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1) 부활에 대한 염원 :나무 속의 미라 2

 

필자는 나무로 된 무덤방(시베리아 스키타이 문화에서 사용된) 자체가 매우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이를 알 수 있는 것은 아르잔-2호이다. 아르잔-2호에서는 14기의 무덤이 하나의 호석 안에 자리잡고 있는데 그 중에서 5호 무덤에서만 나무로 된 무덤방이 발견되었다. 이곳은 주인공남녀가 매장된 곳이다. 그 외의 무덤은 석관묘이다.

 

즉 기원전 7세기 무렵부터는 나무는 권력자를 위한 무덤의 자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원전 5세기 알타이의 무덤 속에서 수 많은 부장품과 미라가 있었던 파지리크 유적, 바샤다르 유적, 투엑타 유적에서는 나무로 된 무덤방과 통나무 관(그림 참고) 뿐만 아니라 구덩이를 수천개의 통나무로 채웠다. 이는 같은 알타이에 위치하지만 석관묘를 쓰거나 간단한 나무 무덤방을 썼던 추야계곡의 수많은 전사들의 무덤과는 분명히 차이가 있다. 당시 사람들에게는 나무에 대한 관념이 특별했다고 여겨진다.

 

그림. 파지리크 1호분의 통나무관

 

 

인간형상을 보존한 미라를 만들고, 나무로 된 무덤방에 사람을 묻어두는 행위는 이 지역에 현존하는 여러 민족들의 예를 보아서 부활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한다(르보바, 옥탸브르스카야 외 1988, 스몰랴크 1976,김재윤 2020, 김재윤 2021). 시베리아 남부의 투르크 인들은 부활을 위해서 아이를 나무 구멍 속에 매장했고, 나나이족에게도 비슷한 풍습이 있었다. 자연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것이다. 나무무덤방이 있던 아크 알라하 3유적, 투엑타 유적, 울란드리크 I유적 등에서는 부활을 의미하는 물싸리꽃이 발견되기도 했다.

그래서 나무방 안에 통나무관 속의 미라는 나무 속에 묻어두었다고 볼 수 있다. 부활을 염원하는 것이다.

죽은 이의 부활을 염원한 사람은 누구일까? 자기 자신인지, 그의 아들, 딸일까? 혹은 미라로 만들어진 사람들이 권력자라면, 그의 권력을 상징화 한 것일까?

아무튼 인간을 닮은 인간형상물은 스스로가 인간형상물로 된 미라의 모습으로 극대화되어서 부활을 꿈꾸었다.

 

 

참고문헌

김재윤 2023,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 전통의 시작부터 극대화까지」, 『한국의 고고학』, 58호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후기구석기시대 유적 이후로 흑해 부근을 비롯한 동유럽에서는 순동시대인 쿠쿠테니-트리폴리예 문화에서 인간형상물이 집 속에서 발견된다. 사바티노프카(Саватиновка,Savatinovka) II유적은 취락 유적으로 1호 주거지(그림 10-1,2)는 의례 공간으로 추정되는 공간에서 인간형상물 32점이 발견되었다. 모두 여성형상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형태이다. 여성의 둔부가 강조되었고 온몸에 삼각형 문양이 장식되었다. 1점을 제외하고는 팔이 없으며, 얼굴 표현도 일반적인 인간의 눈, , 입과는 다르다. 팔이 있는 여성상 1점은 뱀을 앉고 있다(부르도 2018, 그림 10-3~8).

 

 

베르나세프카(Бернашевка, Bernashevka)유적도 주거지 6기가 발견된 마을 유적이다. 드네프르강 범람원의 하상 단구대에 위치하는데, 마을의 중앙에 위치한 주거지에서만 유일하게 화덕자리가 있고, 여성형상물이 출토되었다. 사바타니프카 II유적과는 다르게 집안의 곳곳에서 여성형상물들이 발견되었다. 다리를 모은채 둔부가 매우 강조된 앉아 있는 모습이다.

 

쿠쿠테니 트리폴리예 문화의 후기(6000~5000년 전)가 되면서 여성형상물이 무덤 속에서 발견되기 시작한다. 유일한 예이기는 하지만 비트바틴트시 유적에서는 9~10세 여성의 무덤에서 여성형상물이 발견된다. 무덤에서는 토광은 발견되지 않았고 인골과 토기 및 여성형상물 3점이 발견되었다. 이 여성형상물은 얼굴, 몸통, 사지를 구분하고 있지만 막대기처럼 뻣뻣하게 표현되었다. 다리를 붙이고 있으며 특정부위를 강조하지는 않았다. 하반신에 Y존이 뚜렷하고 가슴을 표현해서 여성을 형상화 한 것이라는 점은 알 수 있다. 얼굴표현은 역시 알 수 없다(그림 11). 죽은 이가 어린 여자아이기 때문에 2차 성징이 드러나기 전이라면, 소녀를 기리기 위해서 혹은 소녀를 다시 만나기 위해서 만들었을 수 있지만, 누가 알겠는가?

 

 

 

그림 11. 쿠쿠테니 트리폴리예 문화 후기의 여성형상물

 

 

여성형상물이 집에서 무덤으로 묻어둔 장소가 변화됨과 동시에 유물의 형태에도 변화가 생긴다. 앉아 있는 모습으로 둔부가 매우 강조되고 온몸에 문양이 있는 여성형상물에서 후기가 되면서 몸에 문양은 없어지고 둔부는 강조되지 않는다. 하지만 알 수 없는 얼굴표현이나 다리를 붙인 모습과 Y존을 강조하는 모습은 유지된다. 쿠쿠테니 트리폴리예 문화의 후기부터 무덤에 여성형상물을 부장하기 시작하면서, 여성을 다산의 상징으로 보던 시각에 변화가 있었을 수 있다.

 

 

참고문헌

김재윤 2023,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 전통의 시작부터 극대화까지」, 『한국의 고고학』, 58호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신석기시대에서 이어서..

 

시베리아에는 순동이 출토되는 특별한 시기가 있다. 4700~4000년 전 글라스코보(Глазково, Glazkovo) 문화이다. 순동시대는 동유럽의 카르파티아 산맥부터 알타이 산맥 및 바이칼 유역까지만 존재하는데, 시베리아의 바이칼 유역이 가장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문화에서는 석관묘 무덤 속에서 인간형상물들이 확인된다. 대표적인 우스타-우다(Усть-Уда;Ust'-Uda) 유적 4(그림 8)에서는 꼭 닮은 인간형상물 2점이 쌍으로 매장되었다. ‘으로 매장되는 특징은 베르홀렌스크 유적 26, 세묘노보 유적 등 글라스코보 문화의 다른 유적에서도 보이는 현상이다. 특히 우스티-우다 유적에서는 원판형 옥기(그림 8-8~13, 19~22), 벽옥형 옥기(그림 8-17,18) 등과 함께 인간형상물이 매장되었는데, 오클라드니코프(Окладникв А.П.;Okladnikov A.P.)는 민족지 자료를 이용해서 샤먼의 무덤으로 추정한 바 있다(오클라드니코프 1978).

이 문화의 인간형상물은 성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자세히 살펴보면 어깨에 선을 그어서 옷을 입은 것을 표현하고 있다. 우스티-우다 유적에서 발견된 하얀색 옥은 죽은이의 옷에 달았던 것이다(김재윤 2020). 만약에 묻힌 이가 샤먼이었다면, 하얀색 옥을 신성시 하는 문화가 있었을 것이다. 이는 중국동북지방 뿐만 아니라 바이칼 유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최근에 중국 홍산문화의 유적으로 알려진 합민망합(哈民忙哈) 유적에서 나오는 다수의 백옥색 옥제품의 원산지가 바이칼 유역이라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吉平· 朱永剛 2018). 중국에서는 우유빛의 하얀 옥을 신성시 하는 5000여 년전 중국동북지방의 관념도 원산지에서 가져 온 관념일 수 있다.

 

글라스코보 문화가 끝나고 시베리아에서는 여러 계통의 청동기문화가 들어선다. 그 가운데 대략 4500~3900년 전(기원전 25~19세기) 오쿠네보 문화(Окунево, Okunevo) 는 재지적인 문화로 알려져 있다. 오쿠네보 문화 보다 선행하던 아파나시에보(Афанасьево, Afanasievo) 문화는 서쪽에서 이동한 것이지만 오쿠네보 문화는 그렇지 않다. 그때문인지 재지의 신석기시대 문화의 전통은 오쿠네보 문화에서 받았다(김재윤 2019).

오쿠네보 문화는 글라스코보 문화와 마찬가지로 석관묘 전통이지만, 여러 무덤이 하나의 호석 안에서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시간에 따라서 호석의 평면(원형과 방형) 및 그 안에 배치된 석관묘에도 변화가 있다. 인간형상물은 이 문화의 가장 마지막 시기에 출토된다(김재윤 2020b). 동물의 뼈로 제작되었고 여성과 남성은 구분되어서 제작되었다. 여성형상물(그림 9-4~7)은 전체적으로 평면형태는 타원형이며 납작한 모습인데, 머리 스타일, 장신구, 몸통의 문양 등으로 형태분류가 가능하다. 그에 비해서 남성형상물(그림 9-8~10)은 남성상징모양으로 단면은 원형이고 두상만 표현되었다(김재윤 2020b).

 

시베리아에서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줄 곧 무덤속에 부장되며 주로 를 깎아서 인간형상물로 만들었다. 각 시대 마다 인간형상물의 형태 변화는 있지만 무덤 속에 부장되면서 부활을 향한 그 염원은 지속되었다.

 

참고문헌

김재윤 2023,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 전통의 시작부터 극대화까지」, 『한국의 고고학』, 58호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베리아: 부활

 

흑해지역의 후기구석기시대 여성형상물은 대부분 주거지에서 출토되며, 남성상은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시베리아와 대조적이다(김재윤 2019a).

시베리아에서는 14000년 전 말타(Мальта, Malta)와 부레티(Буреть, Buret') 유적에서부터 인간형상물의 전통이 확인되었다. 말타 유적은 주거지 15기가 있는 취락유적으로 각 주거지에서 1개 이상의 인간형상물이 발견된다. 그 중에서 원형의 지상식 주거지 안에 화덕자리에는 인골과 함께 인간형상물(그림 3, 그림 4) 및 동물형상물(그림 5)이 발견되었다. 이를 두고 집 속의 무덤이라고 생각하며, 인간형상물 부장의 시원적인 모습이다. 여성(그림 3, 4-1)은 머리, 몸통, 팔 다리가 뚜렷하게 구분되며, 가슴과 엉덩이를 표현했고, 하반신에 Y존을 뚜렷하게 그려서 여성임을 분명하게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남성(그림 4-2)은 남성상징형태이고, 몸통 표현은 없고 얼굴만 표현되었다(김재윤 2021b).

 

 

 

 

구석기시대 마지막 기간에 집 속에 인간형상물을 부장한다는 현상은 시베리아와 흑해지역에서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이를 하는 사람들의 행위에는 차이가 있었다. 흑해지역에서 순수한 특정한 ‘집’에 왕창 넣어준다던지, 여성만을 형상물화 한다던지 하는 현상은 시베리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사람들 사이에 ‘평등’이라는 개념이 있었다면 23000년 전 동유럽 후기구석기문화에서는 보기 어렵다.

 

 

하지만 시베리아에서는 여성형상물에 비해서 숫자가 적고, 간단하게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남성들도 형상물로 만들어졌다. 동유럽에 비해서 살찌거나 임신한 여성을 두드러지게 표현하지 않은 점도 여성을 ‘생산’의 대상으로만 본 것은 아니고 어쩌면 ‘부활’의 의미를 담았을 수 있다. 말타 유적의 여성형상물은 집 안에 인골과 함께 매장되었고, 무덤 속의 매장으로 보기 때문이다. 집 안에 무덤을 만들어서, 그가 다시 부활하기를 바랬을 수 있다. 미라를 만들었던 의미와도 일맥상통한다. 그리고 말타 유적의 모든 집에서는 인간형상물들이 1개 이상 발견된다는 점도 흑해와는 구분된다(김재윤 2022a).

 

 

 

참고문헌

김재윤 2023,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 전통의 시작부터 극대화까지」, 『한국의 고고학』, 58호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1. 11. 4. 09:22 책소개

인간형상물은 유라시아 초원 선사문화의 상징물이 될 수 있다.

 

인간형상물이 가장 극대화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스키토 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는 철기시대이다.

스키토 시베리아 문화권이라는 용어는 스키타이 3요소라고 불리는 동물장식, 마구, 무기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을 집합한 것이다. 그 중에서 가장 핵심적이고 상징적인 것은 동물장식이다. 동물장식은 스키토 시베리아 문화권이라는 용어를 고안하게 될 만큼 핵심적인 요소이다.

아르잔-1호에서 출토된 원형맹수장식으로 인해서 그 이전까지 알려진 카자흐스탄의 스텦지역과 흑해지역의 원형맹수장식이 시베리아에도 존재했고 심지어 더 이르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동물장식의 특징으로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을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으로 구분한다. 동물의 주제는 공통적이지만 표현방법과 자세 등이 차이가 있는 현상으로 구분한 것이다.

그런데 인간형상물도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에서 구분되어 나타난다.

 

스키타이 문화를 최초로 기록한 헤로도투스는 스키타이 왕의 장례치르는 방법에서 미라처리에 관한 내용을 서술했는데, 실제 발견되는 곳은 알타이이다. 반면에 서부지역에서는 신화속의 인물로 생각되는 인간형상물 등이 발견된다.

 

그림 1. 알타이(아크 알라하 3유적)의 미라

 

그림 2. 흑해(켈레르메스 유적)의 여신상

 

동부지역에 속하는 알타이에서는 미라가 해발 1200m이상의 무덤에서 발견되고 파지리크 유적, 아크 알라하 3유적, 바사댜르 유적 등 여러 곳에서 발견된 바 있다.

미라를 만드는 이유는 파지리크 문화 사람들의 이데올로기 문제와 관련되어 있는데, 부활을 위한 것으로 생각한다. 나무로 된 무덤방과 통나무관, 내부까지 흙과 풀로 채워진 인간형상물로 만들어진 것이다.

 

반면에 서부지역에서는 흑해의 켈레르메스 유적 이후로 여러 유적에서 신화 속의 아르김파사로 여겨지는 여성상등이 기원전 7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 까지 지속적으로 출토된다. 무덤 뿐만 아니라 성곽(벨스크) 유적에서도 출토된다.

서부지역에서는 무덤 구조가 변화되어도 인간형상물이 발견되며, 사용방법도 거울이나 각배와 같은 의례품에서 기원전 5세기 이후가 되면 실용적인 유물에 부착되는 변화가 있다. 재질도 변화된다. 신화와 같은 조상숭배의 개념에서 벽사의 개념을 지닌 부적과 같은 역할로 변화되었다.

 

그럼 인간형상물은 갑자기 생긴 것일까?

 

*이 글은 내일 필자가 한국고고학대회에서 발표할 내용을 간략하게 추린 글이다.

 

참고문헌

 

김재윤, 2021, 「유라시아 초원 선사시대 인간형상물」, 『제 45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한국고고학회 (kras.or.kr)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