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0. 12. 10. 13:08 아무다리야 퇴장유적

 

아무다리야 퇴장지 유물 가운데 스키타이 스타일과 제작기술로 만들어진 유물은 8점으로 파악된다.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사 현미경을 사용해서 분석한 결과이다(Scythians 2017).

www.google.com/maps/d/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동물장식이 있는 개방형 금팔찌, 그리핀 장식, 반지, 활 통 장식물, 원판형 유물 3점(동물문양, 동물의 얼굴, 도깨비? 얼굴이 그려짐)이다. 그 중에서 어제 소개한 개방형 금팔찌는 주조해서(거푸집이용) 제작되었지만 이를 제외하고는 모두 금판과 금으로 된 선(와이어)을 손으로 가공해서 만든 것이다. 금판은 원하는 모양과 두께로 망치질 되었고, 앞면과 뒷면 모두 잔 손질을 해서 납작한 금판을 입체적인 디자인으로 만든 것이다. 금속은 해머링(망치질)과 가열냉각(annealing)을 통해서 모양이 변형되었다. 망치질에 의해서 생성된 내부 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금속을 수백도까지 가열했다가 다시 식히는 것을 반복한 것이다. 그러면 금속은 연화되고 균열없이 금속의 형태가 변형되어 다른 형태로 보일 수 있다.

 

사자그리핀의 꼬리도 따로 부친 것이 아니라 두드려서 만든 것이다. 금판을 뒤에서 망치로 두드리는 금속작업을 reposse(push)라고 하는데, 체이싱 기법과 함께 결합해서 많이 사용된다. 체이싱(chasing)기법은 금표면을 따라 무딘 날이 있는 송곳을 이용해서 부드럽게 두드려서 윤곽을 만들고 장식을 하기 위해서 금속을 아주 얇게 깍아내는 방법이다. 이 체이싱방법은 스키타이 금제 유물을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중에 하나이다.

 

그림 1. 아무다리야 유적의 사자 그리핀, 길이 6.16g, 금 77%, 은 20%, 구리 3%

 

 

 

또 하나의 기술은 유물을 더 세밀하게 보이도록 하는 펀칭방법이다. 펀칭 방법은 기원전 1천년 중반에 모든 금제 공인들이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스키타이 유물에는 좀 더 특수한 방법을 이용했다. 예를 들면 맹수장식 묘사된 반지이다. 이 유물은 금판 자체가 은의 함량이 높아서 다른 원판형 유물에 비해서 더 두꺼운 판으로 앞면은 체이싱기법을 이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해서 금속을 절단해서 제작되었다. 이 유물은 뒷면에서 누르기 기법을 이용하지 않고 앞쪽에서 작업해서 동물모양을 입체감 있게 표현했다.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가장자리는 날카롭게 절단되어 있다. 호랑이는 몸을 말고 있지만 날개가 있는 모습으로 그리핀이다. 날개부위에 절단한 흔적이 잘 남아 있다.

 

 

그림 2. 아무다리야 유적에서 출토된 반지, 몸을 말고 있는 날개 달린 호랑이, 그리핀, 직경 2.5cm, 무게 10.5g, 

아래의 사진에서 잘라내고, 깍아낸 흔적이 그대로 보인다.

.

 

사자는 페르시아의 상징적인 동물이지만 이 유적에서 발견된 사자 그리핀은 스키타이 금속 기술로 제작된 유물이다. 사자 그리핀이 출토되었다고 모두 페르시아의 영향으로만 보기는 힘들다. 이 유물은 파지리크 유적 2호의 여성 미라의 목제 목걸이 장식 그리핀과 특히 유사해서 일찍부터 주목을 받았다.

 

2020/03/28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문화 동쪽/파지릭 유적 2호분] - 알타이의 2500년 전 뿔 달린 그리핀

 

알타이의 2500년 전 뿔 달린 그리핀

시베리아의 알타이 산의 2500년 전 파지릭 유적의 무덤에는 이미 누군가에 의해서 도굴당했지만 상당히 유물이 많이 남아 있다. 1940년대 후반에 발굴된 이 유적의 무덤은 1990년대 발굴된 아크 알

eastsearoad.tistory.com

물론 초창기 연구들은 사자는 페르시아의 영향으로 해석되기는 했으나 최근에는 유물 자체의 제작기술을 살펴보면서 좀 더 다양한 시각이 생겨나는 것 같다.

사자 그리핀의 용도는 뒷면에 2개의 길다란 핀으로 보아서 여성의 머리장식으로 보았으나, 뒤에 달린 핀이 납땜으로 아주 단단하게 고정된 점으로 보아서 펠트제 고깔모자장식이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

 

참고문헌

Scythians: warriors of ancient Siberia. [British Museum. The BP exhibition. Organized with the State Hermitage Museum, St Petersburg, Russia] Ed. by St John Simpson and Dr Svetlana Pankova. London: Thames & Hudson Ltd. 2017. 312~319 p.

Е.В. Зеймаль 1979, Амударьинский клад: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제이말 1979, 아무다르리아 퇴장지: 전시도록, 에르미타주 박물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아무다리야 퇴장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체 불명의 금속 그릇  (0) 2020.12.12
누구 일까요?  (0) 2020.12.11
스키타이 동물장식 팔찌  (0) 2020.12.09
페르시아에 간 스키타이 남성  (0) 2020.12.08
기원전 5세기 그리핀 팔찌  (0) 2020.12.07
posted by 김재윤23
2020. 12. 9. 13:03 아무다리야 퇴장유적

아무다리야 퇴장유적은 현재로는 타지기스탄과 아파카니스탄의 국경에 위치한 곳으로 이 강의 우안에 위치해서 타지기스탄 국경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이곳에는 발견된 황금유물은 그레코-박트리아, 페르시아, 스키타이 동물 스타일로 제작되었다. 스키타이 동물장식은 어디에서 볼 수 있을까?

아무다리야 퇴장 유적에서는 팔찌가 대량 출토된다. 여러 번 감을 수 있도록 코일모양으로 된 것과 한쪽이 떨어져 있는 스타일이 있는데 모두 동물문양으로 장식된 것이다.

그 중에서 한쪽이 떨어져 있는 스타일(개방형 팔찌)로 그리핀(사자얼굴+산염소뿔+날개)이 가장 유명하다.

 

그런데 왜 다른 이들은 페르세폴리스의 스키타이 대표단이 들고 있는 팔찌와 비슷한 유물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이 유물은 개방형 팔찌 중에서도 차이가 있다. 대부분 몸통은 매끈하게 처리하고 끝에만 동물을 장식하는데, 이 유물은 전면에 문양이 표현되었다. 어떻게 제작되었을까?

 

그림 1. 아무다리야 퇴장유적의 스키타이 팔찌는 2점이 발견되었다. 크기는 동일하지만 무게는 미세하게 차이가 있다. 직경 7.9cm, 무게 128. 04g, 무게 129. 34g

 

그림 2. 아무다리야 퇴장유적의 스키타이 팔찌, 그림1과 동일

 

 

그림3. 아파다나 궁전에 묘사된 스키타이 대표단

 

팔찌 모양의 거푸집을 이용해서 금속물을 부어 주조해서 만들어졌다. 특히 복잡한 눈, 귀과 같은 곳은 먼저 만들었을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몸통에 미세한 표현을 위해서 표면을 누르는 과정을 통해서 제작되었다. 주조해서 만들었다는 사실은 두 개의 팔찌 크기가 같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무게는 1g 미만으로 차이가 있는데, 주조 한 뒤에 몸통에서 세밀하게 마연하면서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

아파다나 궁전 벽의 스키타이 대표단이 들고 있는 팔찌도 몸통에 음각이 있고 두 동물이 머리를 맞대고 있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아무다리야 퇴장지의 유물을 가장 먼저 연구한 달턴(O.Dalton)(1905)은 이 유물은 스키타이 동물양식이라고 했다. 흑해 쿠반 지역에 있는 카진스코예 유적의 목걸이 장식에서 비슷한 동물장식이 있다는 점이 그 근거이다.

바르코바(1928)는 이 동물을 곰이라고 해석한 바 있으나, 늑대라는 의견(Scythians 2017)도 있다. 주로 동물의 주둥이가 튀어나온 맹수는 늑대로 보는 페레보드치코바의 의견을 참고로 한 것 같다.

20세기 초 달턴은 아무다리야 퇴장 유물이 대부분 기원전 4~3세기의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르타모노프(1973)는 시베리아 황금유물 컬렉션의 코일모양과 개방형 팔찌과 비교해서 기원전 4세기로 생각했다. 2017년 영국박물관에서 열린 스키타이 유물 특별전에서는 기원전 5~4세기 유물로 소개되었다.

 

 

 

<참고문헌>

Dalton O.M. The Treasure of the Oxus with Other Objects from Ancient Persia and India Bequeathed to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by Sir Augustus Wollaston Franks. London, 1905.

Borovka G, 1928, Scythian art, London

Scythians: warriors of ancient Siberia. [British Museum. The BP exhibition. Organized with the State Hermitage Museum, St Petersburg, Russia] Ed. by St John Simpson and Dr Svetlana Pankova. London: Thames & Hudson Ltd. 2017. 368 p.

Артамонов М.И. 1973 : Сокровища саков. М.: 1973. 280 с.(아르타모노프 1973, 사카족의 보물)

Е.В. Зеймаль 1979, Амударьинский клад: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제이말 1979, 아무다르리아 퇴장지: 전시도록, 에르미타주 박물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0. 12. 8. 12:50 아무다리야 퇴장유적

 

아무다리야 유적에서는 남성인물상이 표현된 유물이 많이 확인된다. 후기구석기시대 이래로 유적에서 출토되는 인간형상물은 여성이 많지만, 아무다리야 유적에서는 남성들이 대부분이다. 입체상과 평면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평면상은 금판에 남성이 새겨진 것인데 모두 43점이 확인되었고 크기는 제각각이다. 모두 같은 스타일의 남성이 아니라 의상이 달라서 다양한 민족을 표상하고 있다. 제작된 기술의 수준도 같지 않고 어떤 유물은 세밀하고 어떤 유물은 대충 그린 것도 있다.

 

그 중에서 스키타이 남성전사도 포함되는데, 가장 잘 묘사되고 가장 큰 평면판에 새겨진 남성 이다(그림1, 그림 3). 고깔모자를 쓰고 있고, 통이 넓은 바지에 발목은 끈으로 조여 강조했으며 부드러운 부츠를 신고 있었다. 상의는 무릎까지 오는 긴 상의에 소매가 꽉 끼는 카파탄 종류와 키르바스(어깨 부위가 뒤로 젖혀짐) 스타일을 겹쳐 입은 듯 하다. 허리에 벨트를 하고 있었다. 이 남성은 턱수염을 길렀다. 오른쪽에는 스키타이 인의 단검인 아키나크를 차고 있었는데, 검집과 벨트로 연결되는 부위가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같은 형태의 검은 멜구노프와 켈레르메스 유적 등 흑해 스키타이 유적에서 확인되었고 이 유물이 확인된 아무다리야 퇴장지에서도 1점 발견되었다(그림 1). 스키타이 남성들은 대부분 턱수염을 기른채 여기저기서 확인된다. 쿨-오바에서 출토된 황금항아리 등에서 확인가능하다.  알타이의 파지리크 2호에서는 턱수염만 따로 발견되기도 했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턱수염을 기르는 것이 일종의 스키타이 특징으로 보았다. 

 

오른손에 들고 있는 것은 불을 피우기 위한 혹은 불을 옮기기 위한 장면으로 생각하는데, 이 사람은 성직자 혹은 마술사일 것으로 추정한다(커닝햄 1881, 아르타모노프 1973). 43점의 평면판에 새겨진 남성들은 모두 손에 무엇인가를 들고 있는데, 막대기를 들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다.

 

같은 형상(고깔모자, 아키나크 검)의 스키타이 인들이 페르세폴리스 아파다나 궁전의 동쪽벽에서도 확인된다(그림 2). 아파다나 궁전 외에도 다리우스 무덤의 비문에 스키타이 남성에 대한 그림과 설명이 있다. 페르세폴르스 근처의 다리우스 무덤의 비문에는 Saki-tigrahauda, Saki-haumavarka, Saki-taradaraya의 세 그룹의 사카족(스키타이 문화권에서 중앙아시아에 있던 민족)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무덤입구의 부조에 그림이 묘사되어 있고 비문설명에도 남아 있는데, 제일 처음의 그룹은 뾰족한 모자를 쓰고 있었다. (아르타모노프 1973).

 

그림 1. 아무다리야 퇴장지 출토 평면판에 새겨진 스키타이 남성

 

그림 2. 페르세폴리스 아파다나 궁전의 동쪽벽, 스키타이 대표단

 

그림 3. 아무다리야 퇴장지 출토 평면 금판

 

이 유물은 길이가 15cm인데, 인간형상물이 그려진 평면금판은 크기가 각기 다르다(그림 3). Barnett(1968)은 구부러진 흔적(우측 하단)이 있는 것으로 보아서 건축물(사원)의 틈새나 용기 안에 넣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리시만은 아무다리야 퇴장지가 일종의 신전 혹은 사원이며 신자들이 봉헌 제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했다(제이말 1979).

 그런데 이 평면판들이 같은 수준에서 제작된 것이 아니어서 같은 시대에 제작되었는지에 대한 의심도 있다. 그러나 Barnett는 금이 풍부한 중앙아시아에서 충분히 제작될 수 있었다고 보았다. 

 

 

 

 

참고문헌

 

Barnett R. The Art of Bactria and the Treasure of the Oxus. — «Iranica Antiqua», Leiden, 1968, vol. 8, p. 34-53, pl. II-XIV.

Е.В. Зеймаль 1979, Амударьинский клад: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제이말 1979, 아무다르리아 퇴장지: 전시도록, 에르미타주 박물관)

Артамонов М.И. 1973 : Сокровища саков. М.: 1973. 280 с.(아르타모노프 1973, 사카족의 보물)

https://commons.wikimedia.org/wiki/Category:Oxus_Treasure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0. 12. 7. 13:15 아무다리야 퇴장유적

아무다리야 퇴장지 유적으로 알려진 유물의 대부분은 금과 은으로 만들어진 인간형상물(입체), 팔찌와 목걸이, 반지, 원판형 장식판, 평면금판(인간형상). 토기, 동전 등 1300여점이 알려졌다. 주석 청동으로 제작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동전은 기원전 5~4세기 페르시아에서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유적의 연대가 이와 비슷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대부분 동전 때문에 유적의 연대가 여기에 고정되었다고 생각하지만, 필자는 동전으로 연대를 추정하는 것은 매우 불명확하다고 생각한다.)

 

 

아무다리야 퇴장지 유적을 대표하는 그리핀이 달려 있는 팔찌는 쌍으로 존재한다. 크기가 미세하게 차이가 있다.

그리핀은 기본적으로 사자의 날개에 맹금류의 날개와 부리, 산염소 뿔과 귀를 합성한 것이다. 몸통, 날개, 목, 머리, 뿔의 표면에는 작은 홈이 있는데, 상감을 위한 것이다. 딱 한 곳에서 라피스라줄리(청금석)이 박힌 것이 확인되어서, 그리핀의 홈에는 청금석을 박아 넣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1 보다 약간 큰 팔찌(그림 2)는 British museum에 소장되어 있지 않고, Victoria and Albert Museum(그림 2)에 소장되었다.

 

 

그림 1. 아무다리야 퇴장지 유적, 높이 12.3cm, 11.5cm, 무게 364.17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Category:Oxus_Treasure

 

그림 2. 아무다리야 퇴장지 유적, 높이 12.6cm, 11.8cm, 무게 395.2g

 

그림 3. 페르세폴리스의 동쪽벽 그림

 

두 팔찌는  팔찌의 모양(오메가 모양), 제조기술 모두 페르시아의 아케메니드시대의 것으로 추정한다. 가장 큰 근거는 아파다나 궁전의 동쪽 계단에 거의 비슷한 모양의 팔찌를 들고 시리아(Schmidt 1953) 혹은 리디아(바르네트) 대표단이 왕에게 선물하는 장면이다.

그런데 제이말은 아파다나 동쪽 계단의 조각만으로 이 팔찌의 기원을 알기는 힘들다고 생각했다. 같은 대표단이 아파다나 북쪽 계단에는 다른형상의 팔찌를 들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 작가인 Xenophon(기원전 430년 생)은 페르시아 궁정에서 명예의 선물로 간주되는 품목 가운데 팔찌가 있었다고 기록한 바 있다.

 

두 팔찌가 다른 곳에 소장된 이유는 처음 입수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1880년 5월에 Barton F.선장이 라와핀디로 운반하던 상인들로부터 유물 중에 일부를 획득했고 이를 1884년에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에 팔았다. 영국박물관의 아무다리야 퇴장지 유물은 A. Cunningham과 O. Franks가 구매한 것이었지만 최초로 상인들과 접촉한 테진 계곡을 경비하던 영국선장 F. Barton이 몰래 판 것은 빅토리아 알버트 뮤지엄으로 팔려갔다. 커닝햄은 인도고고학 책임조사원이었고, 프랭크스는 골동품수집가이자 영국박물관British museum의 연구원이었다. 커닝햄이 죽고 그의 유언으로 프랭크스가 그들이 사 모은 컬렉션(아무다리야 퇴장지 유물)을 연구했다. 커닝햄이 죽고 나서 2년 뒤에 프랭크스가 죽으면서 브리티시 뮤지엄에 기부했다.

 

아무다리야 퇴장지 유물은 페르시아, 그레코-박트리아, 스키타이 동물스타일이 모두 확인된다. 특히 아케메니드 금제품의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2007년 부터 타지기스탄 정부에서는 이 유물의 반환요청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참고문헌

Е.В. Зеймаль 1979, Амударьинский клад: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제이말 1979, 아무다르리아 퇴장지: 전시도록, 에르미타주 박물관)

https://commons.wikimedia.org/wiki/Category:Oxus_Treasure

http://collections.vam.ac.uk/

J. Curtis, N. Tallis. Forgotten empire: the world of ancient Persia (неопр.).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미누신스크 분지의 스키타이 문화인 타가르 문화에서 그리핀도 원형의 맹수장식처럼 유사하지만 뚜렷하지 못하다. 주로 그리핀의 머리만 묘사된 것으로 청동검이나 청동칼의 끝장식으로도 사용되고, 청동투부(전투용도끼)에도 장식되었다.

 

타가르 문화의 그리핀은 독수리 머리에 귀가 달린 형태이다. 원형맹수장식과 마찬가지로 기원전 6세기에 주로 유행했다. 두 마리 그리핀이 서로 얼굴을 마주보는 장면인데, 같은 구도로 산양이나 산염소로도 제작되었다. 알타이의 기원전 6세기 바샤다르 유적과 투엑타 유적에서 그리핀의 형상으로 나타난 구름문양(그림 1-32,33,34)이 이 유적에서도 확인된다.

 

그림 1. 타가르 문화의 그리핀 머리 장식

 

기원전 6세기 투엑타 유적 1호에서는 가죽으로 된 안장장식(그림 2-1)에 십자형 구도의 그리핀이 발견된 바 있다(바르코바 1987). 비슷한 유물이 타가르 문화(그림 2-3,4)에서도 확인되었는데, 구도만 비슷하지 묘사된 동물은 다르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타가르 문화보다 먼저 있었던 기원전 7세기 중반 아르잔-2 유적 모두 그리핀은 말의 굴레장식 혹은 말과 관련된 유물에서 발견되었다. 알타이의 기원전 6세기 투엑타 유적과 바샤다르 유적도 마찬가지로 말의 굴레장식 혹은 말의 안장장식으로 사용되었고, 기원전 5세기에도 마찬가지이다.

타가르 문화에서 그리핀은 무기의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무기 장식이 아닌 유물은 청동장식물이지만 그리핀의 표현이 검, 칼, 투부에 표현된 것보다는 훨씬 불분명하다.

결국 스키타이 문화 중에서 저지대 타가르 문화에서는 그리핀도 대체품으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

 

그림 2. 십자형 구도의 그리핀과 동물문양장식(김재윤 편집)

 

십자형 구도의 그리핀은 투바의 주레르긴그-호부즈-1(그림 2-2)유적과 타지기스탄의 무가브 강 유역에서 확인된 곤쿠르 유적(그림 2-6)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바르코바 1987). 현재의 타지기스탄에는 타가르 문화에서 확인된 서로 마주보고 있는 그리핀이 팔찌에 감겨서 출토된 바 있는데(그림 3) 아무다리아 강의 상류에 위치한 아무다리아 퇴장지 유적이다. 아무다리아 강은 시르다니아 강과 함께 천산산맥에서 발원해서 아랄해로 흘러가는 큰 강이다.

 

그림 3. 아무다리아 퇴장유적의 특별전 전시도록 표지(제이말 1979)

 

유적은 1876년과 1880년 사이에 아무다리아 강 북쪽 기슭에서 발견된 것으로만 알려졌지 정확한 위치는 모른다. 현재 이곳은 타지기스탄 국경 내에 있다. 이 유적은 도굴당했고, 캐러번 상인들이 당시 영국령의 인도(현재의 파키스탄)에서 팔았는데, 영국의 골동품 수집가 Augustus Wollston Franks가 구매해서 1897년 영국박물관에 자신의 컬렉션을 기증했다. 이 컬렉션은 ‘Oxus treasure’라고 불리는데, 아무다리아 강의 고대 그리스 이름‘Amu-Darya-Oxus’에서 딴 것이다.

 

 

참고문헌

Членова Н.Л. 1967, Происхождение и ранняя история племён тагарской культуры. М.;Л., 1967.(츨레노바 1967, 타가르 문화의 기원)

Баркова Л.Л. 1987 : Образ орлиноголового грифона в искусстве древнего Алтая (по материалам Больших Алтайских курганов). // АСГЭ. [Вып.] 28. Л.: 1987. С. 5-29.(바르코바, 1987, 고대 알타아의 독수리머리 그리핀의 형태분석)

Е.В. Зеймаль 1979, Амударьинский клад: каталог выставки (제이말 1979, 아무다르리아 퇴장지: 전시도록, 에르미타주 박물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