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후기구석기시대 유적 이후로 흑해 부근을 비롯한 동유럽에서는 순동시대인 쿠쿠테니-트리폴리예 문화에서 인간형상물이 집 속에서 발견된다. 사바티노프카(Саватиновка,Savatinovka) II유적은 취락 유적으로 1호 주거지(그림 10-1,2)는 의례 공간으로 추정되는 공간에서 인간형상물 32점이 발견되었다. 모두 여성형상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형태이다. 여성의 둔부가 강조되었고 온몸에 삼각형 문양이 장식되었다. 1점을 제외하고는 팔이 없으며, 얼굴 표현도 일반적인 인간의 눈, , 입과는 다르다. 팔이 있는 여성상 1점은 뱀을 앉고 있다(부르도 2018, 그림 10-3~8).

 

 

베르나세프카(Бернашевка, Bernashevka)유적도 주거지 6기가 발견된 마을 유적이다. 드네프르강 범람원의 하상 단구대에 위치하는데, 마을의 중앙에 위치한 주거지에서만 유일하게 화덕자리가 있고, 여성형상물이 출토되었다. 사바타니프카 II유적과는 다르게 집안의 곳곳에서 여성형상물들이 발견되었다. 다리를 모은채 둔부가 매우 강조된 앉아 있는 모습이다.

 

쿠쿠테니 트리폴리예 문화의 후기(6000~5000년 전)가 되면서 여성형상물이 무덤 속에서 발견되기 시작한다. 유일한 예이기는 하지만 비트바틴트시 유적에서는 9~10세 여성의 무덤에서 여성형상물이 발견된다. 무덤에서는 토광은 발견되지 않았고 인골과 토기 및 여성형상물 3점이 발견되었다. 이 여성형상물은 얼굴, 몸통, 사지를 구분하고 있지만 막대기처럼 뻣뻣하게 표현되었다. 다리를 붙이고 있으며 특정부위를 강조하지는 않았다. 하반신에 Y존이 뚜렷하고 가슴을 표현해서 여성을 형상화 한 것이라는 점은 알 수 있다. 얼굴표현은 역시 알 수 없다(그림 11). 죽은 이가 어린 여자아이기 때문에 2차 성징이 드러나기 전이라면, 소녀를 기리기 위해서 혹은 소녀를 다시 만나기 위해서 만들었을 수 있지만, 누가 알겠는가?

 

 

 

그림 11. 쿠쿠테니 트리폴리예 문화 후기의 여성형상물

 

 

여성형상물이 집에서 무덤으로 묻어둔 장소가 변화됨과 동시에 유물의 형태에도 변화가 생긴다. 앉아 있는 모습으로 둔부가 매우 강조되고 온몸에 문양이 있는 여성형상물에서 후기가 되면서 몸에 문양은 없어지고 둔부는 강조되지 않는다. 하지만 알 수 없는 얼굴표현이나 다리를 붙인 모습과 Y존을 강조하는 모습은 유지된다. 쿠쿠테니 트리폴리예 문화의 후기부터 무덤에 여성형상물을 부장하기 시작하면서, 여성을 다산의 상징으로 보던 시각에 변화가 있었을 수 있다.

 

 

참고문헌

김재윤 2023,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미라’와 ‘여신상’: 전통의 시작부터 극대화까지」, 『한국의 고고학』, 58호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10. 18. 12:04 고깔모자와 코트

유라시아 서부지역에 철기시대 스키타이 문화는 기원전 7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존재했으며, 현재의 이란에는 앗시리아부터 페르시아 제국이 존재했다. 그래서 스키타이 문화와 고대 이란 국가는 서로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양 지역 모두 동물문양장식을 이용한다. 하지만 자연환경이 다르고 그곳에 살수 있는 동물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선호하는 문양에도 차이가 있다.

 

기원전 7세기 코카서스 북쪽의 쿠반강에는 켈레르메스라고 하는 무덤이 만들어졌다. 무덤은 20세기 초에 발굴했는데, 이미 많은 유물이 유실된 상태였다. 하지만 스키타이 문화가 얼마나 인접한 국가와 영향을 받았는지 잘 알 수 있게 하는 소중한 자료이다. 코카서스 남쪽의 아나톨리 지역의 우라르투, 앗시리아, 그리스의 유물과 스키타이 문화 유물까지 그나마 남아 있다.

특히 앗시리아의 유물은 금으로 된 잔과 투부, 의자 장식들이 남아 있었다. 이들은 수입품이라고 단순하게 알려져 있지만, 외교품일 가능성이 크다.

 

철로 된 투부는 전투용 도끼를 의미하는데 자루 부분은 금으로 장식되어 있고, 동물문양으로 뒤덥혀 있다(그림 2). 특히 동물문양은 북방의 스키타이 문화와는 다르다. 가장 쉽게는 동물의 앞다리와 뒷다리를 구분하는 선을 2줄로 넣는 방법(그림 1의 우측)은 북방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페레보드치코바).

 

그런데 필자가 간과한 점이 하나 있는데, 투부에 스키타이 사람이 표현되어 있었다. 고깔모자를 쓰고 투부를 아래로 들고 있는 사람(남성)이다(그림 1의 좌). 같은 유적에서 발견되는 금잔은 틀림없이 이란의 전통이지만, 투부는 스키타이 왕에게 선물하기 위해서 제작했을 것도 같다.

 

그림 1.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켈레르메스 유적에서 발견된 투부 중 세부

 

그림 2. 켈레르메스 유적의 투부

 

 

 

기원전 7세기에도 앗시리아 사람들은 스키타이 사람들이 고깔모자를 쓰고 있는 것을  알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래서 기원전 7세기 켈레르메스 유적에서 고깔모자의 흔적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유적에서 발견된 순도 100%의 앗시리아의 금잔과는 달리, 이 투부를 만들때 선물 할 대상을 매우 신경썼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단순한 수입품이라기 보다는 외교품일 가능성도 크다.

 

 

참고문헌

Яценко С.А. 2006 : Костюм древней Евразии (ираноязычные народы). М.: 2006. 664 с. («Культура народов Востока»)(야센코 2006, 유라시아의 고대 의복)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5~4세기 고대 흑해연안에 살았던 스키타이 여성들 중에는 유독 화려한 모자를 썼던 경우가 무덤 속에서 종종 발견된다. 스키타이 칼라프라고 불리는 이마를 가리도록 된 모자를 일컫는다.

 

또 티아라 라고 불리는 유물도 발견된다. 몇몇 무덤에서 발견되는데, 스키타이 칼라프 중에 높은 종류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좀 다르다. 유기질제로 된 모자 틀에 장식을 붙여서 만들었고, 상단이 편평하다(그림 3).

 

이들은 실제로 유적에서 발견되기도 하고 여성형상물에서도 확인된다. 알렉산드로프스키폴 유적에서 발견된 아르김파사는 티아라를 착용하고 있다(그림 1). 또 비슷한 시기에 알타이의 파지리크 유적 5호의 카페트 속 여성도 무엇인가를 쓰고 있는데, 티아라와 비슷하다(그림 2).

 

 

그림 1. 알렉산드로프스키폴 유적, 얼굴 위는 단순한 모자가 아니라 무엇인가를 쓰고 있는 것이 보인다.

 

그림 2. 파지리크 유적 5호의 카페트 부분

 

그림 3. 크라스니이 페레코프 유적 출토

 

스키타이 칼라프 중에서 메토피드라고 불리는 이마장식을 제외하고는 티아라, 고깔모자, 칼라프 모두 머리 위로 높게 하는 것이 스키타이 여성들의 모자 특징이다. 모자는 높을수록 중요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시베리아의 아르잔-2호의 주인공 무덤을 보면 고깔모자의 전통은 여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4세기 흑해 북안에 살던 스키타이 여성들은 다양한 모자를 착용했다. 특히 큰 무덤에서 나오는 여성들은 화려한 모자와 함께 부장이 되었다. 대체로 권력자의 아내이거나 자신이 권력자이기도 하다. 체르토믈리크 유적에서는 5개의 모자가 복원되기도 했다.

 

우슨 스키타이 칼라프라고 불리는 모자는 크게 두 종류인데, 앞서서 설명한 앞 이마를 가리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위와 옆에만 구멍이 있는데 베일(위) 및 가죽(옆)에 끼워서 착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유물을 metopid라고 불린다.  사흐노프카 유적의 유물이 대표적이다. .

 

그림 1. 사흐노프카 유적의 메토피드

 

또 하나는 stlenida이다. 이 것은 길쭉한 장방형 장식판 여러개를 쌓아서 만든 것으로 가장 위의 장식판이 두텁다. 여기에는 관자놀이 장식이 함께 달린다. 이 모자도 이마를 가리도록 쓴다.

 

그림 2. 체르토믈리크 유적의 스트렌니다

 

그림 3. 스틸렌니다의 착용 예(미로시나 복원)

 

여기서 예전에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에서 출토된 이마 장식을 stlenida라고 한 적이 있다(포스팅)

2022.08.27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서쪽/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 - 흑해 스키타이 여성의 옷 장식

 

흑해 스키타이 여성의 옷 장식

볼쇼야 블리즈니차는 처음부터 필자의 마음을 끄는 유적이었다. 왜냐하면 유적의 이름 때문이었는데, “큰 쌍둥이”라는 뜻이다. 무덤의 외관을 지역의 주민들이 그렇게 불러와서 생긴 이름인

eastsearoad.tistory.com

 

 

좀 더 정확하게는 stlenida의 부속품으로 이마를 장식했던 부분만 남아 있는 것이다.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의 주인공은 그리스 칼라프도 쓰고 있었지만 스키타이 머리장식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흑해북안에서 발견되는 머리장식 종류는 스키타이 칼라프 외에도 고깔모자와 티아라 스타일도 있다.

 

스키타이 칼라프는 그리스 칼라프에 비하면, 훨씬 화려하고 복잡하다. 칼라프라는 용어를 구지 쓰지 않아도 될 것 같은데, 이미 오랫동안 사용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5세기경 다른 민족들이 스키타이 사람을 알아채는 것 중에 하나는 모자였다. 헤로도투스는 스키타이 인의 고깔모자에 대해서 기록한 바 있다. 실제로 유물 속에서도 스키타이 남성들은 고깔모자를 쓰거나 혹은 쓰지 않는 장면이 관찰된다. 고깔모자는 흑해지역 뿐만 아니라 시베리아의 알타이에서도 출토된다.

 

그런데 스키타이 여성들의 모자는 조금 더 다양했다. 고깔모자 뿐만 아니라 스키타이 칼라프, 티아라 형태 등이 있다. 칼라프는 원래 그리스 여성의 모자를 지칭하지만, 스키타이 칼라프와는 전혀 다르다. 스키타이 여성들은 더 화려하고 복잡하게 만들어서 썼다.

 

흑해북안에서 나온 그리스 칼라프 중에 대표적인 것이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에서 나온 것이다.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 모자 안에 내용은 고깔모자를 쓴 스키타이 여성전사와 그리핀이 싸우는 장면이다.

 

그림 1.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의 칼라프 중에서 여성전사와 그리핀의 싸움

 

 

흑해북안에서 발견되는 기원전 5~4세기 유물 가운데 그리스 여성과 스키타이 여성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것도 머리장식과 의복이다. 스키타이 여성과 그리스 여성은 머리에 모자를 쓰는 방법부터 다르다. 그리스 여성들은 칼라프를 머리 위에 살짝 얹은 것처럼 착용한다(그림 2). 하지만 스키타이 여성들은 어떤 모자이든지 이마를 덮어서 머리카락을 드러내지 않는다(그림 3).

 

그림 2. 볼쇼야 블리즈니차 유적의 여성형상물, 그리스 여성이 칼라프를 쓰고 있다.

 

그림 3. 사흐노프카 유적 출토, 스키타이 칼라프, 스키타이 칼라프는 2종류가 있다. 이건 매우 간단한 종류이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