 특히 평면 전체를 금속판 혹은 목판으로 표현하지 않고 새 몸통의 아웃라인만 둘렀다는 점에서 차이가 크다.

실릭티 유적의 5호분에서 출토된 새 장식은 무덤방 바닥의 인골 주변에서 발견되었다.

실릭티 유적에서 남겨진 동물문양장식 뿐만 아니라 무덤의 구조도 차이가 있다.

 

1965년 발굴된 실릭티 유적의 5호분은 무덤구덩이로 연결되는 복도시설(연도)가 깔려 있는 구조이다. 알타이에서는 볼 수 없고, 흑해지역에서 연도가 있는 유적(톨스타야 마길라 등)이 있지만 구조는 차이가 크다. 실릭티 유적은 매우 얕게 무덤을 파서 대부분의 무덤구조물은 지상으로 올라오도록 지어졌다(그림 1). 통나무를 가로 새로 방향으로 쌓고 그 사이를 돌로 채웠으며 그 위를 다시 돌로 덮고 마지막에 봉분을 씌운 것이다.

 

물론 나무구조물 위를 돌로 덮은 후 봉분은 점토(그림 1-4)-->자갈돌(그림 1-2)-->자갈돌+흙(그림 1-3)의 순서로 만들었다.

 

그림 1. 실릭티 유적 3호분의 무덤 단면도

 

그림 2. 실릭티 유적 3호분의 매장주체부 평면도와 단면도

 

그림 3. 실릭티 유적 3호분의 무덤구조물(1)과 그 상부를 덮은 돌(2)

 

실릭티 유적의 주변의 다른 무덤도 비슷한 구조로 만들어졌다. 실릭티 82호분은 2003년 카자흐스탄에서 발굴했는데, 이미 알려진 실릭티 유적의 무덤구조와 거의 유사하다.

 

그림 4. 실릭티 유적 82호분 무덤의 단면도

 

실릭티 유적은 알타이 산과 천산산맥 사이에 있는 평지에 있는 유적이다. 같은 카자흐스탄 국경내에 위치한 유적이라도 베렐 유적의 무덤구조가 전혀 다르다. 알타이의 산 아래에 위치한 유적으로 어느 정도 알타이의 높은 곳에 있는 유적과 무덤구조 및 출토유물이 유사한 면이 있고, 실릭티 유적과는 많이 다르다.

 

알타이의 유물은 대부분 나무를 깍고 그 위를 금박으로 입히지만, 실릭티 유적에서 나온 동물문양장식은 금판으로 제작된 유물로 알타이 및 베렐 유적과도 차이가 있다.

 

참고문헌

Черников С.С. 1965 : Загадка Золотого кургана. Где и когда зародилось «скифское искусство». М.: 1965. 190 с. («Из истории мировой культуры»)(체르니고프 1965, 수수께끼 황금 쿠르간, 언제 그리고 어디서 스키타이 예술은 시작되었을까

Sören Stark and Karen S. Rubinson with Zainolla S. Samashev and Jennifer Y. Chi 2012, Nomads and Networks: The Ancient Art and Culture of Kazakhst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문화권으로 묶이지 않는 아나닌스카야 문화는 스텦지역의 북쪽에 위치한 타이가 지역의 초기 철기시대 문화이다. 하지만 이 문화에는 스키타이 무기인 화살과 전투용도끼, 검 뿐만 아니라 동물장식도 발견된다. 마구는 많지는 않지만 약간 있다.

 

그런데 스키타이 문화권으로 묶이는 스텦지역 가운데 현재 카자흐스탄 동쪽에도 ‘쿠르간’이라고 불리는 유적들이 있다. 카자흐스탄에 있는 스키타이 지역문화는 ‘사카문화’이다. 카자흐스탄의 고분은 알타이에 남쪽에 위치하는데, 평지에 있는 유적과 천산산맥의 자락에 있는 유적들이 있다. 앞서 화살촉이 출토된 실릭티 유적은 평지에 있는 유적이다.

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실릭티 유적도 주변이 평지이고 높이 6m의 봉분 때문에 쉽게 눈에 띄는 곳에 위치해서 도굴당한 유적이었기 때문에 유물이 제대로 남아 있을 리 없다. 그럼에도 이 유적에서는 황금으로 된 동물장식이 많이 출토되어 세간에 관심을 받았다. 도굴때문인지 어쩐지는 정확하지 않은데 무덤 안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 무기는 화살촉 외에는 보고되지 않았다(그림 3). 알타이에서는 검집의 흔적이라도 남아 있었고, 투바의 아르잔-2호는 검과 칼이 세트로 부장되어 있었던 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도굴꾼은 무덤의 구조를 없애지는 못했다. 무덤에서도 알타이의 미라가 나오는 파지리크 유적, 아크 알라하-3 유적 등과 차이가 있다. 물론 무덤에 나무구조물을 만들고 봉분을 만들어 덮는 아이디어는 같지만 큰 차이점이 있다.

실릭티 유적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5호무덤이다. 직경 66m, 높이 6m의 외형이다(그림 1). 봉분 안의 무덤구덩이(7.1×8.3m)의 깊이는 가장 깊은 곳이 1m정도 이고, 무덤구덩이의 바닥은 1m가 되지 않게 매우 얕게 팠다.

 

그림 1. 실릭티 유적의 무덤 평면도, 1- 무덤구덩이, 2-연도(무덤입구에서 들어가는 일종의 복도), 3-무덤 구덩이를 판 흙, 4-무덤의 경계돌(호석), 5-도굴입구, 6-발굴범위

 

 

그림 2. 실릭티 유적의 매장주체부의 나무구조물

 

그림 3. 실릭티 유적의 매장주체부 나무방 바닥 모습 1-무덤구덩이와 연도의 범위, 2-통나무, 3-사람뼈, 4-황금 장식판 출토범위, 5-황금 유물, 6-화살통

 

1960년대 발굴한 실릭티 5호분과 근접한 곳에 위치한 실릭티 3유적(82호분)은 2003년에 발굴되었는데, 무덤구조물 자체는 차이가 있지만 구덩이를 거의 파지 않고 땅위에 무덤을 만든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Черников С.С. 1965 : Загадка Золотого кургана. Где и когда зародилось «скифское искусство». М.: 1965. 190 с. («Из истории мировой культуры»)(체르니고프 1965, 수수께끼 황금 쿠르간, 언제 그리고 어디서 스키타이 예술은 시작되었을까

Sören Stark and Karen S. Rubinson with Zainolla S. Samashev and Jennifer Y. Chi 2012, Nomads and Networks: The Ancient Art and Culture of Kazakhst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4 5 6 7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