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코카서스 남쪽의 우라르투는 기원전 8세기 중반에 가장 강성했었다고 알려졌다. 현재 터키의 반 호수 부근에 위치한 반 절벽 위에 요새를 지었고, 코카서스 남쪽까지 영역에 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르기쉬티 I세, 메뉴아와 그의 아들 사르두리 II세 때가 가장 강성했다(그림 1). 그리고 그때 문화적으로 가장 강성했던 것으로 알려졌는데, 문제는 여기서 생긴다.

 

 

그림 1. 기원전 8세기 중반 우라루투의 영역

 

많은 유물이 발굴로 인해서가 아니라 무덤에서 약탈해서 재판매 되고 세계의 박물관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출처를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다. 그리고 이들은 앗시리아의 것과 너무 유사하다. 브리티시 뮤지엄과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각각 일부 유물들이 보관되어 있다.

 

그림 2. 우라루투 왕좌의 왼쪽 장식, 날개달린청동황소, 에르미타주 박물관, 같은 유물로 왕좌의 오른쪽을 장식한 유물은 브리티시 뮤지엄에 보관되어 있다.

 

전해지는 쐐기문자는 우라루투의 것과 앗시리아 문자가 매우 흡사하고 하다. 테이시바이니 성곽이 있는 카미르 블루르 언덕 위에서 발굴된 유적에서 나온 청동화살통에는 사루두우리 II 세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전차를 타고 있는 모습인데, 앗시리아의 궁전벽화에서 보이는 모습과 매우 흡사하다.

 

그림 3. 카미르 블루르 유적 출토 청동 화살통

 

 

그림 4. 그림 3의 세부

 

뿐만 아니라 테이시바이니 성곽 유적에서 발견된 벽화는 흔히들 오리엔트의 문양으로 알려진 식물그림(그림 5)이 그려져 있다.

 

그림 5. 테이시바이니 성곽에서 발견된 식물그림

 

 

 

참고문헌

Дьяконов И.М. Урартские письма и документы. — Москва — Ленинград: Издательство АН СССР, 1963.(댜코노프, 1963, 우라루투의 글자와 문서)

Пиотровский Б.Б. Ванское царство (Урарту), Издательство Восточной литературы, Москва, 1959 (피오트로프스키 1959, 우라르트 반 왕조)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우랄 산맥의 남부를 흐르는 우랄 강변에는 카자흐스탄과 러시아가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데, 유적들에는 국경이 없다. 이 지역의 기원전 5~4세기경 유적들은 아주 낮게 무덤구덩이를 파고 거의 지상식 구조물을 만들고 그 위를 봉토로 만들어 덮었다. 특이하게 이 지역의 무덤에는 점토를 블록으로 만들거나 점토벽을 만들어서 무덤의 건축자재로 사용했다. 필리포프카 유적과 마찬가지로 베소바 유적에서도 목조구조물 주변을 점토벽으로 둘러쌓아서 만들었다.

 

스키타이 문화권 내에서 볼가-우랄 강변의 문화는 ‘사우로마트 문화’가 기원전 7세기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기원전 4세기 이후의 문화는 사르마트 문화라고 불리는데 좀 더 정확하게는 ‘후기 사르마트 문화’라고 하기도 하지만 ‘훈-사르마트 문화’ 그냥 ‘사르마트 문화’ 라고 부르는 사람도 많다. 후기 사르마트 문화부터 민족을 특정하는데 ‘훈’족의 문화라고 여겨진다. 후기 사르마트 문화는 스키타이 지역의 중심지 중에 한 곳인 흑해까지 퍼졌다는 것이 학계의 생각이다(그림 1).

그런데 사우로마트 문화와 사르마트 문화의 특징을 모두 보이는 유적이 필리포프카 유적이다. 기원전 5~4세기 이며 이를 일컬어 ‘초기 사르마트 문화’라고 하기도 하고 ‘사우로마트-사르마트 문화’ 혹은 ‘스키토-사르마트 문화’라고 한다(그림 1).

 

좀 답답한 경우는 스키타이 문화와 훈 족의 문화를 구분하지 않고 그냥 이 지역의 초기철기시대 이후의 문화 전체를 사르마트 문화라고 부르는 연구자들도 있다. 이해가 가는 면(다음에 설명하기로 한다)도 있기는 하지만 초기철기시대인 스키타이 시대와 훈의 시대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림 1. 스키타이 문화권(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의 각 지역 명칭과 연대

 

앞에서 필자는 ‘사우로마트-사르마트’ 문화라고 필리포프카 유적을 설명했는데, 좀 더 이해하기 쉬운 것은 ‘스키토-사르마트 문화’이다. 그래서 이 지역의 스키타이 시대 지역명칭을 스키토 –사르마트 문화 1기(기원전 7~5세기), 스키토-사르마트 문화 2기(기원전 5~4세기)라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후기 사르마트 문화는 훈-사르마트 문화라고 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학계에서도 불리는 용어이다. 좀 복잡하기는 하지만 지역명칭은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스키토-사르마트 문화는 러시아 문법상에 따른 것이고, 스키타이-사르마트 문화로 이해하면된다. 같은 예가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으로, 이미 한국학계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조금이나마 혼돈을 막기 위해서이다.]

 

우랄-볼가 강 유역의 유적들은 무덤구조에서는 흑해지역과 좀 더 유사하다. 흑해지역에서 발견되는 쿠르간은 기원전 7세기 켈레르메스 유적이나 코스트롬스카야 유적에서 지하로 매장구덩이를 파기는 했지만 목조구조물은 지상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필리포프카 유적, 베소바 유적 등의 무덤은 이 지역민의 아이디어로 축조되었다고 하는 것이 맞다. 그러나 그들도 네트워크가 있었을 것이고 선진 지역과 소통하기 위해서 낙타장식과 같은 동물장식을 사용했을 것이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런 유물이 또 하나 있는데 석제로 만든 쟁반이다. 베소바 유적에서는 원형과 장방형의 석제 쟁반이 무덤 속에서 출토되었다(그림 2).

2021.07.06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중부/타스몰라 문화] -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나무쟁반, 돌쟁반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나무쟁반, 돌쟁반

유라시아 초원의 스키타이 문화권은 기원전 9세기부터 아르잔-1호를 기준으로 시작되지만 실제로 초원의 각 지역에 여러 유적이 발견되는 되면서 문화의 실체가 드러나는 기원전 7~4세기이다.

eastsearoad.tistory.com

그림 2. 베소바 유적의 제사용기, 카디르바예프는 이를 석제 제단이라고 했지만, 제사용기가 좀 더 자연스럽다.

 

인접한 타스몰라 문화에서 석제와 나무로 만든 쟁반이 발견되었는데, 베소바 유적에서는 다리가 붙어서 다른 형식이다. 다리가 붙은 나무쟁반은 알타이(파지르크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소재가 다르기 때문에 전혀 다른 유물처럼 보이지만 사용방법은 같았을 것이다. 필리포프카 유적에서는 나무그릇에 붙이기 위한 장식판이 대량으로 출토되었다.

 

그렇다면 석제 쟁반이나 금장식을 붙인 나무그릇은 스키토-사르마트 문화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으며, 동물문양 장식과 같이 스키타이 문화권을 묶는 공통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나중에 논문으로 밝히겠지만 스키타이 3요소 외에도 스키타이 문화권을 연결하는 문화적 유물 중에 하나는 그릇이다]

 

즉 우랄-볼가강 유역의 스키타이-사르마트 문화는 지역적 특징이 강하기는 하지만 스키타이 문화권의 특징적인 유물인 동물장식 뿐만 아니라 제사용기도 지역적 특징에 맞게 고안해서 만들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Кадырбаев М.К. Каменные алтари–жертвенники из Северо–Западного Казахстана // Советская археология. – Москва: Наука, 1977. – № 3. – С. 204–213. (카디르바예프 1977, 카자흐스탄 북서 지역에서 나온 석제 제단)

Степная полоса азиат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 1992 (스키토-사르마트 시기의 소비에트 연방 내의 아시아 초원지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그에 있는 에르미타주 박물관에는 표트르 1세가 수집한 시베리아 황금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이 유물은 18세기 초반에 수집된 유물로 발굴되지 않아서 정확하게 어디서 출토되었는지 모른다. 다만 당시 시베리아 총독이었던 가가린이 표트르 1세에게 보내기 시작했고, 그를 통해서 유물은 황제에게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정확하게 어떤 유적인지는 알 수 없으나 출토지가 시베리아인 점은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유물로 추정하는 것은 몸을 말고 있는 호랑이(혹은 표범) 장식이다. 필자가 이미 이 유물에 대해서는 소개한 바 있다. 이 유물이 가장 이르다고 생각할 수 있게 한 계기가 된 유적은 시베리아의 투바에 위치한 아르잔 유적의 1호분이다.

 

 

그림 1. 지도에서 보라색 표시가 있는 곳이 아르잔이 위치한 곳이다. 필자가 앞에서 지도를 링크해 둔 적이 있는데, 이를 찾아서 들어가면 필자의 지도를 공유할 수 있다.

 

이 유적은 스키타이 문화에서 가장 이른 시기로 기원전 9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근거는 무덤의 소재가 된 통나무 6000개이다. 1호는 1971~1974년에 발굴되었다. 이제까지 소개해 드린 우코크 고원(아크 알라하 3유적, 아크 알라하 1유적)과 파지릭 계곡(파지릭 유적의 1호분, 2호분, 5호분) 보다 최소한 300년~400년은 빠른 무덤이다. 연대차이가 있기 때문에 무덤 구조가 차이가 크다. 아르잔 1호는 무덤의 직경이 120m가 넘어서 아직도 구글지도(그림 2)에 흔적이 남아 있다. 호석(무덤 주변을 두른 돌)의 흔적으로 보인다.

 

그림 2. 아르잔 유적의 무덤, 아직도 무덤 주위의 흔적이 희미하게 둥글게 남아 있다. 그림3-1과 비교해 보면 도로와 앞에 있는 건물의 위치가 그대로 임을 알 수 있다.

 

그림 3. 아르잔 유적 발굴 모습, 1- 전경, 2- 무덤방 7호의 가장자리에 놓인 통나무, 3-무덤방 3번의 말, 4-무덤천장덮개를 제거한 후 무덤방 26b, 5-무덤 봉분을 제거 한 후 드러난 무덤방의 모습, 동->북동방향

 

아르잔 유적 1호분이 책으로 출간된 것은 1980년이고 발굴책임자인 그랴즈노프가 출판했다. 그랴즈노프는 ‘아르잔’ 유적이 있는 곳(해발 1050m)은 주변이 높은 산지로 둘러싸인 계곡인데, 왕의 계곡이라고 불렀다. 아르잔은 이 곳의 마을 이름인데, 마을에서 서쪽으로 반경 4km 내에 6개의 무덤이 줄을 서서 있다고 한다(그림 4-1). 또한 마을에서 서쪽으로 4-5km 에는 무덤 11기, 6km 떨어진 곳에는 무덤이 3개 확인되었다.

 

그림 4-1에서 7번 지점에는 2줄 로 3km 가량 무덤이 열을 이루고 있는데 각각 13개, 12개가 확인되었다.

 

아르잔 마을 주변의 많은 무덤 가운데서 가장 특별하고 가장 눈에 띄고 단독으로 있는 무덤은 그림 4-1에서 1, 2, 8번이다. 2번이 먼저 발굴되어 아르잔 1호로 명명되었고, 1번이 아르잔 2호이다. 직경 120m, 높이 3~4m로 워낙 직경이 크고 무덤의 봉분이 완만해서 잘 눈에 띄지 않았다. 

 

그림 4. 아르잔 유적, 1- 아르잔 마을 주변에서 확인되는 무덤(2~8번 숫자가 적힌 것이 마을에서 서쪽으로 반경 4km 내의 무덤이다), 2-아르잔 1호분의 봉분과 주변의 제사유구.

 

아르잔 1호 주변 무덤의 남동쪽에는 2~3줄의 원형 돌무더기가 무덤을 둘러싸고 있었다(그림 4-2). 이 곳을 발굴한 결과 일정한 크기로 비슷한 간격으로 돌 무더기가 열을 이루고 있었는데, 일종의 제사유구(그림 5)로 생각된다.

 

 

그림 5. 아르잔 1유적의 외곽, 그림 4-2에서 A부분.

 

참고문헌

 

그랴즈노프 1980, М.П. Грязнов, 1980, Аржан. Царский курган раннескифского времени. (그랴즈노프 1980, 스키타이 초기의 차르 무덤, 아르잔)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500년 전 시베리아 알타이 남부의 파지릭 5호분에서는 펠트로 제작된 대형 캐노피가 확인되었다. 그 외에도 양모를 짠 카펫도 출토되었다. 200×185cm 이다(그림 1).

 

 가장 내부에는 긴네모꼴 안에 십자형 도형 24개(가로 4, 세로 6개)가 표현되었다(그림 2). 십자형 도형으로 보이지만, 연꽃봉우리가 4잎으로 도식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이 연꽃 봉우리 모양은 동물문양장식을 표현한 뒤에 다시 보인다.

 이 연꽃봉우리 밖에는 그리핀이 표현되어 있는데, 머리는 뒤로 젖히고, 날개 및 꼬리가 위로 올라가게 한 것이다. 그리핀 다음에는 큰 뿔이 달린 사슴(혹은 순록) 이 표현되었다. 그 다음에는 말탄 전사가 표현되었는데, 각 면에 7개씩 49개가 표현되었다. 말은 목을 구부리게 표현되었고, 머리에는 깃털을 장식하고, 코리는 활로 묶여 있다. 무늬가 있는 안장 덮개가 표현되었다. 가장 마지막에는 다시 그리핀 모양을 반복해서 그리고 있다. 이 카펫에는 3종류의 동물이 등장한다.

 

그림 1. 파지릭 5호 출토, 카펫

 

그림 2. 파지릭 5호 출토 카펫의 세부(그림 1과 동일)

 

고대 이란의 표현된다고 한다. 알타이에서 확인되는 그리핀은 독수리의 머리와 목에 갈기를 표현하는 것이 인기가 있었는데, 그와는 다른 모습이다. 이 카펫에 표현된 그리핀은 페르시아의 아케메니드에서 일반적인 것이었다(제이말, 1979).

뿐만 아니라 그리스와 이란에서는 안장이 없어서 유라시아 유목민에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한다.

 

말 장식, 전사의 모습과 의복, 목을 구부린 말의 표현등은 아무다리야 유적에서 출토된 황금 봉헌 판에 있는 유목민의 인물 이미지와 유사하다(제이말 1979).

 

이 유물은 양모의 털로 씨실과 날씰을 교차해서 짠 것이다. 그런데 실을 만드는 털 가운데는 아주 소량으로 죽은 양의 털을 이용한 흔적을 코노노프(루덴코 1968)가 확인했고 후에 미콜라이축(1999)도 다시 확인했다.

 

이 유물에 대해서 그랴즈노프와 루덴코는 알타이에서 제작되었다고 생각했다(루덴코 1961). 온갖 종류를 다 응용하는 고대 이 지역의 전통은 유목민에게서 시작되었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알타이 유목민의 기술로 제작될 수 없었고, 이란에서 만들어졌다고 생각하는 아르타모프(1973)도 있었다.

 

2500년 전 시베리아 알타이는 아마도 그 당시 세상 문화의 중심이었다는 생각밖에는 들지 않는다.

 

참고문헌

아르타모프 1973Артамонов М.И. Сокровища саков. М.: Искусство, 1973. 279 с.(아르타모프 1973, 사카족의 부(富)

제이말 1979 Зеймаль Е.В. Амударьинский клад: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Л.: Искусство, 1979. С. 39, 44, 51-52, 64.(제이말 1973, 아무다르 유적: 전시회도록)

미콜라이축 1999 Миколайчук Е.А. Исследование физико-хим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ворсового шерстяного ковра из пятого Пазырыкского кургана // Реставрационный сб. СПб.: АО «Славия», 1999. Вып. 2. С. 13-17. (미콜라이축 1999, 파지릭 유적의 5호에서 출토된 카펫의 화학적 분석

루덴코 1961, Руденко С.И. Искусство Алтая и Передней Азии (середина I тыс. до н.э.). М.: Издат. фирма РАН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1961. 66 с.(루덴코 1961, 알타이와 근동의 예술)

루덴코 1968 Руденко С.И. Древнейшие в мире художественные ковры и ткани. М.: Искусство, 1968. 121 с.(루덴코 1968, 고대 예술적인 양탄자와 직조물)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