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알타이 울란드리크 강 유역의 8개 유적 가운데 맹수장식이 달린 목걸이는 남성의 유물로 모든 무덤에서 출토되지 않는다. 앞에서 울란드리크 I유적의 12호분에는 여성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남성의 목걸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발견한 바 있다.

 

울란드리크 강 유역이지만, 타샨타 마을과 가까운 곳은 마을의 행정명을 따라서 타샨타 유적이라고 명명된 곳이 있는데 타샨타 I유적 1호분에서 비슷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타샨타 I유적에는 무덤이 2기 뿐이다.

 

그림 1. 타샨타 I, II 유적, 타샨타 I유적의 2호는 통나무관이다.

 

타샨타 I유적 1호분에는 말 3마리와 남성이 한명 묻혔다. 말은 재갈과 재갈멈치로, 굴레장식이 착장되었다. 그 가운데 말 1마리(무덤방과 가까운 말)는 멧돼지 송곳니 모양 굴레장식만 있고, 재갈과 재갈멈치는 없는 상태로 매장되었다. 말은 방패(그림 3-9)를 매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림 2. 타샨타 I유적의 무덤, 1~3: 목제 재갈멈치, 4-철제 재갈, 5-목제 멧돼지모양송곳니장식, 6-목제 장식판, 7-목제 말머리 장식, 8-목제 말 장식, 9-목제 방패, 10-목제 장식, 11-목제 조이개의 부분, 12-목제 고리트(활+화살통)의 지지대, 13-자루를 끼운 청동투부, 14-청동검, 15-목제 검집, 16-목제 원판 장식, 금박으로 마감됨, 17-목제 말 장식(모자), 18-청동거울, 19-목제 말 장식, 20,21-목제 장식, 22-목걸이 끝장식, 23-목제 사슴장식, 24-목제 장식판, 25-목제 버클 장식, 26-목제 화살통 장식, 27-활과 화살의 부속품, 목제

 

그림 3. 타샨타 I유적의 무덤, 그림 2의 번호와 일치

 

그림 4. 타샨타 I유적의 무덤, 그림 3의 번호와 일치

 

이 남성의 목걸이(그림 4-22)는 양쪽 끝에 동물문양으로 장식하는 속성은 같지만, 앞에서 본 울란드리크 I유적 12호분과는 다른 종류의 동물이다. 울란디르크 I유적 12호분은 앞다리 부위에 동심원문양을 표현해서 일종의 합성동물이라고 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호랑이에 표현된 날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남성의 목걸이는 단순한 맹수로 늑대종류일 가능성이 많다. 알타이 스키타이 문화에 맹수류는 호랑이, 늑대 종류가 확인되고, 합성동물인 그리핀도 있다. 호랑이와 늑대는 실제로보면 전혀 다른 동물이지만 목제로 만들었을 때 별로 차이가 없는 듯 해 보이지만, 두 동물은 귀의 표현이 전혀 다르다. 실제 호랑이와 표범 등의 고양이과 맹수는 귀가 둥글지만, 늑대과의 동물은 귀가 뾰족하다. 이 무덤의 말 재갈에 달린 장식은 호랑이(그림 3-1,3) 얼굴이다.

 

 

그런데 호랑이가 서식하는 지역에는 늑대가 거의 없다. 호랑이가 사라진 지역에 늑대가 들어온 예가 연해주와 아무르지역이다.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반에 급격하게 사라진 호랑이를 대신해서 이 지역에 늑대의 개체수가 늘어났다.

 

늑대장식이 있는 대표적인 유적은 아크 알라하-1 유적이다. 이 유적의 1호분에는 안장에 늑대모양을 달아서 장식했다. 이 남성 전사 2인의 무덤에서는 호랑이와 관련된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굴레장식은 독수리 머리 그리핀 모습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타샨타 I유적 1호분에서 호랑이와 늑대의 조합은 이상하다.

 

2020/02/09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아크 알라하 1유적] - 시베리아 스키타이 전사 9마리 말의 얼굴꾸미개

 

시베리아 스키타이 전사 9마리 말의 얼굴꾸미개

시베리아 알타이 산에서도 우코크 고원의 아크 알라하 1유적의 남성전사 2명이 묻힌 1호분의 관 내부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이 무덤에는 1차 무덤방에는 말을 위한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었다.

eastsearoad.tistory.com

2020/02/24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아크 알라하 1유적] - 기원전 5세기의 시베리아 군인

 

기원전 5세기의 시베리아 군인

러시아 시베리아 알타이의 우코크 고원에 위치한 스키타이문화의 유적인 아크 알라하 1유적의 1호분을 살펴보았다. 두 명의 남성무덤으로 전사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앞서서 살펴보았던 아크

eastsearoad.tistory.com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87 : Курганы Уландрыка. Новосибирск: 1987. 304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의 울란디르크 강의 계곡에는 스키타이 문화 유적 8곳이 확인되었다. 유적은 기원전 4~2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기원전 3세기 가량부터 말이 부장되지 않는 현상이 있고, 기원전 2세기가 되면 그 현상이 심화된다고 했다. 사실 이 시기는 다른 곳에는 스키타이 문화의 흔적은 사라지고 새로운 문화공동체가 들어섰다.

 

늦은 시기가 되면서 말이 없어지는 현상 뿐만 아니라 부장된 말의 마구에도 변화가 있다. 물론 마구의 형태 변화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눈을 끄는 것은 재갈 없는 말이 부장된다는 점이다.

울란드리크 III유적의 3호분에는 어디에도 말의 재갈은 확인되지 않았다. 말의 굴레장식이라고 생각한 유물은 있지만 말의 재갈은 없다. 금속제로 만들어졌으니 썩어서 없어졌다고 할 수도 없다.

 

만약에 이런 일이 한 번 만 있었다면 매장당시에 신경을 못 쓰는 상태였을 수도 있다.

그러나 울란드리크 III유적의 6호분에서도 재갈없는 말이 매장되었다. 유물도 매우 단출하다. 철제 검(그림 2-1), 청동거울(그림 2-2), 골제 장식품(그림 2-3), 목제 검집(그림 2-8), 목제 멧돼지 송곳니(그림 2-7), 원판형 단추(그림 2-6), 토제 항아리(그림 1-9), 목제 상(그림 1-10)이다.

 

이곳에서 출토된 청동거울, 손잡이 끝이 고리형인 철제 칼, 목제 검집, 토제 항아리, 목제 상, 멧돼지 송곳니 모양 목제 장식품이 알타이 스키타이 문화인 파지릭 문화에서 가장 마지막 무덤까지 남아 있던 유물이다.

 

기원전 3~2세기의 무덤이 모두 이와 같은 현상은 아니라서 매우 단정적일 수는 없다.

필자가 궁금한 건 소위 말하는 ‘계급’의 문제이다.

 예를 들면 울란디르크 I유적과 울란드리크 III유적은 비슷한 시점에 무덤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고 가정한다면 100~200년간 무덤이 계속 만들어지면서 두 유적에 나타나는 차이(유물부장 혹은 무덤구조의 차이)가 계급의 차이였는지가 궁금하다. 만약 계급의 차이였다면 시간이 지나도 후손은 계속 조상의 지위를 물려 받았는지가 궁금하다.

 그런 사회가 아니었다면 두 유적의 차이는 시간차이일 가능성이 있다.

 

 다시 생각해보면 유스티드 XII유적은 매우 특이한 유적이다. 26기나 되는 무덤이 일렬로 서 있고, 어린아이(단독 9기, 성인과 함께 묻힌 무덤 2기)의 무덤이 많다. 다른 유적 보다 많은 무덤이 한 유적에 만들어졌고, 무덤간의 시간차가 별로 없다. 

 반면에 울란디르크 계곡의 무덤은 같은 유적에서도 100~200년 간, 혹은 200~300년 간 무덤이 만들어졌다. 가족무덤이라는 점에서는 사실 이게 정상 아닌가? 단정하기는 힘들지만 분명히 유스티드 XII유적의 무덤은 어떤 특정한 요인으로 발생했을 수 있다.

 

그림 1. 울란드리크III유적 6호

 

그림 2. 울란드리크 III유적 6호 출토유물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87 : Курганы Уландрыка. Новосибирск: 1987. 304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의 스키타이 문화의 무덤에서는 같은 무덤 구덩이에 무덤방과 말을 부장하는 전통이 있다. 2600년 전 부터 시작된 문화가 사라지는 현상은 울란드리크 강의 계곡 유적에서 확인된다. (스키타이 문화의 시작은 아르잔-1호 부터이지만, 무덤구덩이에 말과 무덤방을 만들어 부장되는 현상은 알타이의 파지릭 문화에서 시작된다.)

 

울란드리크 I유적에서도 말이 있는 무덤과 말이 없는 무덤이 구분되지만, 울란드리크 II(2,4,7,8호)유적, 울란드리크 IV유적(1호), 울란드리크 V유적(2호), 타샨타 I유적(2호), 타샨타 III유적(7호)에서도 말이 없는 무덤이 있다.

 

그림 1. 울란드리크 II유적의 유적평면도, 2,4,7,8호의 무덤에는 말이 없다.

 

 

그림 2. 울란드리크 II유적의 8호

 

그림 3. 타샨타 I유적과 II 유적의 평면도

 

 

그림 3. 타샨타 I유적의 2호

 

울란드리크 II유적의 8호와 타샨타 I유적 2호는 통나무관에 묻은 어린아이 무덤이다. 유스티드XII유적에서도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어린아이 무덤에는 상대적으로 말이 부장되는 경우가 적었다.

 

울란디르크 강 유역의 유적 가운데 가장 늦인 시기은 유적은 기원전 2세기의 무덤이라고 했다. 그런데 말 없는 무덤이 모두 기원전 2세기의 유적은 아니다. 이 시기의 무덤에도 말이 있는 무덤이 있다. 예를 들면 울란디르크 I유적의 가장 마지막에 있던 13~15호 무덤이다.

말 없는 현상은 기원전 3세기부터 시작된다. 울란디르크 I유적의 3호, 울란디르크 II유적의 8호, 울란디르크 IV유적의 1호는 기원전 3세기 가량의 유적이지만 말은 부장되지 않았다.

 

2600~2500년 전 대형 무덤에서 미라와 함께 수 마리의 말을 부장하던 관습이 2400년 전이 되면서 한 무덤에 들어가는 말의 수가 줄고, 말이 들어간 무덤이 늘어간다. 말의 두수 뿐만 아니라 무덤방에도 변화가 있다. 울란디르크 뿐만 아니라 유스티드 계곡의 무덤방 바닥에는 유물이 놓인 공간에 나무를 1~2개 정도 빼고 만들었다.

 한켠에 나무바닥이 빠진 무덤방, 최대 2~3마리의 말, 그다지 화려하지 않은 유물의 부장은 2500년 전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얼리어덥터 전사 유적에서부터 확인되는 현상이다.  미라만 빼면 유스티드 계곡의 유적이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남성무덤과 매우 유사하다. 울란디르크 유적은 무덤방 결구하는 방법이 약간 다른 무덤의 비율이 많아졌다.

 그런데 이걸 칼자르듯이 딱 구분하기도 애매하다. 아마도 그런 유적은 따로 있을 듯 하다.

그러고 보면 미라현상은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남성까지였던 것 같다. 물론 현재의 자료로 판단한 것이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87 : Курганы Уландрыка. Новосибирск: 1987. 304 с

Молодин В.И., Полосьмак Н.В., Чикишева Т.А 2000, Феномен алтайских мумий. Новосибирск: 2000. 320 c.(몰로딘, 폴로스막, 치키세바 2000, 알타이 미라 현상, 2000)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에서 고대로부터 자연교통로가 된 추야 강에는 북쪽으로 유스티드 강, 남쪽방향으로는 울란드리크 강이 흐른다. 울란드리크 강 유역에는 8개의 스키타이 문화 유적이 남아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은 무덤이 있는 곳은 울란드리크 I 유적이다.

울란드리크 I유적에는 통나무관을 무덤방으로 쓴 무덤이 있다. 다른 무덤은 대부분 나무를 결구해서 만든 무덤방이다.

 

 

 

 

 

그림 1. 울란드리크 I유적의 4호분과 출토유물

 

 

 

 

그림 2. 울란드리크 I유적의 6호분

 

 

그림 3. 울란디르크 I유적의 6호분 출토유물

 

 

 현재 자료로 통나무관이 확인된 가장 오래된 유적은 2700년 전 아르잔-2호로 3~9달 된 유아무덤으로 이용된 바 있다. 그 이후 2600년 전 바샤다르 유적에서는 성인 무덤에서도 통나무관이 사용된다. 통나무관이 확인된 무덤에서는 시신은 모두 미라 처리되었다. 바샤다르 유적의 2호, 파지릭 2호, 파지릭 5호, 아크 알라하 3유적으로 2600~2500년 전의 유적이다. 이 보다 늦은 시기의 유적인 2400년 전 울란드리크 I유적의 4호와 6호, 유스티드 XII유적 6호에서는 통나무관에서는 성인이 아닌 어린아이가 묻혔다.

아직 확인된 바 없지만 파지릭문화(알타이 스키타이 문화)의 전성기라고 하는 2600~2500년전에도 통나무관이 어린아이의 매장시설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

 

 러시아학계에서는 위에서 말한 통나무관을 쓴 무덤은 당시에 최상급 계급의 사람이 묻힌 것으로 여긴다. 통나무로 만든 무덤방+통나무관 1기+남녀가 합장한 무덤이 상위계급의 규율 같은 것이었을 수 있다. 물론 무덤방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깊은 구덩이와 두텁게 덮은 돌은 부수적으로 따라 올 수 밖에 없는 무덤 인테리어였을 것이다.

 

 그런데 돌연변이 같은 존재가 아크 알라하 3유적(일명 얼음공주의 무덤)과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얼리어답터 전사)이다. 둘다 미라로 처리되었지만, 다른 미라 발견 무덤과는 달리 혼자 묻혔다. 아크 알라하 3유적의 여성은 크지 않은 무덤에 통나무가 이용된 장법이었고, 베르흐 칼쥔 II유적 3호분 남성은 나무로 된 무덤방에 묻혔다. 사실 눈치 채셨는지 모르겠지만 2500년전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남성 무덤방은 2400년 전 만들어지기 시작한 울란드리크 강 유역, 유스티드 강 유역의 무덤과 비슷하다. 그의 무덤방 스타일이 후대에 이어진 것이다.

어린아이 무덤시설로 통나무관을 사용한 예가 2600~2500년 전에 확인된 바 없지만 그 전통이 계속 이어졌기 때문에 2400년 전 울란드리크 강과 유스티드 강 유역에도 다시 나타났을 수 있다.


  그렇다면 어쩌면 2600~2500년 전 파지릭 문화의 전성기때 성인남녀 무덤에 통나무관이 들어간 것이 스키타이문화의 전통에서 잠시 동안 나타난 무덤장제였을 수도 있다.

 

 시베리아 남부의 투르크 인들은 아이를 나무 구멍 속에 매장했고, 나나이족도 비슷한 풍습이 있다(르보바, 옥탸브르스카야 외 1988, 스몰랴크 1976). 어린아이를 나무 혹은 그루터기에 묻는 것은 자연을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낸다는 생각을 내포하고 있다(골로브뇨바 1995).

 

  울란드릭크 I유적에서는 물싸리 줄기가 많이 확인되었다. 이 줄기를 분석한 결과 봄에 유적이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풀은 봄이 되면 노란색 꽃을 피우는데, 파지릭 유적에는 한 다발을 넣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에서 늦봄에서 여름에 만들어진 무덤은 아크 알라하-3유적, 파지릭 유적 2호분, 파지릭 유적 5호분 등이 있었다. 주로 말의 위에서 나온 풀의 상태 등을 보고 유적이 만들어진 시점을 파악했는데, 물싸리도 그 근거가 된 것이다.

투르크 전통에는 ‘절벽에 노란 꽃이 피었을 때, 가을과 겨울에 죽은 사람을 매장한다’고 한다(비추린 1950).

아크 알라하 3유적을 발굴한 폴로시막도 물싸리 꽃을 신화-의식 세계에서 부활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았다. 파지릭 문화의 대부분 무덤에서 발견되는 금박으로 만들어진 꽃과 비슷한 장식품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

 

2600~2500년 전 성인 무덤속에 온통 재생을 의미하는 꽃과 이 꽃을 닮은 금박장식을 넣어두었다면, 어린아이의 무덤시설인 통나무관에 성인남녀를 묻음으로써  같은효과를 기대했을 수도 있다.

 

*앞에서 울란디르크 강과 울란디르크 무덤이라고 했는데, 필자가 거꾸로 읽음. ‘울란드리크(Уландрык, Ulandryk)’입니다.

*앞에서 BBC에서 만든 아크 알라하 3유적의 다큐멘터리를 공유했다. 그 곳에서 가장 처음에 노란색 꽃이 나오는데, 물싸리 꽃이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87 : Курганы Уландрыка. Новосибирск: 1987. 304 с

Полосьмак Н.В. Всадники Укока. — Новосибирск: Инфолио-пресс, 2001. — 336 с

Бичурин Н.Я. (Иакинф) Собрание сведений о народах, обитавших в Средней Азии в древние времена. М.-Л.: Наука, 1950. Ч. 1. 381 c.(비추린 1950, 고대 중아시아 주민에 대한 정보)

Львова Э.Л., Октябрьская И.В., Сагалаев А.М. и др. Традиционное мировоззрение тюрков Южной Сибири. Пространство и время. Вещный мир. Новосибирск: Наука, 1988. 224 с.(르보바, 옥탸브르스카야, 사가라예프 외 1988, 시베리아 남부 투르크 인의 전통적인 세계관)

Смоляк А.В. Представления нанайцев о мире // Природа и человек в религиозных представлениях народов Сибири и Севера. Л.: Наука, 1976. С. 129-161.(스몰랴크 1976, 나나이족의 세계관)

Головнёв А.В. Говорящие культуры. Традиции самодийцев и угров. Екатеринбург: Изд-во УрОРАН, 1995б. 600 с.(골로브뇨바, 사모예드 족과 우그리아족의 문화)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 울란디르크 계곡에는 스키타이 문화의 무덤이 8개 있다.
어떤 무덤이 가장 나중에 만들어졌을까?
우선 무덤이 가장 많은 울란디르크 I유적을 보자.

 

울란디르크 I 유적에서는 14기의 스키타이 문화 무덤 가운데서 열의 가장 마지막 무덤 3기 13~15호는 12호와 상당히 거리를 두고 있다. 이 유적을 발굴한 쿠바레프는 I유적에서 가장 뒤의 3기가 가장 늦게 만들어진 무덤이라고 생각한다. 무덤방의 구조와 말의 유무, 무덤의 두향 때문이다.

특히 13호에는 무덤방의 결구방식에 큰 차이가 있다. (울란디르크 계곡의 유적은 유스티드 계곡의 유적과는 결구 방식이 다른 무덤이 있다는 점은 이미 설명드린 바 있다)

 

13호의 무덤방은 북서벽->북동벽->남동벽->남서벽의 순서대로 만들어졌다. 이렇게 만들 수 있는 이유는 양 무덤방벽을 결구 할 때 나무기둥의 끝을 납작하게 다듬고 凹凸 모양(그림 2-b)을 내어서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림 1. 울란디르크 I유적의 13호 평면도와 유물

 

 

 

그림 2. 울란디르크 I유적의 13호 상부와 단면

 

앞서 살펴본 울란디르크 IV유적의 2호분은 무덤의 짧은벽(동서벽)위에 긴 벽(남북벽)을 결구한 것이다. 위에 올라가는 나무의 아랫단을 잘라내어서 하단의 나무기둥과 맞추어서 무덤방을 짠 것이다.

 

물론 13호의 무덤방의 나무기둥은 나무길이도 딱 맞게 잘라내었다. 그리고 그림에서는 표시가 잘 나지는 않지만 나무의 두께도 얇아진다.

 

 

15호에서도 13호와 비슷한 나무결구방식(그림 3)으로 무덤을 만들었다. 말은 매장되었으나 무덤구덩이 바닥이 아니라 약간 높은 위치에 묻혔는데(그림 4), 이에 대해서는 별다른 보고는 없었다. 이 말은 재갈멈치를 끼우는 고리가 방형에 가까운 청동재갈(그림 3-1)을 물고 있었다.

 

 

 

그림 3. 울란디르크 I유적의 15호 평면도와 유물

 

 

 

그림 4. 울란디르크 I유적의 15호 상부와 단면

 

 

14호는 13호, 15호와 나무 결구방식은 다르고, 이미 보았던 결구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쿠바레프는 이 유적에서 무덤방의 결구방식과 말의 매장 유무 외에도 무덤의 두향도 축조시점의 차이로 보았다. 아시다시피,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스키타이 무덤의 두향은 동향인데, 13~15호는 두향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다. 또 청동제 재갈(그림 5-2)과 장식성이 전혀 없는(그림 5-3) 재갈멈치도 이제까지 보왔던 재갈멈치와 다르다.

 

그래서 울란디르크 I유적의 끝에 붙은 3 무덤은 가장 늦은 시기로 기원전 2세기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보았다. 어쩌면 이미 스키타이 시대가 아니다.

 

 

 

그림 5. 울란디르크 I유적의 14호 평면도와 유물, 1-멧돼지 송곳니 모양의 굴레장식, 2-청동재갈, 3-목제 재갈멈치, 4-장식판, 5-항아리편, 6-목제 잔, 7-청동제 바늘, 8-목제 쟁반, 9-말의 턱뼈, 10-가죽장식, 11-목제 쟁반

 

 

 

그림 6. 울란디르크 I유적의 14호의 유물, 번호는 그림 5와 일치

 

청동재갈은 기원전 6~5세기 무덤(파지릭 유적 2호분, 투엑타 유적, 아크 알라하 3유적, 아크 알라하 1유적 등 그 외 다수)에서 주로 출토되었다. 베르흐 칼쥔 II유적의 3호분 남성의 말에서 처음 철제 재갈이 발견된 이후에는 계속 기원전 4~3세기까지 그리고 기원전 2세기에도 철제 재갈은 사용된다.

하지만 이 무덤에서 두향이 바뀌고 철제가 아닌 청동재갈은 스키타이 문화의 가장 마지막 시기의 무덤의 징표로 여겼다. 그리고 멧돼지 모양 송곳니와 함께 가장 오랫동안 사용된 유물로 보았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87 : Курганы Уландрыка. Новосибирск: 1987. 304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