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스키타이 문화를 이해하는데 '집'에 대해서는 오해가 있다. 그리스 역사가(헤로도투스) 들이 남긴 기록에는 스키타이 사람들은 방어된 마을과 집이 없이 바퀴달린 집(4륜마차)을 타고 광대한 스텝지역을 옮겨다닌 것으로 묘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관념은 꽤 오래 지속된 것 같은데 나폴레옹이 모스크바 입성(1812년)시 대화재를 두고 스키타이 인과 비교한 점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러시아 연구자들은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발견된 카멘스코예 성곽(돌 성이라는 뜻) 유적으로 헤로도투스의 기록이 잘못되었다고 반박했다. 이 유적은 기원전 5세기 유적으로 1200헥타르가 넘는데, 이곳에는 금속제품의 생산흔적(도가니, 주몰용 국자, 노지)이 엄청남게 많이 발견되었다. 이곳에서 철제품을 생산해서 다른 스키타이 사람들에게 공급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카멘스코예 성곽 유적에는 2 줄의 성벽이 있는데(그림 1-19), 스키타이 연구자들은 안쪽의 환호를 ‘아크로폴’이라고 부른다. 그리스 도시와 같이 구획(그림 1-18)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스 아크로폴에서는 스키타이 귀족들이 살았던 석조구조물 흔적이 조사된 적이 있다.

 

카멘스코예 성곽 유적 뿐만 아니라 돈 강 유역의 엘리자베토프 성도 알려져 있다. 대부분 지상식(그림 1-10, 14)이지만, 땅을 파서 만든 반움집(지하식)(그림 1-11,12,13,17)도 있다.

초원 스키타이는 아니지만 삼림지대의 스키타이 문화를 공유했던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목조로 된 집이 발견되기도 했다.

2021.02.22 - [볼가 중류: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동물장식] - 유라시아 타이가 지역의 초기 철기시대 무덤 옆에 집

 

유라시아 타이가 지역의 초기 철기시대 무덤 옆에 집

유라시아 초원 북쪽의 타이가 지대의 초기철기시대문화인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동물장식이 스키타이 문화의 것과 유사해서 초원지대와 어떤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유물 가

eastsearoad.tistory.com

 

 

 

그림 1. 카멘스코예 성곽과 엘리자베트프 성곽 유적, 10~17: 엘리제베트프 성곽(16: 전체 성곽 평면도, 10, 14-지상식 집, 11, 13, 17-지하식 집, 12-지하집복원), 18, 19-카멘스코예 성곽(18: 아크로폴 내부의 집의 구획도, 19: 성의 평면도)

 

두 유적은 기원전 5세기 유적이다. 흑해 부근에서 스키타이 쿠르간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7세기 혹은 기원전 8세기 까지 올려 보는 사람도 있다. 그럼 그들은 집이 없었을까?

 

러시아연구자들은 이 부분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한다.

스키타이 사람들의 생업경제가 유목적 목축이었기 때문이다. 동물을 위해서 목지를 계속 교체 할 수 밖에 없었고, 주거지도 단기간만 사용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한다.

카멘스코예 성곽 유적이 주요한 철기 공방이었다고 한다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철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지 역할로서 성곽 유적이 존재했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도 기원전 7세기에도 스키타이 철제품은 존재하기 때문에 분명히 이를 생산하던 유적이 존재했을 텐데, 발견되지 않았다. 집은 있었지만 남겨 놓지 않았던가, 아니면 너무 쿠르간 조사에만 목을 매었을 수 있다.

 

헤로도투스가 스키타이 사람들이 집이 없다고 한 것은 비아냥 거린 것이다. 그러나 사실은 집이 없었던 것이 아니라 가장 최적화 된 상태로 생업에 맞게 가성비 좋은 집을 가지고 다닌 것이고, 필요하다면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어제 일론머스크가 조립식 집을 스페이스 X근처에 만들었다고 하는  기사를 읽고 한참 웃었다.

 

참고문헌

Степи европей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Археология СССР / Археология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средневековья 1989. 464 с(러시아과학아카데미 1989, 소비에트 연방 유럽 내의 스키타이-사르마트 시기, 소비에트 고고학 시리즈)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흑해 북안과 카자흐스탄의 사이에 있는 지역은 우랄~볼가 및 돈 강 유역이다. 이곳에는 기원전 6세기 경 사우로마트 문화가 존재했는데, 스키타이 문화권(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 내에 속하며 우랄-볼가 강 유역의 지역문화이다.

 

이 지역의 문화는 우랄 강 유역과 볼가-돈강 유역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대형 무덤구조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앞서 살펴본 키리크-오바 II유저과 비슷한 무덤구조가 우랄 강 유역의 퍄트프마리( Пятпмары, Pyatpmary) I유적에서 있지만, 같은 시기의 볼가-돈강 유역에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무덤 양상에 차이가 있다고 본 것이다.

 

기원전 6세기 퍄트프마리 I유적의 8호 쿠르간(직경 29m, 높이 3m)의 봉분 내부에는 지상식의 목조구조물을 만들었다. 바닥에 구덩이를 파기는 했으나 전면을 판 것은 아니고 피장자를 안치하기 위한 공간만을 팠고(그림 1-2) 그 위에 목조구조물을 설치했다. 목조구조물의 남쪽에 말을 5마리 매장한 후에 점토와 풀을 섞은 봉토벽을 쌓았다. 무덤의 북쪽은 이 부분이 결실되었다.

 

그림 1. 파트프마리 I유적 8호 쿠르간 평면과 단면(2,3)

 

보고된 바에 따르면 목조구조물을 덮은 층은 점토와 풀을 섞은 것으로 목조구조물의 전면을 덮었다. 키리크 오바II유적에서는 목조구조물의 주변을 둘러쌓은 것으로만 보고되었는데, 그 보고가 맞다면 점토벽의 구성물과 목조구조물을 지지하는 방법 등 축조방법의 차이가 있다. 이는 시간에 따른 변화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쿠르간’은 일부 유적이고 무덤구덩이에 사람과 무기만 매장하는 경우도 있다. 봉분은 높이 쌓지 않았다. 사우로마트 문화(스키토-사르마트 문화 1기)에서는 특히 무덤에 무기가 많이 발견된다. 무덤구조는 흑해연안의 유적과 차이가 있지만 무기는 유사했고, 역시 동물문양장식이 많이 발견된다.

 

참고문헌

Смирнов К. Ф., Петренко В. Г. 1963, Савроматы Поволжья и Южного Приуралья. М., 1963(스미르노프, 페트렌코, 1963, 우랄남부와 볼가 강 의 사우로마트)

Степи европей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Археология СССР / Археология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средневековья 1989. 464 с(러시아과학아카데미 1989, 소비에트 연방 유럽 내의 스키타이-사르마트 시기, 소비에트 고고학 시리즈)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우랄 산맥의 남부를 흐르는 우랄 강변에는 카자흐스탄과 러시아가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데, 유적들에는 국경이 없다. 이 지역의 기원전 5~4세기경 유적들은 아주 낮게 무덤구덩이를 파고 거의 지상식 구조물을 만들고 그 위를 봉토로 만들어 덮었다. 특이하게 이 지역의 무덤에는 점토를 블록으로 만들거나 점토벽을 만들어서 무덤의 건축자재로 사용했다. 필리포프카 유적과 마찬가지로 베소바 유적에서도 목조구조물 주변을 점토벽으로 둘러쌓아서 만들었다.

 

스키타이 문화권 내에서 볼가-우랄 강변의 문화는 ‘사우로마트 문화’가 기원전 7세기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기원전 4세기 이후의 문화는 사르마트 문화라고 불리는데 좀 더 정확하게는 ‘후기 사르마트 문화’라고 하기도 하지만 ‘훈-사르마트 문화’ 그냥 ‘사르마트 문화’ 라고 부르는 사람도 많다. 후기 사르마트 문화부터 민족을 특정하는데 ‘훈’족의 문화라고 여겨진다. 후기 사르마트 문화는 스키타이 지역의 중심지 중에 한 곳인 흑해까지 퍼졌다는 것이 학계의 생각이다(그림 1).

그런데 사우로마트 문화와 사르마트 문화의 특징을 모두 보이는 유적이 필리포프카 유적이다. 기원전 5~4세기 이며 이를 일컬어 ‘초기 사르마트 문화’라고 하기도 하고 ‘사우로마트-사르마트 문화’ 혹은 ‘스키토-사르마트 문화’라고 한다(그림 1).

 

좀 답답한 경우는 스키타이 문화와 훈 족의 문화를 구분하지 않고 그냥 이 지역의 초기철기시대 이후의 문화 전체를 사르마트 문화라고 부르는 연구자들도 있다. 이해가 가는 면(다음에 설명하기로 한다)도 있기는 하지만 초기철기시대인 스키타이 시대와 훈의 시대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림 1. 스키타이 문화권(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의 각 지역 명칭과 연대

 

앞에서 필자는 ‘사우로마트-사르마트’ 문화라고 필리포프카 유적을 설명했는데, 좀 더 이해하기 쉬운 것은 ‘스키토-사르마트 문화’이다. 그래서 이 지역의 스키타이 시대 지역명칭을 스키토 –사르마트 문화 1기(기원전 7~5세기), 스키토-사르마트 문화 2기(기원전 5~4세기)라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후기 사르마트 문화는 훈-사르마트 문화라고 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학계에서도 불리는 용어이다. 좀 복잡하기는 하지만 지역명칭은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스키토-사르마트 문화는 러시아 문법상에 따른 것이고, 스키타이-사르마트 문화로 이해하면된다. 같은 예가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으로, 이미 한국학계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조금이나마 혼돈을 막기 위해서이다.]

 

우랄-볼가 강 유역의 유적들은 무덤구조에서는 흑해지역과 좀 더 유사하다. 흑해지역에서 발견되는 쿠르간은 기원전 7세기 켈레르메스 유적이나 코스트롬스카야 유적에서 지하로 매장구덩이를 파기는 했지만 목조구조물은 지상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필리포프카 유적, 베소바 유적 등의 무덤은 이 지역민의 아이디어로 축조되었다고 하는 것이 맞다. 그러나 그들도 네트워크가 있었을 것이고 선진 지역과 소통하기 위해서 낙타장식과 같은 동물장식을 사용했을 것이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런 유물이 또 하나 있는데 석제로 만든 쟁반이다. 베소바 유적에서는 원형과 장방형의 석제 쟁반이 무덤 속에서 출토되었다(그림 2).

2021.07.06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중부/타스몰라 문화] -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나무쟁반, 돌쟁반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의 나무쟁반, 돌쟁반

유라시아 초원의 스키타이 문화권은 기원전 9세기부터 아르잔-1호를 기준으로 시작되지만 실제로 초원의 각 지역에 여러 유적이 발견되는 되면서 문화의 실체가 드러나는 기원전 7~4세기이다.

eastsearoad.tistory.com

그림 2. 베소바 유적의 제사용기, 카디르바예프는 이를 석제 제단이라고 했지만, 제사용기가 좀 더 자연스럽다.

 

인접한 타스몰라 문화에서 석제와 나무로 만든 쟁반이 발견되었는데, 베소바 유적에서는 다리가 붙어서 다른 형식이다. 다리가 붙은 나무쟁반은 알타이(파지르크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소재가 다르기 때문에 전혀 다른 유물처럼 보이지만 사용방법은 같았을 것이다. 필리포프카 유적에서는 나무그릇에 붙이기 위한 장식판이 대량으로 출토되었다.

 

그렇다면 석제 쟁반이나 금장식을 붙인 나무그릇은 스키토-사르마트 문화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으며, 동물문양 장식과 같이 스키타이 문화권을 묶는 공통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나중에 논문으로 밝히겠지만 스키타이 3요소 외에도 스키타이 문화권을 연결하는 문화적 유물 중에 하나는 그릇이다]

 

즉 우랄-볼가강 유역의 스키타이-사르마트 문화는 지역적 특징이 강하기는 하지만 스키타이 문화권의 특징적인 유물인 동물장식 뿐만 아니라 제사용기도 지역적 특징에 맞게 고안해서 만들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Кадырбаев М.К. Каменные алтари–жертвенники из Северо–Западного Казахстана // Советская археология. – Москва: Наука, 1977. – № 3. – С. 204–213. (카디르바예프 1977, 카자흐스탄 북서 지역에서 나온 석제 제단)

Степная полоса азиат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 1992 (스키토-사르마트 시기의 소비에트 연방 내의 아시아 초원지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카자흐스탄 서부에 위치한 스키타이 시대의 유적에서는 쌍봉낙타 장식이 발견된다. 볼가~우랄 강 유역의 지역문화를 사우로마트-사르마트 문화라고 한다. 필리포프카 유적(그림 4)이 잘 알려진 곳인데, 베소바 유적에서도 출토되었다.

 

스키타이 동물문양 장식 중에서 낙타가 발견되는 곳은 볼가~우랄 강 남부의 유적이다. 필리포프카 유적에서 출토된 것은 금제의 낙타장식으로 두 마리가 머리를 서로 맞대고 있으며, 앉아 있는 모습이었고 납작한 장식판이다. 반구형 장식 펜던트에도 낙타 1마리가 늑대와 대결하는 구도로 발견되었다.

 

베소바 유적에서는 낙타 2마리가 머리를 맞대고 있는 유물과 낙타 1마리가 받침대 위에 서 있는 펜던트 2종류가 발견되었다. 베소바 유적의 장식품은 청동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같은 유적에서는 원형의 맹수장식도 발견되었는데, 눈, 코, 입을 표시하지 않았으나 키리크-오바 II유적의 유물과 같은 늑대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1. 베소바 유적 3호 출토 쌍봉낙타

 

그림 2. 베소바 유적 3호 출토 쌍봉낙타

 

그림 3. 베소바 유적 3호 출토 맹수장식

 

 

그림 4. 필리포프카 유적의 낙타장식

 

스키타이 문화권 내에서 쌍봉낙타를 단독 펜던트로 만든 경우는 이 지역이 유일하다. 물론 낙타장식이 시베리아 투바의 아르잔-2호 주인공 무덤에서 다른 동물문양장식과 함께(목걸이) 표현된 경우는 있고, 알타이의 펠트 조직에서 죽은 낙타털을 양털과 혼용해서 사용한 경우도 발견되었다. 하지만 단독의 펜던트로 존재하는 경우는 이 지역이 유일하다.

[필리포프카 유적에서만 발견되었을 때 위와 같은 결론을 내리기에는 애매했다. 그러나 인접한 또 다른 유적에서  이와 같은 상황이 확인되었기에 좀 더 확실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좀 더 많은 유적에서 비슷한 장식이 발견된다면 뚜렷한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원형맹수장식을 모방한 맹수장식(그림 3)과 쌍봉낙타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문양이었을 것이다. 우리에게 낙타는 좀 어색한 동물이지만, 낙타는 버릴 것이 없는 동물이라고 한다. 말에 비해서 엄청나게 많은 짐을 옮길 수 있고, 먹이는 것도 수월하며, 고기도 먹을 수 있다.

기원전 4세기 당시에 그 지역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동물이었을 것이고, 펜던트로 만들어서 자신들을 상징할 만큼의 동물이었을 수 있다. 눈, 코, 입을 표시하지 않을 만큼 맹수장식은 큰 의미가 없는 유물이었을 수 있다.

 

필자는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무덤구조나 시신의 장법 뿐만 아니라 동물장식에서도 이 지역의 패턴이 보여지기 때문에 볼가-우랄 강변의 유적들은 ‘한’ 그룹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Кадырбаев М.К., Курманкулов Ж.К. Захоронения воинов савроматского времени на левобережье р. Илек // Прошлое Казахстана по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м источникам. – Алма–Ата: Наука, 1976. – С. 137–156(카디르바예프, 쿠르마쿠로프, 1976, 일레크 좌안의 사브로마트 시기의 무덤)

Е.В. Переводчикова 1994, Язык звериных образов. Очерки искусства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скифской эпохи(페레보드치코바 1994, 언어로서의 동물문양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카자흐스탄 서부는 카스피해가 위치하는데, 이 곳으로 흘러가는 우랄강변에는 많은 쿠르간이 존재한다. 우랄강은 러시아에서 시작해서 카자흐스탄을 관통하기 때문에 이곳에 만들어진 쿠르간은 현재의 국경은 다르지만 당시(쿠르간이 만들어진 시점)에는 같은 문화를 공유했던 사람들이 만들었을 수 있다.

문화적으로 이곳은 우랄 산맥의 남쪽으로 우랄과 볼가 강 유역의 스키타이 문화를 사우로마트-사르마트 문화라고 구분한다. 화려한 황금 사슴이 출토된 필리포프카 유적이 잘 알려 있다.

 

필리포프카 유적을 포스팅할 당시에 필자가 간과한 것이 이 유적이 지상식 구조물을 덮은 쿠르간이었다는 점이었다. 물론 땅을 약간 파기는 했지만 매장주체부를 지하로 만들지 않고 지상으로 만들었다. 당시에 연도와 목조시설, 감실 등만 강조되어서, 약간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었지만 보고가 부실하다고만 여겼다.

[필리포프카 유적의 1호는 그래서 더 흥미롭다. 중앙에 지상식구조물을 제외하고 동쪽벽에 숨겨진 곳에 지하로 무덤을 파고 따로 여성의 무덤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접한 유적들을 보면서 필리포프카 유적도 지상식 목조물 위를 덮은 쿠르간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키리크-오바 II유적도 마찬가지이고, 베소바와 신타스 유적도 같은 구조이다.

 

베소바와 신타스 유적의 3호(직경 38m,높이 1.9m)에는 목조구조물이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지붕이 둥근 돔형일 것으로 통나무와 나뭇가지 등으로 만들었다. 구덩이를 약간 파기는 했는데, 이해가 안되는 것은 남북방향은 깊이 60cm, 동서방향은 편평하다는 점이다(그림 1의 단면). 어쩌면 자연적인 현상을 발굴자가 놓친 부분일 수 있다. 이 무덤은 여성이 피장자로 매장되었는데, 북쪽에서 발견되었고 등을 편 채로 하늘을 본 상태로 발견되었다. 펠트천과 관목가지로 덮인채 발견되었다.

 

그림 1. 베소바 유적 3호

 

이 유적의 9호(직경 11.2m,높이 10m)에도 지상위에 목조구조물을 매장주체부로 한 것이 발견되었다. 높이가 약 3m로 추정되는데, 무덤 바닥에서는 기둥구멍의 흔적이 발견되어서 마치 집을 지은 것처럼 목조구조물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둥구멍 중앙에는 점토로 만든 시상이 있고, 연도와 연결되었다. 평면형태는 팔각형이다.

 

그림 2. 베소바 유적 9호의 바닥

 

그림 3. 베소바 유적의 낙타장식

 

우랄 강변을 따라 위치한 무덤은 연도와 목조구조물이 있는 묘실로 특징지을 수 있다. 깊지 않은 묘광에 나무판을 교차해서 놓고 그 위를 나뭇가지 혹은 갈대로 얹었다. 지상구조물이 발견된 경우에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구멍도 발견된다. 바닥에 석회가루나 재가루를 뿌리고, 나무껍질 혹은 풀로 깔개를 만들어서 바닥에 깔았다. 그리고 피장자는 사지를 펴고 등을 대고 자세이며, 서쪽으로 머리를 두고 있다. 이는 카디르바예프가 카자흐스탄 서부지역의 쿠르간 조사를 통해서 내린 결론이다.

 

[베소바와 신타스 유적은 쿠르간 19기가 두 마을에 걸쳐서 발견되어서 베소바와 신타스 유적으로 불린다. 우랄 강의 지류인 일레크 강의 좌안에 위치하며, 1973년 당시 소비에트의 집단 농장의 영지내에 쿠르간이 확인되었다.]

 

카디르바예프가 설명한 내용을 참고로 하면 피장자를 묻는 장법은 시베리아 매우 다르다. 알타이에서 발견된 스키타이 사람들은 모두 굴신장(팔 다리를 굽힌 장법)으로 옆으로 누운 상태였다. 쿠르간 내부의 무덤구조 뿐만 아니라 피장자도 다른 장법으로 매장되었다.

이 점은 확실히 시베리아 알타이에 매장된 사람들과는 다른 관념 속에서 장례식이 치러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레보드치코바가 이야기 한바와 같이 ‘동물문양’은 공통된다. 뿐만 아니라 유사한 동물문양과 무기와 그릇들이 발견된다.

생활방식은 다르지만 마치 스마트폰(아이폰 혹은 삼성폰)을 세계 어떤 사람들도 쓰는 것과 같다고 해야 할까. 

 

스키타이 문화권의 중심권과는 차별되지만 그들도 쿠르간을 만들었고,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연도와 묘실이 있는 무덤은 기원전 6~5세기경으로(카자흐스탄 연구자) 아랄 해 동쪽이자 사르다니아 강과 아무다리리야 강 사이에 위치한 이른시기의 유적에서도 관찰된다. 아랄해 동쪽의 두 강 사이 지역에서 나오는 문화는 ‘사카’라고 알려져 있으며 스키타이 문화권(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내에 속한다.

 

무덤구조가 비슷하다고 볼가강~우랄강변의 유적을 두 강(사르다니아 강과 아무다리아 강) 사이의 문화를 함께 묶지 않는다. 각각 사브로마트-사르마트 문화, 사카 문화라고 지역문화를 구분하며, 스키타이 문화권(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에 속한다고 연구되어 왔다.

 

참고문헌

Кадырбаев М.К. Курганные некрополи верховьев р. Илек // Древности Евразии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 Москва: Наука, 1984. – С. 84–93.(카디르바예프, 일레크 강변의 네크로폴 쿠르간)

Кадырбаев М.К., Курманкулов Ж.К. Захоронения воинов савроматского времени на левобережье р. Илек // Прошлое Казахстана по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м источникам. – Алма–Ата: Наука, 1976. – С. 137–156(카디르바예프, 쿠르마쿠로프, 1976, 일레크 좌안의 사브로마트 시기의 무덤)

Е.В. Переводчикова 1994, Язык звериных образов. Очерки искусства евразийских степей скифской эпохи(페레보드치코바 1994, 언어로서의 동물문양장식)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