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2. 7. 9. 09:22 사르마트 문화

 

유라시아 초원지역 가운데 돈강 유역부터 서쪽은 기원전 4세기 이후에는 사르마트 문화가 스키타이 문화를 뒤이었다. 역사에는 스키타이 사람들을 몰아내고 사르마트 문화가 점령한 것 처럼 표현했지만, 고고학적으로는 연결되는 특징들이 많다.

흑해지역의 스키타이 문화가 기원전 7세기경부터 생기니 기원전 4세기 정도 되면 300년 동안 문화의 특징들이 그대로 있었을 리가 없다. 조금씩 변화되기도 하고, 유목민의 특징적인 문화 대신에 주변의 여건들이 바뀌면서 초원 지역의 문화들도 바뀌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스키타이 사람들을 몰아냈다는 표현은 좀 맘에 들지 않는다. 어찌 되었던 스키타이 문화를 이어 받은 것은 사르마트 문화이고 이들 역시 동물문양장식을 사용했다. 물론 도상학적인 변화는 있다. 예를 들면 사실적이면서 부분적으로 강조된 스키타이 동물문양장식 대신에 사르마트 문화에서는 알 수 없는 동물들이 많아진다.(괴기스럽게 변했다.) 몸통이 길어진 말은 용처럼 보이기도 한다.

 

학자들은 스키타이 유물과 사르마트 유물을 구분할 때 가장 큰 변화 중에 하나가 상감기법을 꼽는다. 특히 금으로 제작된 유물에는 유색의 돌을 잘라서 감입하는데 이러한 유물들을 모두 기원전 4세기 이후, 사르마트 문화의 것으로 보고 있다.

대표적인 유물이 사르마트 문화의 늦은 시기인 기원후 1세기 유적인 호흘라치 유적에서 발견된 관(crown)이다.

사르마트 문화의 이른시기에는 터키석 등 푸른색 계열의 돌을 많이 썼지만 후기로 갈수록 홍옥수를 특히 많이 사용했다.

 

아조프해와 연접한 다차 유적은 기원후 1세기 유적으로 이곳에서는 아주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 중에 가장 중요한 유물 중에 한 점은 검인데, 손잡이와 검집은 황금과 유색돌로 치장되어 있고 검날은 철제이다. 전체 길이는 40cm가량이고 검날 부분만 25cm가량의 단검이다.

 

그림 1. 사르마트 문화의 다차 유적, 기원후 1세기

 

이 검을 보면 생각나는 유물이 있다. 나만 특별하게 그런 것은 아니고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이들을 떠올린다. 아프카니스탄 틸랴테페 유적에서 발견된 북방초원의 흔적이 남아 있는 철제 단검으로 역시 화려하게 치장되었다. 검집의 형식이나, 검의 모습등이 상당히 비슷하다. 사르마트 문화의 호흘라치 황금관, 다차 유적의 철제 단검은 틸랴 테페 유적과 관련성이 큰 것으로 연구되었다.

 

2022.01.08 - [이름없는 왕의 무덤:틸랴-테페유적] - 아프카니스탄 이름 없는 왕의 검과 칼

 

아프카니스탄 이름 없는 왕의 검과 칼

아프카니스탄에 남아 있는 틸랴-테페 유적은 북방 유목문화의 흔적이 남아 있다. 북방유목문화는 기원전 5세기경의 스키타이 문화와 기원전 3세기 이후의 사르마트 문화가 모두 남아 있다. 특히

eastsearoad.tistory.com

 

 

 

참고문헌

 

Беспалый 1992 — Беспалый Е.И. Курган I в. н.э. у г. Азова // СА. 1992. №1. С. 103-172.(베스팔르이 1985, 일천년기 아조프해의 쿠르간)

И.П. Засецкая, Р.С. Минасян. Золотые ножны кинжала из кургана Дачи — уникальное произведение древнего ювелирного искусства// СПб; Азов: Изд-во Азовского историко-археологического и палеонтологического музея-заповедника. 2008. (자세츠카야, 미냐샨, 2008, 다차 쿠르간의 황금단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의 스키타이 문화권은 기원전 9세기부터 아르잔-1호를 기준으로 시작되지만 실제로 초원의 각 지역에 여러 유적이 발견되는 되면서 문화의 실체가 드러나는 기원전 7~4세기이다. 동쪽과 인접한 중국에서는 춘추전국시대 기간이고, 서쪽과 인접한 지역인 이란지역에서는 앗시리아와 아케메네스 왕조가 있던 기간이며, 이들과 공존하던 사람들의 문화를 스키타이 문화(권)라고 한다. 각 지역에는 지역색이 분명한 문화가 있었지만 어떤 공통된 특징 때문에 이들을 통틀어 ‘문화권’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각 지역의 문화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보이는 것을 마구, 무기, 동물장식라고 생각하며 이를 스키타이 3요소라고 러시아 학계에서는 생각한다. 마구와 무기는 실용적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 무덤에 부장되어 현재 전해지는 것은 많은 것은 의례적인 유물이다. 대형고분 위주로 생각해서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무덤에서도 무기류는 의례적인 성격을 띠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마구도 마찬가지이다.

 

동물장식은 좀 더 심하게 실용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고, 보여주기 위한 혹은 그 어떤 것을 상징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을 수 있다. 마구에 다는 동물장식은 실제로 썼으니 실용적인 것이 아니냐고 반문할 수 있는데, 필자가 생각하는 실용적인 것은 삶을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를 말한다. 재갈과 재갈멈치를 통해서 고삐를 달아서 말을 부리면 된다. 동물장식을 달던 안달던 고삐가 채워진 움직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마구 없이는 말을 부릴 수 없고 이동을 할 수 없다. 이들의 생업방식과 직결되는 것이다.

 

필자도 스키타이 3요소가 스키타이 문화권을 묶어주는 특징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의례적인 요소가 강한 것다. 반면에 일상생활과 관련된 좀 더 실용적인 유물도 각 지역이 어떤 공통적인 문화로 연결될 수 밖에 없었던 근거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나무쟁반 혹은 나무 잔과 같은 것이다. 아르잔-1호에서는 아쉽게도 발견되지 않았지만(도굴되었을 가능성이 많음), 아르잔-2호에서 이미 발견되었고, 그 전통은 알타이의 유적에서도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볼가 강 유역의 사우로마트 및 사르마트 문화의 이른시기, 흑해의 유적에서는 금판을 두른 목제 잔 등이 발견된다.

 

중앙아시아의 타스몰라 문화의 여러 유물은 아르잔-2호에서 발견된다고 지적되었는데, 주로 마구(재갈과 재갈멈치) 및 허리장식과 버클 장식이다. 그 외 무덤구조는 아르잔-2호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아르잔-2호의 주요전통이 타스몰라 문화로 연결된다고는 보기에는 어렵다.

 

타스몰라 문화에서는 나무쟁반 대신해서 고기를 담는 그릇을 돌로 만들어서 무덤 속에 넣어 두었다. 돌 그릇의 형태는 평면형태 원형, 타원형 등 납작하고 가장자리에 테가 돌아가는 형태이다(그림 1). 아르잔-2호에는 나무로 만들었지만 타스몰라 문화에서는 돌로 만들었다.

시간에 따라서 형태에 변화가 있지만 기원전 5세기 이후에 타원형(그림 1-15)에 가까운 유물이 나타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슷하다. 문화의 전반기(기원전 7~6세기)에는 다리가 짧게 붙은 유물도 있었다.

 

그림 1. 타스몰라 문화의 석제 쟁반

 

타스몰라 문화에서는 무덤안에 목제 구조물을 넣는 경우가 없다. 단지 봉분을 높게 쌓고 무덤의 동쪽으로 긴 수염처럼 돌을 줄을 세워서(석열) 무덤인 것을 표시했다. 아마도 이들 북쪽에 있던 투바와 알타이와는 달리 목제 수급이 용이 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석제 쟁반도 목제를 대신해서 만들었지만 그릇의 모양은 닮았다. 물론 아르잔-2호에도 석제 쟁반은 있지만 아주 소형이고, 형태가 원형이 아니어서 타스몰라 문화의 석제 쟁반은 목제 쟁반을 모방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

 

그림 2. 아르잔-2호의 목제 쟁반

 

나무가 부족하니 돌로 쟁반을 만들었지만 이를 따라 할 만큼 스키타이 문화권에서는 널리 사용되던 유물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Степная полоса азиат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 1992 (스키토-사르마트 시기의 소비에트 연방 내의 아시아 초원지대)

А.X. Маргулан, К.А. Акишев, М.К. Кадырбаев, А.М. Оразбаев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Центрального Казахстана.// Алма-Aтa: 1966. 436 с.(마르구란 외 1966, 카자흐스탄 중분의 고대 문화양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알타이 추야강의 지류인 바르부르가지 강 유역의 스키타이 무덤인 바르부르가지 I유적에서는 서른 기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근현대에 들어선 수로 덕분에 무덤은 2그룹으로 나누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처음 축조 될 때부터 2열로 축조되었다. 그 중앙을 후대에 공교롭게도 수로가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서른기의 무덤가운데 고대 투르크시대의 것은 19,20호이다.

 

그림 1. 바르부르가지 I유적 평면도

 

보통 한 계곡에 1열로 무덤이 들어서지만, 이 계곡에는 특이하게 2열로 무덤이 형성되었고 이 무덤을 발굴한 쿠바레프는 하나의 유적으로 보았다. 16호와 17호 사이에 스키타이 시대의 무덤이 더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1호에서 18호까지를 첫 번째 열, 21호부터 30호까지를 두 번째 열이라고 하자. 첫 번째 열에서 말이 없는 무덤은 13기나 된다. 두 번째 열에서는 24호를 제외하고 말 없는 무덤은 3기이다. 24호는 무덤처럼 보이는 덮는 돌만 발견되었고 아래에는 무덤시설이 없었다.

 

무덤호수

무덤시설

말 매장

첫 번째열

1

통나무관

0

 

2

나무무덤방

1

 

3

나무무덤방

2

 

4

석관묘

0

 

5

나무무덤방

0

 

6

나무무덤방

0

 

7

나무무덤방

2

 

8

나무무덤방

0

 

9

석관묘

0

 

10

나무무덤방

1

 

11

나무무덤방

0

 

12

석관묘

0

 

13

나무무덤방

1

 

14

나무무덤방

0

 

15

나무무덤방

1

 

16

석관묘

0

 

17

석관묘

0

 

18

석관묘

0

 

19

투르크

 

 

20

투르크

 

두번째열

21

석관묘

0

 

22

나무무덤방

2

 

23

석관묘

2

 

24

없음

 

 

25

석관묘

1

 

26

나무무덤방

2

 

27

나무무덤방

0

 

28

나무무덤방

0

 

29

나무무덤방

2

 

30

나무무덤방

1

 

 

첫 번째 열에서는 석관묘가 6기, 나무 무덤방이 11기 발견되었는데, 석관묘에는 모두 말이 없었다. 나무로 된 무덤에도 말 없는 비중은 거의 50% 가까이 된다. 그러나 두 번째 열에서는 말 없는 석관묘는 21호 뿐이다. 25호 무덤에서 미라가 발견되었고, 다른 무덤 보다 유물이 많이 출토되었는데도 전통적으로 미라의 무덤방 재료로 만들어진 나무가 아닌 돌이다. 인접한 유적도 발견되었는데, 이 유적에서만 특히 돌로 만든 석관묘를 많이 사용했다.

 

이 계곡의 첫 번째 열에 묻힌 가족집단은 말을 매장하지 않은 혹은 말을 매장할 수 없는 조건의 사람이었을 수도 있다. 두 번째 열이라고 불리는 21~30호 무덤이 먼저 만들어졌을 수도 있다.

스키타이 문화의 석관묘(돌널무덤)은 이미 아르잔-2호에서부터 확인된 무덤 시설이고, 그 이후에도 많지는 않지만 확인된다. 유스티드 XII유적 및 울란드리크 I유적 5호 에서도 석관묘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기원전 4세기 가량으로 보았다.

 

바르부르가지 I유적의 25호 미라가 발견된 석관묘에는 바닥에 나무판 4개를 깔았는데 목곽묘(나무무덤방)의 바닥시설이다. 어쩌면 바르부르가지 I유적의 2열에서 25호 석관묘는 유스티드 XII유적, 울란드리크 I유적의 석관묘 보다도 더 오래되었을 수 있다. 목곽묘(나무무덤방)의 전통이 남아 있는 혹은 채용한 혹은 스타일 등등 용어는 붙이기 나름이다.

미라가 발견되고, 다른 유적에 비해서 유물이 많이 출토되는 점(바르부르가지 I유적 25호)을 보아서 석관묘가 목곽묘(나무무덤방)보다 ‘못한’ 무덤 시설로 볼 수 없다. 오히려 돌로 만든 무덤은 스키타이 이전 청동기시대 전통에 더 까깝다.

 

시베리아에는 청동기시대부터 무덤 시설로 사용된 것은 돌로 만든 돌널무덤이다. 청동기시대로 거슬러가서 스키타이 문화와 가장 가까운 문화인 카라숙문화, 안드로노보 문화, 오쿠네보 문화, 아파나시에보 문화(역순)에서는 모두 돌널무덤이다. 무덤을 둘러싼 호석(무덤울타리)이 모두 발견된다. 사실 청동기시대 이전 신석기시대에도 간략하지만 돌을 무덤 시설로 사용했다. 말을 통째로 매장하지 않았다.

청동기시대 카라숙 문화 이후에 스키타이 문화의 기원지로 알려진 아르잔-1호에서 통나무 6000개를 사용해서 나무로 만든 무덤 이후부터 나무가 무덤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다시 돌이 무덤의 시설로 이용되지만 나무도 함께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Кубарев В.Д. 1992 : Курганы Сайлюгема. Новосибирск: 1992. 224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아르잔-2호는 경계석 안에 무덤 26기가 설치되었다. 그 중에서 주인공은 무덤방 5호인데, 이를 알 수 있는 것은 무덤의 크기, 나무로 된 무덤방과 출토된 유물 때문이다. 나무로 된 무덤방은 5호 외에도 2호가 있었고, 통나무관이 설치된 유아묘인 11호도 해당된다.

 

무덤방 2호에는 나무바닥 아래에 안장으로 추정되는 목제품과 새머리 모양의 금판제품이 확인되었다. 새머리는 남아 있지는 않지만 목제용기를 장식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토제, 청동제, 석제였다면 남아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목제용기는 주인공 무덤방 5호인 여성의 머리맡에서 있었다. 무덤의 북서벽 부근에 놓여 있었는데, 손잡이가 한 개만 달린 목제그릇(입구경: 12cm, 높이: 5.7cm)이다. 손잡이는 따로 만들어서 붙인 것이다. 손잡이에는 금박((길이 10.9 cm, 구멍 2.7 cm; 무게 57.21 g)으로 입혀져 있는데 동물다리의 모습이다. 목제 손잡이에 비늘모양으로 새겨져서 손잡이를 덮은 금박에 찍혀서 비늘 모양이 표현되었다. 금판 안쪽에 두 개의 구멍이 있어 핀으로 나무에 고정되었다. 이음새 부분은 바닥쪽으로 향했다. 손잡이 끝 부분은 타원형 판으로 마감되었고, 금판에는 붉은색 안료로 칠한 자국이 남아 있다.

 

 

 

 

그림 1. 아르잔-2호 무덤방 5호 출토 나무용기

 

 

 

 

그림 2. 아르잔-2호 무덤방 5호 출토 나무용기(그림1과 동일)

 

목제용기가 출토된 지점과 멀지 않은 곳으로 무덤의 북서벽 부근에서는 향나무제 뚜껑2점도 확인되었다. 뚜껑 중 큰 유물(그림 3-5)(직경 4.8cm, 높이 2cm)은 목제용기 부근에서 유기물질 흔적이 남아 있는데, 뚜껑의 용기로 사용된 그릇이다. 가죽이나 양모로 제작된 직조물로 된 용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자리로 9개의 구멍에 목제못이 삽입된 채 확인되었는데, 아래 용기의 입구와 크기를 맞추기 위한 것(그림 4-4)이다. 목제뚜껑(직경 2.9cm, 높이 2.1cm)(그림 3-4)도 출토되었다.

 

 

 

 

그림 3. 아르잔-2호 무덤방 5호 출토 1-청동제 그릇, 2- 나무 조각, 4,5-목제뚜껑, 3: 금박

 

 

 

 

그림 4. 아르잔-2호 무덤방 5호 출토 목제뚜껑(3,4)

 

 

아르잔-2호 무덤방 5호에는 목제용기 외에도 미니어쳐 청동제(그림 3-1, 그림 5-4), 석제 그릇(그림 5-5,6)이 확인된다. 이미 청동으로 된 솥이 무덤구덩이와 무덤방 사이에서 출토되었으나, 청동으로 된 그릇이 한 점 더 있다. 무덤의 북동쪽 구역에는 주로 그릇이 확인된다.

청동제 그릇은 한쪽에만 손잡이가 달린 것인데 입구의 직경이 5.5cm, 높이가 2.2cm로 매우 소형이다. 무덤에서 확인되는 소형의 그릇을 명기(冥器)라고 부르는데, 미니어쳐로 생각하시면 된다.

 

 

 

그림 5. 아르잔-2호 무덤방 5호 출토 청동제 그릇(4)과 석제 그릇(5,6), 3번은 본 포스팅과는 관련없으나, 주인공 여성의 구슬이다.

 

무덤의 북서쪽 벽에서 석제그릇(그림 5-5) 2점이 출토되었다. 회색빛을 띄는 사암제(구경: 입지름: 11.2cm, 너비 8.7cm, 높이 1.cm)로 편평한 모양이다. 석제 그릇에는 식물이 담겼던 흔적이 남아 있다. 석제그릇의 모양은 전체평면형태가 ‘S’자에 가까운데, 남성 칼집에 붙어 있던 금장식이라던지 곡선형태의 문양은 무덤에서 대유행 했던 문양이다. 석제그릇은 일종의 향로같은 역할을 했을 것이나 흔적은 남아 있지 않았다.

 

평면형태가 둥근 석제 그릇 1점(그림 5-6)(입지름 12.5cm, 높이 3cm)도 사암제로 만들어진 것인다. 바닥은 둥글다. 한쪽벽면에 붉은색 직조물의 흔적이 남아 있는데, 이 석제그릇을 포장한 붉은색 주머니였을 가능성이 있다.

 

무덤방 5호 외에도 이미 소개한 무덤방 20호에서도 목제용기의 손잡이로 추측되는 뿔 손잡이가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25호에서도 목제용기가 있다. 하지만 이 용기는 무덤방 5호와 20호와 같이 손잡이를 따로 제작한 것이 아니라 나무를 처음부터 깍아서 만든 것이다.

 

사실 필자는 손잡이가 하나 달린 목제용기가 매우 중요한 유물이라고 생각한다. 앞에서 설명한 기원전 5세기대의 유적인 얼음공주 무덤이라고 불리는 아크 알라하-3유적 및 파지릭 유적등 파지릭문화(스키타이 문화 중에서 알타이 지역문화)의 유적과 아르잔-2호는 같은 스키타이 문화권으로 묶기에는 개연성이 부족하다. 마구 및 굴레장식, 동물문양장식도 차이가 있다.

그런데 손잡이가 하나 달린 목제그릇은 파지릭 2호분에서도 출토되었다고 한다(필자가 파지릭 유적을 소개하면서는 보지 못했는데 다른 곳에서 발표되었다). 손잡이가 동물다리 모양이다. 뿐만 아니라 아르잔-2호 보다 훨씬 늦은 울란드릭 유적(기원전 4세기)에서도 비슷한 손잡이가 달린 목제그릇이 출토된다.

손잡이의 모습은 다르지만 앞서 소개한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도 호랑이 2마리가 표현된 목제그릇이 출토되었다.

 

참고문헌

Чугунов К.В., Парцингер Г., Наглер А. 2017 : Царский курган скифского времени Аржан-2 в Туве. Новосибирск: ИАЭТ СО РАН. 2017. 500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700여 년 전의 시베리아 투바의 무덤인 아르잔-2호는 단순히 하나의 무덤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 주인공 남녀가 묻힌 곳은 5호 무덤방이지만, ‘호석’이라고 둘러쌓인 일종의 무덤벽 안에는 말무덤을 포함해서 스키타이 시대의 무덤은 26개이다.

 

남녀 주인공의 무덤방 5호를 제외하고 2호, 11호에는 나무시설이 있고, 그 외는 전부 돌을 사용한 무덤이다. ‘무덤방’이라고 5호를 불렀지만, 각각의 무덤이다. 2호와 11호도 각각의 무덤이다.

그런데 각각 부를 때는 상관이 없지만, 아르잔-2호 유적의 무덤 5호라고 틀림없이 사람들은 혼돈된다. 2호안에 왜 또 5호가 들어갔지?.. 그래서 필자는 아르잔-2호의 각 무덤을 무덤방으로 부를 것이다.

 

5호와 같지는 않지만 어찌되었던 나무 시설이 있는 2호와 11호를 제외하고나면 전부 석관묘이다. 석관묘는 교과서에 돌널무덤으로 부른다. 납작한 돌을 사용해서 만든 무덤인데, 사실 돌널무덤도 소재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구분가능하지만, 아르잔-2호에서는 소재는 한 가지이다. 무덤의 상부를 덮었던 일종의 석회암 판석을 이용한 것이다.

 

 

그림 4는 지난번에 같은 그림을 제공했는데, 20호와 8호에도 사람이 매장되었는데, 정정하시기 바란다. 오렌지 색깔이 스키타이 시대, 주인공 남녀와 같은 시기에 매장된 사람과 말이다. 한눈에도 크기가 다른 것이 보이는데, 묻힌 사람의 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대부분 2인장이고, 1인장도 있다.

 

혼자서 묻힌 사람은 여성도 있고 남성도 있으며, 단인장(혼자서 묻히는 무덤)이라도 크기가 차이가 있다.

 

그림 1. 아르잔-2호의 8호 무덤방

1-무덤의 상부, 납작한 돌로 덮음, 2: 1의 단면도 A-A'는 1에서 자른라인을 의미한다. 3-덮개를 열고 난 후 무덤의 내부 모습, 번호는 유물출토위치. 

 

8호 무덤방은 길이가 0.9×0.75m이다. 남쪽의 무덤벽은 이미 넘어진 상태(그림 1-2)이다. 납작한 판석을 사방으로 둘러서 마치 ‘상자’모양으로 무덤을 만들었고(그림 1-3), 그 위에 돌을 덮었다(그림 1-1). 인골은 북쪽벽에 붙어서 묻혔고, 40~45세 가량의 남성이었다. 왼쪽 측면으로 뉘운 상태였고 매우 뒤틀린 상태였던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무덤방은 길이와 너비가 1m가 채 되지 않는다. 어떻게 사람을 이 속에 넣을 수 있을까?

답은 구겨서 넣는 것이다.ㅋㅋㅋ(매우 쉽게 말했지만 자극적인 말이다.)

 

이렇게 작은 무덤에 인골이 들어가는 경우는 보통 ‘2차장’이라고 부르는데, 살은 어딘가에서 썩히고 무덤안에 뼈만 추려서 넣는 것이다. 보고서에는 직접적인 표현으로 2차장이라고 하지 않았으나, 다리뼈가 머리부근에 가 있는 점은 의심스럽다. 그런데 보통 2차장은 뼈만 수습되기 때문에 매우 뼈가 흩어진 경우가 많은데, 이 무덤은 척추를 왼쪽으로 뉘웠다는 점에서 매우 의심스럽다. 완전히 살이 썩지 않은 상태였는지, 살이 남아 있지 않고 뼈만 추려서 넣은 건지...? 

 그런데 청동칼(그림 1-3에서 번호 1번)의 위치를 보면, 완전히 뼈만 남은 상태는 아니었던 것 같다. 보통 스키타이 문화의 칼은 짧아서 허벅지에 붙여서 찬다. 스키타이 전사 복원도를 제공한 적이 있는데 참고하시기 바란다.  

 그렇다고 어떤 상태로 무덤안에 들어갔는지 단정하기도 힘들다...??

 

무덤 안에서는 유물도 출토되었는데, 청동제(그림 2-1, 7~12)와 주석(그림 1~6)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청동제 칼(그림 2-1)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장신구였을 가능성이 크다.

 

그림 2. 아르잔-2호 출토 무덤방 8호의 출토유물, 1,7~12: 청동제, 2~6: 주석

 

그림 3. 아르잔-2호 출토 무덤방 8호의 유물, 그림 2-1,2와 같은 유물

 

 

 

그림 4. 아르잔-2호 무덤방 내부, 8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추구노프, 파르친게르, 나게르 2017, Чугунов К.В., Парцингер Г., Наглер А. 2017 : Царский курган скифского времени Аржан-2 в Туве. Новосибирск: ИАЭТ СО РАН. 2017. 500 с. (추구노프, 파르친게르, 나게르 2017, 투바의 아르잔-2, 스키타이 차르 무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