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스키타이 문화의 물질문화 중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고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는 유물 중에 하나는 청동솥(동복)이다. 스키타이가 망한 이후 흉노와 사르마트 문화에서도 사용되며, 유럽의 헝가리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에서도 뚜렷하지는 않지만 대체로 1세기 이후(길림성 유적인 유수노하심의 연대문제)부터 나오기 시작한다. 중국 감숙성에는 더 이른 시기에 나오는 유물도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뚜렷하지는 않다.

 

아뭏튼 유라시아 초원지역에서 기원전 7세기경부터 나오기 시작하는 청동솥은 크기부터 모양까지 매우 다양하며 실제로 요리에 사용된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지역과 연대마다 청동솥의 형태는 다르지만 지속적으로 사용되는데, 복잡하고 힘들지만 재밌는 주제이다.

 

 

 

그림 1.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발견된 청동솥, 기원전 7~4세기로 추정.

 

 

그림 2. 러시아의 오렌부르크 지역. A.D.4-5세기

 

 

 

올해 하반기에는 블로그에 글 적는 일이 줄어들어서 매우 미안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너무 신경쓸 일이 많았고, 또 생각할 부분도 많아서입니다. 새해에는 장담은 못하겠지만 그래도 최선을 다해서 지속적으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블로그에 오시는 분들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청동솥에 복이 담겨 있습니다^^

 

 

김재윤 드림

 

 

 

posted by 김재윤23

고대 알타이(기원전 5세기)의 무덤 속에서 나오는 그릇은 토기 외에도 목제로 된 용기가 존재한다. 손잡이가 한쪽으로만 붙은 것인데, 아르잔-2호에서 발견되면서 기원전 7세기 이후부터 이미 시베리아에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목제 용기는 알타이의 무덤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더 전통적인 그릇이며, 역시 쿠미즈를 담기 위한 그릇이다.

 

주로 알타이에서만 출토되지만 서쪽에도 사용되었다. 볼가 강 유역의 필리포프카 유적에서는 목제 그릇에 달아서 장식했던 동물장식이 발견되었다. 모로드비노프카 유적의 목제 그릇은 아마도 유일하게 알타이를 벗어나서 목제 그릇의 존재가 확인된 예일 것이다.

필리포프카 유적에서 나온 금판 장식들과 유사한 유물들이 기원전 5세기 이후에는 흑해지역에서도 드문드문 발견되기 때문에 목제그릇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 파지리크 유적의 5호분 출토 목제 잔

 

그림 2. 알타이의 뿔로 된 항아리, 아크 알라하-3 유적

 

나무잔 혹은 나무용기가 우유 혹은 유제품을 담는 용기를 사용하는 장면을 헤로도투스는 설명했다.

 

‘속이 깊은 나무 용기에 노예들이 주위에 서서 우유를 흔들도록 만든다. 표면에 생긴 것을 끌어내는데, 이것을 소중하게 여긴다. 바닥에 있는 것은 덜 한 것으로 취급받는다’라는 구절이다. 우유의 상층만 걷어내서 뭔가를 만드는 장면이다.

 

아뭏튼 나무잔과 토기는 모두 유제품과 관련된 그릇이라는 것은 이미 다 밝혀진 바이다.

 

그런데 알타이의 무덤에는 액체를 담기 위한 그릇이 한 종류 더 있는데 뿔로 만든 항아리 혹은 잔이다. 사실 스키타이 서쪽에서는 뿔로 된 항아리는 나오지 않는다. 각배의 전통이 있기 때문이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베리아의 기원전 9세기 유적인 아르잔-1호에서부터 산(알타이) 위의 유적까지 연속적으로 보이는 것은 나무무덤방의 축조기술이다. 알타이 파지리크 유적에서는 무덤구덩이에 넣기 전에 나무를 미리 재단해서 표시를 해 두었는데, 이 기술은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니다. 알타이 보다 먼저 무덤이 만들어졌던 우육분지 투바의 아르잔-2호, 아르잔-1호에서도 무덤방을 만들 때 가장자리에 홈을 파서 아래와 위의 나무를 결구하는 방법이 발견되었다. 그 엉성해 보이는 아르잔-1호에서도 주인공을 위한 무덤방은 같은 무덤 안에서도 달랐다.

 

연속성이 보인다고 해도 시간이 흐르면서 새로운 물질문화도 생겨난다. 필자가 보기에는 토기이다. 화려한 물질문화 속에서 어쩌면 매우 소박해 보이기도 하고, 별꺼 아닌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알타이의 무덤에서는 꼭 1~2점씩 부장되었다.

이들을 알타이에서 만들지는 않았고, 연구된 바에 의하면 산림스텦지역에서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500km 이상 떨어진 곳이다.

다양한 모양의 토제 그릇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한 기종만 나오는데, 목이 긴 항아리이다. 물론 항아리 마다 차이는 있으나, 사발이나 접시 이런 기종은 나오지 않는다. 모두 목이 긴 항아리이며, 채색되거나, 가죽 아플리케를 붙여서 장식했다.

 

 

그림 1. 파지리크 유적의 토기

 

목이 좁고 긴 항아리는 액체류를 위한 그릇이다. 특히 유제품(쿠미즈)와 같은 음료를 담았거나 혹은 좀 더 발효된 우유로 된 알코올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특히 파지리크 유적이나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는 토기 주변에서 유제로 된 어떤 액체류가 주변에 흥건했던 것을 기록했다.

 

쿠미즈와 우유로 술을 만드는 기술은 매우 오래되었던 것 같은데 13세기기록에도 남아 있다. 1253~1255에 몽골을 다녀온 루브룩(William of Rubruck) 수도사가 ‘루브룩 여행기(William of Rubruck's Account of the Mongols)’에 몽골의 풍속, 종교 등을 기록해서 당시의 상황을 알 수 있다. V장에서 쿠미즈 및 술과 관련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V장의 제목은 쿠미즈이지만, 내용에서 쿠미즈를 만들고, 버터도 추출하고, 거기서 더 자극적인 맛이 나기 시작하면 취하는 장면이 나온다는 것으로 보아서 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책은 라틴어로 쓰여졌고, 영어로 번역되어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무덤의 벽과 바닥에 깔았고, 고대인의 옷의 주요 소재였던 펠트는 유목민의 발명품이었다. 기원전 3천년경 메소포타미아의 설형문자에 이에 대한 언급이 알려져 있다. 펠트는 양을 길들인 후부터 발명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소재는 시베리아를 포함한 중앙아시아에서 더 인기있는 소재였다.

 

펠트는 양털을 실로 만들어 직조하는 것이 아닌 높은 온도에서 압력을 가해서 만든 텍스틸이다. 봄에 자른 양털은 길기 때문에 실로 만들어서 직조하기 좋고, 가을에 자른 양털은 비교적 짧기 때문에 펠트 만들기 적합하다. 펠트는 양실로 만든 직조물보다 훨씬 마찰력에 강하다.

 

펠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털을 납작하게 눕히도록 하기 위해서 두드리는 과정이 필요하다. 납작한 여러겹의 펠트를 여러 층으로 쌓고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물이 필요하다. 물을 준 후에 카펫처럼 단단하게 말아서, 누르거나 발로 차거나 해서 롤을 단단하게 만든다.

 

펠트는 무덤 바닥의 깔개와 벽의 장식으로도 사용되었다. 바닥의 깔개로 사용된 것은 아크 알라하 3유적에서 그대로 나왔고, 벽의 장식용으로 사용된 문양이 화려한 것은 파지리크 유적 5호묘의 것이 유명하다. 이 외에도 사슴털로 채워진 안장의 쿠션, 안장의 덮개, 모자, 후드가 달린 상의, 스타킹, 말 머리 장식 등 매우 많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양모 뿐만 아니라 야크의 털도 이용되었는데, 파지리크 2호와 5호묘에서 출토되었다.

 

 

 

 

 

그림 1. 파지리크 유적의 5호 출토품, 펠트로 만들어진 벽장식 카페트. 카페트 속의 남성과 여성은 같은 민족이 아니어서 더 눈길을 끈다.

 

 

 

무덤만드는 기술에 이용된 나무를 결구하는 방법과 펠트를 제작하는 방법은 결국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것이었다. 필자가 소개한 알타이의 유적 가운데 미라가 나오는 무덤은 극히 일부이고 파지리크 유적, 바샤다르, 투엑타 유적과 같이 화려하고 많은 부장품의 경우도 일반적인 것은 아니다. 해발 2500m의 우코크 고원에서 발견된 아크 알라하 3, 베르흐 칼쥔II유적, 추야 계곡의 수많은 기원전 5세기 사람들은 대부분 무덤 부장품이 소박하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문화권 가운데 시베리아에서 무덤 속에 나무방을 지었다. 기원전 9세기 아르잔-1호로부터 시작된 나무 다듬는 기술은 기원전 5세기 알타이의 유적까지 이어진다.

 

시베리아의 스키타이 문화에서는 집과 관련된 유적이 발견되지 않는다. 하지만 스키타이 문화의 서쪽에서는 성벽을 아주 튼튼하게 쌓은 성곽 유적들이 드네프르강 주변에 빼곡하게 발견되었다. 필자가 이는 이미 포스팅 한 바 있다.

 

시베리아 스키타이 사람들은 헤로도투스가 말한 것처럼 집도 없었을까?

하지만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분지의 보야르 암각화 유적에서는 집을 그린 것이 발견되었다. 이 유적은 타가르 문화(스키타이 문화권 가운데 미누신스크 지역문화)에 해당하며, 가장 늦은 기원전 4세기 가량의 유적으로 알려졌다.

 

 

그림 1.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보야르 유적의 말라야 보야르 지접, 볼사야 보야르와 말라야 보야르 지점이 있다.

 

 

 

그림 2. 기원전 9세기 아르잔-1호에서 출토된 직물들. 유적의 중심무덤방은 도굴된 상태여서 중요한 유물은 없었지만, 직물의 존재는 알려지게 되었다. 펠트 조각들이다. 

 

 

 

아마도 이들의 집은 일종의 ‘유르트’라고 불리는 텐트와 관련되었을 것이다. 유르트의 본질은 쉽게 조립되고 분해되는 것이다. 일종의 밴드로 연결된 격자벽을 둥글게 엮고 그 위에 반원형 모양의 지붕을 만들 수 있는 돔형 구조물이 있고, 이를 덮을 수 있는 펠트만 있다면 가능했을 것이다. 연구자들은 암각화 속의 집을 일종의 유르트 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유르트는 쉽게 분해 할 수 있고, 흔적은 남지 않는다.

 

스키타이 무덤속에서 발견되는 나무를 다듬는 기술을 아마도 당시에도 텐트의 골조를 만들던 기술로 연결되었을 것이다. 아크 알라하-1 유적의 무덤방에는 이미 사용되었던 것으로 나무를 재사용해서 무덤방을 만들었던 것이 발견된 적이 있다. 물론 펠트는 사방에 널려 있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