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스키타이 문화권으로 묶이지 않는 아나닌스카야 문화는 스텦지역의 북쪽에 위치한 타이가 지역의 초기 철기시대 문화이다. 하지만 이 문화에는 스키타이 무기인 화살과 전투용도끼, 검 뿐만 아니라 동물장식도 발견된다. 마구는 많지는 않지만 약간 있다.

 

그런데 스키타이 문화권으로 묶이는 스텦지역 가운데 현재 카자흐스탄 동쪽에도 ‘쿠르간’이라고 불리는 유적들이 있다. 카자흐스탄에 있는 스키타이 지역문화는 ‘사카문화’이다. 카자흐스탄의 고분은 알타이에 남쪽에 위치하는데, 평지에 있는 유적과 천산산맥의 자락에 있는 유적들이 있다. 앞서 화살촉이 출토된 실릭티 유적은 평지에 있는 유적이다.

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실릭티 유적도 주변이 평지이고 높이 6m의 봉분 때문에 쉽게 눈에 띄는 곳에 위치해서 도굴당한 유적이었기 때문에 유물이 제대로 남아 있을 리 없다. 그럼에도 이 유적에서는 황금으로 된 동물장식이 많이 출토되어 세간에 관심을 받았다. 도굴때문인지 어쩐지는 정확하지 않은데 무덤 안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 무기는 화살촉 외에는 보고되지 않았다(그림 3). 알타이에서는 검집의 흔적이라도 남아 있었고, 투바의 아르잔-2호는 검과 칼이 세트로 부장되어 있었던 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도굴꾼은 무덤의 구조를 없애지는 못했다. 무덤에서도 알타이의 미라가 나오는 파지리크 유적, 아크 알라하-3 유적 등과 차이가 있다. 물론 무덤에 나무구조물을 만들고 봉분을 만들어 덮는 아이디어는 같지만 큰 차이점이 있다.

실릭티 유적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5호무덤이다. 직경 66m, 높이 6m의 외형이다(그림 1). 봉분 안의 무덤구덩이(7.1×8.3m)의 깊이는 가장 깊은 곳이 1m정도 이고, 무덤구덩이의 바닥은 1m가 되지 않게 매우 얕게 팠다.

 

그림 1. 실릭티 유적의 무덤 평면도, 1- 무덤구덩이, 2-연도(무덤입구에서 들어가는 일종의 복도), 3-무덤 구덩이를 판 흙, 4-무덤의 경계돌(호석), 5-도굴입구, 6-발굴범위

 

 

그림 2. 실릭티 유적의 매장주체부의 나무구조물

 

그림 3. 실릭티 유적의 매장주체부 나무방 바닥 모습 1-무덤구덩이와 연도의 범위, 2-통나무, 3-사람뼈, 4-황금 장식판 출토범위, 5-황금 유물, 6-화살통

 

1960년대 발굴한 실릭티 5호분과 근접한 곳에 위치한 실릭티 3유적(82호분)은 2003년에 발굴되었는데, 무덤구조물 자체는 차이가 있지만 구덩이를 거의 파지 않고 땅위에 무덤을 만든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Черников С.С. 1965 : Загадка Золотого кургана. Где и когда зародилось «скифское искусство». М.: 1965. 190 с. («Из истории мировой культуры»)(체르니고프 1965, 수수께끼 황금 쿠르간, 언제 그리고 어디서 스키타이 예술은 시작되었을까

Sören Stark and Karen S. Rubinson with Zainolla S. Samashev and Jennifer Y. Chi 2012, Nomads and Networks: The Ancient Art and Culture of Kazakhst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