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4. 바닷길



필자는 고대의 바닷길은 바다와 만나는 강 하류에 항구로 사용하기 좋은 곳에 축조된 성곽을 통해서 알 수 있다고 판단한다. 시호테 알린 산맥의 중부지역에서 확인된 고대 성곽을 지도에 표시하면 제르칼나야 강에서부터 사마르강 강의 하류까지 600~650km에 가까운 바닷가 길을 복원할 수 있다. 물론 이런 바닷길은 바다에서 해안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을 이야기 한다. 극동의 동해 바다를 따라서 교통로를 복원한다는 것은 엄청난 일이지만 앞으로도 해결할 것이 매우 많다(그림 135).

  

그림 135. 연해주 청동기시대 해안로와 

 

 

1). 청동기시대의 교통로


 동해의 제르칼나야 강에서 타타르 해협의 사마르가 강까지 모두 15기의 토성 및 석성(우스티-제르칼노예, 두브로빈스코예, 클류치, 미스 스타라시느이, 우스티-벨렘베, 켐스코예-스칼리스토예, 우툐스노예, 미스 알렉산드라, 소프카 류브비이, 쿠댜, 데두시킨 클루치, 미스 테플리이(중간층), 소욘스코예(아래층), 지보피스노예, 사마르가-6(댜코바 2005) 유적이 확인된다


 모두 강의 하류에 축조되는데, 이는 리도프카 문화 가운데서 쿠날레이스코예 그룹으로 드물게 확인되는 것이다. 가장 남쪽은 제르칼나야 강 하류의 우스티-제르칼노예 성곽이다. 이곳에서 북쪽으로 약 80~90km 떨어진 곳에 두브로빈스코예 성곽이 위치한다. 여기서 다시 북쪽으로 80~90km 떨어진 곳에 디지기토프강 하류에 클류치 성곽이 축조되어 있는데, 상층은 발해시기, 아래층은 청동기시대이다. 클류치 성에서 북쪽으로 55~60km 떨어진 곳에 세레브랸카 강의 하류에 미스 스타라시니이 토성이 있는데, 항구 역할을 했던 곳이다. 여기서 북쪽으로 30~40km 더 가면 타요시나야 강의 하류의 우스티-벨렘베 성곽이 있다. 20~30km 떨어진 곳에 켐스코예-스탈리스토예 석성, 20~25km 떨어진 곳에 페르바야 우툐스나야 강과 페세라 강의 하류에 우툐스코예 토성과 미스 알렉산드라 2중벽이 있다. 북쪽으로 70~80km떨어진 암구강 하류의 소프카 류브비(아래층), 쿠댜 토성, 데두시킨 클류치 성벽이 축조되었다. 미스 테플리이 토성은 암구 강에서 북쪽으로 3km 떨어진 곳에 아주 작은 만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 10~15km 떨어진 곳에 소욘스코예 토성(아래층)이 있다. 해안으로부터 얼마간 떨어져 있지만, 육로로부터 강의 하류로 들어오는 길목을 지키기에는 별 어려움이 없었을 것이다. 북쪽으로 6~7km 떨어진 곳 타타르 해협 방향으로 사마르가-6 토성이 위치한다. 바다에서 얼마 떨어져 있지만 성곽에서는 사마르가 강의 하구와 해안교통로를 잘 지켜 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지보피스나야 강과 사마르가 강 사이에는 새로운 성곽이 있을 가능성은 충분하지만 현재까지 조사된 바는 없다.


 위의 성곽유적은 곶 위에 위치하면서 해안로와 강의 하류를 모두 통제하는 기능을 한다. 대체적으로 단일 문화층이다. 우스티-제르칼노예 성곽과 가까운 곳에 제르칼노예-4 유적이 있는데, 두브로빈스코예 성곽으로 리도프카-1 유적을 방어한다. 미스 스트라시느이 토성 뒤에는 세레브랸카 평지성이 있고, 암구 강 유역에는 리도프카 문화 유적이 있으며, 사마르가-6 토성은 사마르가-5 마을 유적을 조망하기 위에 높은 곳에 축조되었다(그림 135).

 가장 중요한 것은 방어와 감시 기능으로 해안로와 항구를 감시하는 것이다. 대치상황은 적 뿐 만 아니라 해적의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해적 활동을 한 종족에 관해서 역사 기록이 남아 있다. 그들은 바다에서만 활동하지 않고 육지에서도 해적질을 하였다. 우스티-제르칼노예, 클류치, 미스 스트라시느이, 켐스코예-스칼리스토예, 소프카 류브비, 미스 테플리이, 지보피스노예, 사마르가-6 유적은 해안로와 해로 모두를 감시한다. 당연히 상업적 항구에는 지역생산물과 지역 주민들이 이용하는 수입물품 등이 있었을 것이고, 이는 고고학적 유물로 남아 있다. 예를 들면 이 지역에서 유명한 녹색 마노의 석재를 사고 팔았을 것이다. 항구 역할을 하는 성은 앞서 방어역할을 하는 성곽 중 클류치 토성을 제외하고 모두 해당된다.

 특히 연해주의 남부 바다가를 얀콥스키 문화인등이 장악했을 것인데, 내륙에 리도프카 문화인들과는 차이가 있는데, 고고학 유적에서 이러한 정황이 발견된다. 얀콥스키인은 바다를 배경으로 살아가는데 아주 능하였다. 시호테 알린 중부의 영동지역 해안가에는 리도프카 문화인들이 거주하고, 얀콥스키 문화인들은 살지 않았다.

하지만 쿠날레이코예 그룹의 유적들은 기원전 10세기 가량에 양 문화의 접촉이 있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발굴된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에 얀콥스키 문화 중기와 리도프카 문화 특징이 함께 발현되기 때문이다.

 리도프카 문화인들이 해안로를 자신의 교통로로 이용했다는 것은 이 시기의 토성이나 석성으로 입증되지만, 직접 건조한 배는 확인된 바 없다. 하지만 아마도 얀콥스키 인들의 배를 이용했으며, 혹은 다른 문화도 배를 이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리도프카 문화 중에는 일본 구주 지방에 리도프카 문화 토기 특징이 나타나는데, 그들이 건너간 것이 틀림없다. 하지만 거주한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기원전 10세기 가량 연해주의 동해와 타타르 해협에서는 정확하게는 제르칼나야 강의 하류에서 사마르 강 하류까지 교통로 역할을 하는 해안로가 있었다. 강으로부터 들어가고 나가기 쉬운 항구시설이 있어서 편지한 장소에 위치한 토성과 석성이 이를 입증하며 그 곳과 주변 지역을 모두 통제하였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