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11) 소볼레프카 강 유역

시호테 알린 산맥의 영동지역과 걸쳐있지만 고개 역할을 하는 곳이 없다. 유일하게 말갈 성지가 있는데, 강의 하류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고 해안가의 교통로를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12) 쿠즈네쵸바 강 유역

시호테 알린 산맥의 동쪽 사면에 걸쳐 있다. 서쪽은 비킨 강의 지류인-제바(Зева,Zeva)와 볼샤야 스베트로보드나야(Большая Светловодная, Bol'shaya Svetlovodnaya) 강과 통한다. 그러나 서쪽으로 넘어가는 고개길은 없다. 이 강의 하류에는 강 하류에서 바다까지 약 3km 떨어졌는데, 리도프카 문화층과 발해문화층이 발견된 성이 1기 존재한다.

이곳에도 북쪽으로 에딘카 하류까지 연결된 해안도로가 이어진다. 이 길은 부르릴바야 강 하류에서는 오아시스 성곽이 표지가 되고, 더 북쪽에 있는 페야 강 하류에는 우스티-페야 성곽으로 통한다


아르세네프는 쿠즈네쵸바 곶에서 북쪽으로 가는 길이 있는데, 오로치 족은 그 곳으로 걸어다니지 않고 말을 타고 다녔다는 기록을 남겼다.



오로치 족은 전통적으로 겨울에는 스키를 타고 다녔다. 퉁구-만주족은 여름에는 강을 건널 때는 배를 타고 다니고, 겨울에는 스키를 타고 다녔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각 강유역의 성곽 위치와 성곽에 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http://소볼레프카 강 유역의 성곽

http://예딘카 강 유역의 성곽

http://사마르가 강 유역의 성곽



13) 예딘카 강 유역

강의 상류는 시호테 알린 산맥의 동쪽 사면에 걸쳐있고, 서쪽 사면과도 가까워서 비킨 강의 지류로 통하기 쉽다. 서쪽으로 흐르는 작은 시내가 있는데 그 곳이 영서로 넘어가는 고갯길이다. 사마르가 강과 비킨 강에는 우데기 족이 이용한 길이 알려져 있다.

예딘카 강의 하류에는 말갈 문화와 관련된 성곽이 한 곳 알려져 있다. 이곳의 교통로를 이용하면 시호테 알린 산맥에서부터 아무르강 하류의 타타르 해협까지 다다를 수 있다.

 

14) 사마르가 강 유역

시호테 알린 산맥의 서쪽과 동쪽 경사면을 연결하며, 고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있다. 강의 하류에 청동기시대 사마르가-6 토성이 발견되었다. 또한 타타르 해협으로부터 들어오는 길을 방어하는 고르 크루글라야라고 하는 자연방어시설이 있다. 사마르가 강은 지류가 많은 강으로 길이 어디로 통하는 지 알기 어렵다. 육로인 해안로와 수로가 서로 엉켜져 있다. 배로 어디까지 이동하고 그 다음은 육로를 따라서 고개를 넘어가는 것이다. 아직까지 연구가 많지 않다.

시호테 알린 산맥의 영서지역에서 출발 한다면 온 장소로부터 배를 타고 이동했다면 어떤 장소까지 해안로로 가야만 한다. 만약에 해안을 따라서 북쪽으로 이동한다면 사마르가 강 하류에서부터 해안로를 이용해야 할 것이다. 남쪽 예딘카 강 하류로 간다면 나자로프카(Назаровска, Nazarovska) 강 하류까지 배를 타야 할 것이다.

따라서 시호테 알린 산맥의 중부 영동지역에서 선사시대 부터 교통로는 고고학적으로나 민족학적으로 보아서 각기 다른 교통로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안로는 동해안을 따라서 타타르 해협까지 이어진다. 또한 시호테 알린 산맥의 고개를 이용해서 제르칼나야 강, 드지기토프카 강, 세레브랸카 강, 타요시나야 강, 케마 강, 예딘카 강, 사마르가 강 유역의 교통로가 각기 지나가는데, 이는 산맥의 서쪽과 동쪽을 연결하는 길이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8) 페세르나야 강과 페르바야 우툐스나야 강 유역

케마 강에서부터 이 강의 하류까지 북쪽으로 13~15km 떨어져 있다. 청동기시대 교통로에는 우툐스노예 토성과 미스 알렉산드라 2중벽이 남아있다. 발해시기의 유적은 야수 성곽이다. 이 지역 교통로를 처음 연구한 사람은 아르세네프다. 고대의 교통로가 있는데, 강을 넘을 수 있는 여울 근처에 성곽을 지었던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성곽은 주로 교통로의 바로 옆이나 그곳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당연히 이곳에는 육로와 해안가로 이어지는 교통로가 있었을 것인데, 성곽이 도로가 있던 시기의 것인지 아니면 도로가 다른 성곽과 관련된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했다


암구 강의 하류까지는 70~80km 떨어졌는데, 이 도로는 해안가와 거의 붙어 있고 편평하다. 지금까지도 해안가 언덕은 매우 습한 흙으로 전부 풀로 뒤덮여 있는데, 힘들 길이다. 이곳으로 지나는 바다길은 20세기 말까지 이용되었다.


각 강유역의 좀 더 정확한 성의 위치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http://지보피스나야 강 유역의 성곽 1

 http://암구강 유역의 성곽 1



9) 암구 강 유역

암구 강 유역은 다른 강 유역과는 달리 시호테 알린 산맥의 영동과 연결되지 않고, 서쪽으로 가는 고개도 없다. 마시모프카 강 상류에서 끝난다. 암구 강의 지형적 특징에 따라서 언덕을 넘어서 해안가를 따라서 올라가는 교통로가 있었다. 청동기시대에는 이 도로에 있던 유적이 소프카 류브비(리도프카 문화층), 쿠댜, 데두시킨 클류치, 미스 테플리이(리도프카 문화층)가 있고, 중세시대에는 소프카 류브비(여진 층), 미스 테플리이(말갈 층), 말라야 카르마, 카라민스키 흐레베트 유적 등이 있다. 이 길은 지보피스나야 강 하류까지 가장 짧은 길인데, 9km를 넘지 않는데 하루에 갈 수 있는 거리이다.

아르세네프는 여행기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암구 강에서 쿠수누Кусуну 강까지 길에서 절벽이 바다를 볼 수 있다. 이곳에는 고대의 도로가 있다. 수혈이 있는데 그 크기가 큰 걸음으로 300걸음 정도 되고 깊이는 약 4.3m 정도 된다. 또 다른 길은 산으로 올라가는 것이다..확실히 고대의 도로는 소욘(지보피스나야 강)강으로 이어진다. 성곽이 있는 곳은 교통로가 항상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케마 강 하류에서 암구 강 까지의 청동기시대부터 발해시기 교통로는 바다를 따라서 이어져 있었던 것으로 보이고, 바다와 인접한 강의 하류에 성곽이 축조되었다. 성곽 간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은데, 바다로 들어가는 강의 하류에 입지 하기 때문이다. 때때로 성지 사이의 거리가 9~15km도 있고, 휠 씬 더 벌어진 것도 있다. 산지성은 먼 곳을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방어시설용이고, 해안가 평지성은 항구로 이용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암구 강 유역에는 시호테 알린 산맥의 서쪽으로 들어가는 문이 없고 교통로는 해안가 길뿐이다



 

10) 지보피스나야 강 유역

세셀레프카 강, 세바스노프카(Севастьяновкa, Sevast'yanovka) 강과 지보피스나야 강을 포함하는데, 시호테 알린 산맥과는 관계되지 않는다. 암구 강과 마시모프카 강은 서로 연결된다. 아르세네프는 현대의 지보피스나야 강의 하구는 고대 항구로 그곳에 소욘스코예, 세셀레프스코예, 지보피스노예 성곽이 축조된 것으로 보았다.

암구 강에서부터 시작된 해안가 교통로는 이 강 유역까지는 청동기시대부터 발해 및 여진시대까지 모두 이용되었다. 이 성곽은 강의 하류를 통제하면서 보호-방어하는 역할이고, 바다로 들어가는 문지역할이다. 해안가 길은 계속해서 북쪽으로 마시모프카 강와 소볼레프카 강 까지 이어진다. 지보피스나야 강 유역에는 동해안을 따라서 올라가는 교통로가 있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5) 타요시나야 강 유역


아르세네프는 이 곳에 고대의 길이 있다고 했다. 벨렘베 강 하류에서 대략 11km떨어진 곳에 지류인 자비타야(Забытaя, zabytay) 강이 있고, 그곳에는 18세기의 도로가 지나는데, 바닷가인 유즈노-우수리스키 지역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길은 탸요시나야 강을 따라서 키예프(Киев, Kiev)고개까지 이어지고 콜룸베 강의 상류로 나간다. 이 강의 중류역타요시카(Таежкa, Taejka) 1~5과 하류우스티-벨림베 유적이 있는데 기원전 10세기의 리도프카 문화(댜코프 2000)의 것으로, 유적이 존재하는 것은 강을 따라서 교통로가 있었다는 것을 입증한다.

따라서 타요시나야 강 유역에는 선사시대부터 시호테 알린 산맥의 영서와 영동을 연결해서 바다까지 이르는 교통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키예프 고개에서부터 동해 바다로 향한다.

  


6) 말라야 케마 강 유역


지형학적 특징으로 시호테 알린 산맥이 영서지역과 연결되는 곳이 없다. 이 곳에는 타요시나야 강 하류에서 말라야 케마 강 하류까지 해안을 따라서 있는 교통로가 있다는 것을 성곽이 증명한다. 발해의 성곽으로 보호감시 뿐만 아니라 항구의 역할도 한다. 이 길은 현재까지도 이용되지만, 고대의 교통로가 현대의 도로보다도 더 짧고 빠르다.

말라야 케마 성지로 난 길은 끊어지지 않고 이 강의 북쪽에 위치한 케마 강 하류와 시토르모바야 항구까지 이어져서 북쪽으로 계속된다.


 

7) 케마 강 유역


지형학적 특징으로 인해서 시호테 알린 산맥의 영동지역에서 고립된 곳이다. 서쪽으로는 접근하는 길이 없으며, 케마 강의 상류로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아르세네프는 紅鬍子과 싸울 때 그는 시호테 알린 산맥의 수계 중에서 우데기 족이 이용하던 케마 강의 서쪽을 통해서 아르무 강으로 들어갔다고 했다. 케마 강의 수계에서는 시호테 알린 산맥을 넘어가면 말라야 스베트로보드나야(Малая Светловодая, Malaya Svetlovodaya)강으로 연결되고, 거기서 비킨 강 상류로 이어진다. 발해시기에 케마 강의 지류인 탈니코바야 강에서 방어역할을 하는 곳이 우스티-일모 성곽이다. 이곳에서 나오는 길은 스토르모바야(Штормовая, Shtormovaya) 항구가 있는 바다까지 이어진다. 항구에서는 해변을 따라서 북쪽으로 갈 수 있는 해안로가 있다. 항구와 해안가에는 켐스코예-돌리노예 성곽과 켐스코예-모르스코예 성곽이 2기가 있다. 매해 강을 건널 수 있는 장소가 바뀌기 때문에 케마 강을 건너는 것은 힘들다. 이곳은 강의 가장 하류 보다 약간 위쪽이다. 강을 건너기 위해서는 배나 말이 필요한데, 발해인과 여진족은 배로 운반하는 것에 아주 능했다.

따라서 케마 강 유역에는 2개의 길을 설정할 수 있다. 하나는 시호테 알린 산맥을 넘어서 아르무 강과 비킨 강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해안길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는 길이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3) 드지기토프카 강 유역.


드지기토프카 강 유역은 시호테 알린 산맥의 동과 서를 연결하는 해서 동해로 들어가는 길목이 있는 중요한 집수구역이다. 이곳에는 2개의 길이 있고, 체레무호바야 집수지에서 하나로 연결된다. 첫 번째 길은 루드나야 강 유역에서부터 고루부샤 고개를 넘어서 체레무호바야 집수지로 들어오는 길이다. 이 강의 중류역에는 체렘샤니 발해 성곽이 위치하고 있다. 또 다른 길은 아무르 강 유역과 관련되었는데, 시호테 알린 산맥의 서쪽과 연결되고, 연해주의 대륙과도 연결되는 지점이다. 산의 문지 역할을 하는 곳은 포드네베스느이 성곽이다. 이 길은 볼쇼야 우수르카 강과 이르티스 강과도 관련되어 있으며, 거의 드지기토프카 강의 상류와도 연결된다. 체레무호바야 강 하류는 루드나야 강의 지류와 합쳐져서 드지기트 만의 바다로 들어간다. 이 강 유역의 전체 길이는 70km 정도이다. 이 강의 길에는 발해 성곽과 동하국 성곽이 (포드네베스나야, 드지기토프스코예, 쿠날레이스코예, 크라스노예 오제로, 클류치 성곽) 지키고 있다


왜 드지기토프카 강의 좌안으로 길이 지나갔을까? 고개성 산지성인 포드네베스느이 성곽에서 출발한 도로는 지금도 이 강의 좌안을 따라 나있기 때문이다. 이 곳에는 드지기토프스코예 성곽과 쿠날레이스코예 성곽이 있다. 1970년대 중반까지 쿠날레이스코예 성곽에서 출발한 길은 드지기토프카 강 하류에 위치한 크라스노예 오제로와 일종의 등대 역할을 한 클류치 성곽까지 강을 따라서 갈 수 있었는데, 가장 짧은 길이다. 그 길이가 8km를 넘지 않는다. 그 길은 지금도 일부구간이 남아 있다. 클류치 성곽은 드지기토프카 강의 좌안에 위치하는데, 드지기트 항구를 지키는 역할을 하며, 강의 하류를 통제하고 있다. 선사시대부터 발해시기 까지 바다와 가까운 언덕의 아래쪽에 성지를 축조하기도 했는데, 현재는 석호가 확인되는 곳이다.

따라서, 드지기토프카 강 유역의 교통로는 선사시대 부터 확인된다. 남쪽의 루드나야 강은 체레무호바야 고개를 통해서 연결되었고, 서쪽은 포드네베스카야 고개를 넘어서 아무르 강 쪽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그림. 드지기토프카강과 세레브랸카강 유역의 위치



 http://세레브랸카 강 유역의 석성 1.

위를 참고하면 세레브랸카 강 유역의 성곽 위치를 좀 더 자세히 알수 있다.


4)세레브랸카 강 유역


아르세네프는 하룻밤에 테르네이 항구에서 시호테 알린 산맥을 넘어 아무르강 유역의 이만 강 까지 갈 수는 있지만 매우 힘들었다고 기록했다. 세레브랸카 강은 세 곳의 고개에서부터 출발한 강이 하나로 합쳐진다. 시호테 알린 산맥의 콜룸베 수원지는 볼샤야 우수르카 강의 우안 지류로서, 이곳도 교통로라고 하는데, 의심스럽다. 왜냐하면 첫째로 고개에는 성곽이 없고, 두 번째 주변의 대부분 고고학 유적과 성곽은 세레브랸카 강 유역의 중류와 하류역이나 좌안 지류인 자볼로첸나야 강 유역에 있기 때문이다. 이곳에는 2개의 석성 유적(자볼레첸나야 성곽과 스미리코프 클류치 성곽), 세레브랸카 강 하류에는 청동기시대의 취락마을 유적인 미스-스트라시느이 유적이 있다. 고고학 유적을 바탕으로 교통로를 복원해 본다면 세레브란캬 강의 하류에서 출발해서 자볼레체나야 강 하류쪽을 돌아서 북쪽으로 통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곳에는 사할린 고개를 넘으면 콜룸베 강에 다다르고, 그 다음 볼쇼야 우수르카 강과 아무르강까지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르세네프는 세레브란캬 강의 하류에서 타요시나야 강의 하류까지 가는 길이 있다고 했다. 이 길은 산을 넘어가는 것으로 현재에도 바다로 통하는 길이 있다. 이 길의 흔적은 아마도 터널, 보초시설, 표식 등으로 남아있다고 한다.

따라서 이 세레브랸카 강 유역에는 2개의 육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하나는 세레브랸카 강의 하류에서 자볼레첸나야 강을 지나 사할린 고개를 통해 아무르 강까지 연결되는 길이고, 다른 하나는 세레브란캬 강 하류에서 타요시나야 강까지 연결되는 길이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gold)...번쩍거리는 것.

필자는 반짝이는 것을 무척 좋아한다.

필자가 첫 논문을 쓴지 14~16여년 고고학을 연구하고 있지만 황금과는 전혀 관련 없는 시대를 쓸고 닦아써 지금까지도 쓰고 있다. 그리고 계속 쓸 것이다.

 

그런데 머릿속에 맴돌던 주제가 있었는데 그것은 에르미타쥬 박물관과 시베리아 연구소에서 본 황금유물이다.

 (한국에서 황금이 출토되기 시작한 것은 삼국시대 이후의 일이다.이에 대해서는 동아시아는 옥을 귀하게 여겼다고 하는 일각의 의견과 동이위지전의 기록이 있기는 하지만.....명분없는 이야기는 있을 수 없다))

 

 시베리아에서는 이미 기원전 9세기부터 철기시대 였으며, 기원전 5세기가 되면 황금유물이 출토되기 시작한다. 이름 하여 스키타이문화 혹은 스키타이 세계라고도 한다.

이 문화를 상징하는 세 가지 아이덴티티가 확인 되는 유물이 유라시아 각 지역에서 확인된다. 이를 엮어서 스키타이 세계라고 한다. 그 범위는 어마어마하게 넓은데 흑해부터, 중국 요서지역까지 포함됨다.


박물관의 건물칭찬만 하다보니 그리고 블로그가 너무 재미없는 것도 같아서

새로운 주제를 좋아하는 필자는 황금유물을 하나씩 소개해 보고자 한다.(아마도 어느날 이걸로 논문을 쓰게될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아련히..)

 

사진의 그림은 흑해북연안의 쿨오바Куль-Оба, Kul'-Oba라고 하는 무덤에서 출토된 동물장식이다.



보시면 알겠지만 사슴이다.

사슴의 뿔이 멋있는 걸로 보아서 숫사슴이다.

그런데 더 자세하게 보면 눈에는 칼을 그렸고, 몸통에도 여러 동물을 표현했다.


왼쪽부터 살펴보면


가장 왼쪽은 상상의 동물 그리핀 이고, 중간에 놀란 표정의 동물, 그 옆에는 사자가 있다.


사자는 시베리아에 서식하는 동물이 아니다. 즉 시베리아에서는 좀처럼 찾아볼 수 없는 동물장식인데, 그런데 스키타이 문화에 간혹 있기도 하다. 흑해연안에. 그리스와 페르시아와 가까운 곳에.

 즉 사자는 흑해 혹은 코카서스 산맥의 남쪽 지역과 관련성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핀은 스키타이 문화의 대표적인 동물문양이지만, 이 그리핀은 페르시아의 것과 가깝다. 시베리아에서 나오는 그리핀과는 전혀 다른 스타일로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나중에 유물로 설명하겠다.


사자와 그리핀 사이 중앙에 있는 동물은 확실하진 않지만 유제류인건 확실하다. 굽이 있다.


그리고 숫사슴의 목 아래에는 표범이 표현되어 있다. 스키타이 문화에서 표범문양은 주요장식중에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숫사슴이 다리를 웅크리고 있는 것도 특징중에 하나이다.

 

이 유물은 31cm가량 크기이다. 화살통 장식판이다. 아마 뒤를 돌려보면 매달 수 있는 꼭지가 있을 것이다.

출토된 무덤은 기원전 5~4세기로 파악되고 있다.

 

황금사슴장식은 스키타이 문화의 세가지 아이덴티티 가운데 하나인 동물문양장식이다. 동물문양장식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그 중에 하나가 사슴문양이다. 동물문양장식은 단독유물이라기 보다는 말 그대로 어딘가를 장식해서 아주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유물은 흑해연안에 위치한 무덤출토품이다. 그러나 이 유물이 출토되는 스키타이 문화의 시작점은 시베리아 정중앙에 위치한 곳이다. 기원전9세기!!!!



  이곳에서 쿨오바 유적을 찾아보기 바란다...표시하기 보단 찾아보는 재미를 위해서.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