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시니가이 문화의 유적은 연해주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지만,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의 유적은 연해주의 동부지역(해안가)에만 위치하고 있다(http://eastsearoad.tistory.com/145?category=737917의 그림 1 참고). 현재의 자료로는 시니가이 문화와 마르가리토프카 문화 사이의 공백기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고고학 현상과는 차이가 있다.
  연해주 내륙의 신석기 후기 단계에는 레티호프카 유적, 시니가이 A유적, 아누치노-14, 노보셀리쉐-4유적 등 신석기시대 후기 유적에서는 반드시 그 상층에서 시니가이 문화 청동기시대 층이 확인된다.
 뿐만 아니라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는 신석기시대 토기가 주거지 바닥에서 확인된다. 레티호프카 유적의 절대연대는 이어지는 시니가이 문화의 연대와 이어지고 있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가 단절적이지 않은 점은 여러 가지 정황이 확인된다.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변화는 토기에서 확인된다. 신석기시대 외반 구연의 발형토기(그림1-1,2)는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에서는 토기 기형의 기고가 짧아지면서 발형에서 많이 변형되었다(그림1-8). 이 변화는 전고(김재윤 2011)에서 뇌문토기 기형에서 변화한 것으로 보았다. 뿐만 아니라 시니가이 문화의 토기도 신석기시대 외반 구연 발형토기가 청동기시대가 되면서 구연부가 좀 더 외반하면서 옹형(그림 1-9)화되었다. 일부 토기는 경부가 좀 더 길어지고 호형으로 변하며, 무문화되었다(그림 1-12). 

그림1


 뿐만 아니라 구연부에서도 변화가 보인다. 신석기후기의 구연부에 돌대를 부착하거나 구연단에 접해서 이중구연(그림 2-1~3)처럼 붙는 제작방법은 청동기시대문화(그림 2-4~9)에서도 이어진다. 호형토기의 구연부는 외반하면서 약간씩 접고 그 상단을 손으로 눌러서 마무리 하면서 퇴화 이중구연(그림 2-10)처럼 보인 것도 있고, 일부는 구연단화 되어 홑구연(그림2-11)이다. 

그림 2

 이를 신석기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자연스러운 변화를 직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유적은 레티호프카 유적와 아누치노 29이다. 레티호프카 유적 04년도 수혈과 아누치노 29 유적에서 무문 봉상파수부 토기(그림 3-1~6)가 모두 출토되었으며, 이는 서부 2유형인 시니가이 A유적의 중층에서도 출토되었다. 또한 이와 함께 신석기 문양이 그려진 높이 60cm 가량의 구연부 외반된 발형토기(그림 1-6)가 유사한 기형으로 문양이 없는 토기(그림1-7)가 시니가이 서부 2유형에서 출토된다. (http://eastsearoad.tistory.com/142?category=737917의 그림 1-2)이 토기는 기고보다는 동최대경이 훨씬 더 큰 독특한 기형으로 청동기시대에도 그대로 유지된다.
 만약 몇 백년간 단절이 있었다면 거의 유사한 형식의 토기가 비슷한 지역에서 출토되는 것이 가능할까?

그림 3

 특히 직접 발굴에 참가한 바 있는 레티호프카 유적의 04년도 수혈에서는 편평 석부, 성형석부, 환상석기, 석검의 봉부 등은 이 지역 신석기시대에서는 출토되지 않는 마제석기(그림4- 6~12,15,17~19)가 수혈의 바닥에서 출토되었다. 아누치노 29 유적에서도 다른 신석기후기 유적에서 확인되는 타제석촉과 함께 마제석부, 마제석착(그림 4-5,13,14,16) 등이 출토된 바 있다. 필자는 레티호프카 유적이 이미 신석기시대 후기가 아닐 가능성도 있음을 밝힌 바 있고, ‘전환기’라는 용어를 사용했다(김재윤 2004, 김재윤 2017).
 토기 뿐만 아니라 곡물자료도 레티호프카 유적의 시대에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04년 수혈에서는 조와 기장이 출토되었는데, 그 형태와 수가 신석기후기의 다른 유적에서 출토되는 것과는 다르다(세르구세바)는 점도 이를 뒷받침 한다.

그림4

이 문제는 시니가이 문화의 연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측정된 연대로만 시니가이 문화의 시작시기를 알 수 없다. 현재 이 문화는 연해주에서 유적조사가 그렇게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이다.

 언제 시작되었을까?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니가이 문화의 동부지역에서는 1유형과 2유형 모두 타제석기가 서부지역에 비해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 이전 시기인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동부 1유형(루드나야 프리스턴 2층)에서도 타제석기와 함께 마제석부(http://eastsearoad.tistory.com/145 의 그림 2 참고)도 확인되었다.


 동부 2유형 석기는 타제(때려서 만드는 방법)로 제작된 석촉(그림 1-1), 뚜르개(그림 1-2), 긁개(그림 1-3) 등은 1유형에서부터 계속 확인되며 석부, 석촉형 석기, 석촉, 석창, 석도 등 마제(갈아서 만드는 방법)석기의 종류가 늘어난다. 석부(그림 1-4)는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에 가깝게 각이 져 있다. 석촉형 석기는 끝부분이 둥글게 처리되었으며, 단면은 편평하다. 반면에 석촉(그림 1-6)은 중앙에 석촉의 중앙에 홈이 파져 있으며 끝부분이 들어가 있다. 석도(그림 1-7)는 반파된 것으로, 호선모양에 날이 마연되어 있다. 석창(그림 1-8)은 슴베가 부러진 것인데, 중앙에 능이 있다.

(그림 1. 시니가이 문화 동부지역의 석기, 1유형-상단, 2유형-하단)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니가이 문화는 연해주 해안가에도 유적이 확인되고 있다. 이를 시니가이 문화의 동부유형이라 할 수 있고, 1유형과 2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1유형과 2유형은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구분한 것이다. 이를 알 수 있는 것은 루드나야 프리스턴 유적에서 층위를 이루며 확인되고 있다.
 

(그림 1. 1-시니가이 A, 2-레티호프카, 3-아누치노 4, 4-아누치노 14, 5-쿠르글나야 돌리나, 6-블라고다트노예-1, 7-보다라즈젤나야, 8-루드나야 프리스턴, 9-수보로보 6, 10-리도프카 1, 11-에피스타피-1, 12-졸로타리 유적)


동부 1유형에 해당되는 토기특징은 신석기시대 문양이 남아 있는 토기와 함께 무문양으로서 구연부위가 벌어진 옹형토기(그림 2-1)이다. 이 토기의 구연은 점토가 하나 더 붙어 있는 이중구연이다. 구연단을 접은 것(그림 2-3)과 구연단 부근에 돌대를 부착한 것(그림 2-2)이 있다. 돌대나 이중구연단에 여러 가지 도구로 문양을 새기거나 문양을 새기지 않은 것도 있다. 문양을 새긴 것은 신석기시대 시문도구로 각목한 것, 단치구에 의한 단순한 각목이 있으며 파상으로 접은 것도 있다.


(그림 2, 시니가이 문화 동부 1유형 루드나야 프리스턴 2층(상단), 동부 2유형 루드나야 프리스턴 3층(하단)

동부 2유형 토기양상을 알 수 있는 곳은 루드나야 프리스턴 유적의 3층, 수보로보 6, 보도라즈젤나야, 베트로두이 유적 등이다. 발형토기 뿐만 아니라 옹형과 경부가 길어진 호형토기(그림 2-4)가 출토된다. 서부지역과 마찬가지로 마연된 토기이다. 구연부 제작방법은 홑구연도 있고, 구연단을 접은 이중구연토기(그림 3-1)도 출토된다. 구연단 상단에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1유형에서 확인된 단치구로 찍어서 새긴 각목(그림 3-7)도 확인되지만, 새로운 문양이 관찰된다. 삼각형(그림 3-6), ∩(그림 3-5), 완전 관통된 공열문(그림 3-3), 반관통된 공열문(그림 3-4) 등인데, 시니가이 문화 동부지역의 2유형에서만 보인다.


(그림 3. 시니가이 문화 동부 2유형)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니가이 문화에서는 청동 유물이 출토된다.
한반도 청동기시대에 존재한 비파형동검은 없다. 
 

청동 유물은 시니가이 A, 하린, 아누치노-14유적에서 모두 출토되었다. 대부분 소형으로 곡옥형 청동기(그림 1-15~20), 청동단추(그림-1-5·6·11·12·21), 연주식 청동기(그림 1-1~3·7) 등이다. 하린과 아누치노-14유적에서는 청동단추가 출토되었으며 그 외는 시니가이 A유적에서 출토되었다. 곡옥형청동기는 평면형태는 직각삼각형의 좁은 끝부분을 구부려 놓은 모양이 대부분이며, 다른 한쪽에는 구멍을 뚫어 놓았다. 크기와 구멍이 있다는 점에서 곡옥형 청동기와 유사하나, 평면형태가 장방형인 것도 존재한다. 곡옥형 청동기의 직선인 면은 능이 있다.
청동 유물을 분석한 콘코바는 자바이칼 유역에 있었던 카라숙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하였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토기 뿐만 아니라 석기도 신석기후기까지 타제석기가 주류를 이루는데 비해서 시니가이 문화가 되면서 마제석기 마제석기가 주를 이룬다. 특히 전면이 거의 마연된 편평석부와 석착, 석촉형 석기, 환상석기, 장방형 갈돌이 출토된다. 


 석부(그림 1-1)는 신부의 단면이 편평한 편평 석부이다. 평면형태가 장방형에 가까우며, 인부 쪽은 신부 보다 약간 넓다. 인부가 편인인 것이 많지만 양인도 있다. 이 문화의 대표적인 특징 중에 하나는 석촉형 석기(그림 1-4)이다. 단면이 0.1~0.2cm가량이고 길이는 3~4cm 이다. 단면이 편평하며, 슴베 부분이 약간 둥그스럼하다. 평면형태가 주(주)형에 가까운 것, 육각형으로 구분되나 무경식이기는 하나 슴베가 만입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필자가 실견한 바에 의하면 시니가이형 석촉형 석기는 인부를 세운 경우도 간혹 확인되지만, 이는 재가공된 것이다. 대부분 인부를 세우지 않고 양단이 절단되었으며 전면 마연되었다. 유물을 관찰하면서 석촉처럼 보이지만 인부가 뚜렷하지 않다는 점에서 석촉이 아닐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석촉(3~3.5cm)은 무경식으로 신부의 단면가 편평하다. 경부는 약간 둥글게 처리되었으며 봉부가 뾰족한 타원형에 가까운 형태이다. 이는 연해주 내륙에서만 확인되는 석촉이다.
 ㄱ자형 석도(그림 1-3)와 반월형직인석도(그림 1-2)가 출토되었는데, 손잡이 부분과 인부가 약간 꺾인 석도가 출토되었다. 석도의 인면은 마연되었으나, 그 반대면은 타제의 흔적이 남아 있다. 

(그림 1. 연해주 시니가이 문화 서부지역의 석기)


 이외에도 마제석창도 출토되었다. 하린 유적 출토품을 참고하면 중앙에 능이 있어 단면 장방형이고, 아누치노-14 유적의 출토품은 중앙에 능이 봉부 끝까지 있는 형태이다. 갈판과 갈돌도 출토되는데, 장방형 갈판(그림 1-5)이며, 갈돌도 단면이 방형이며, 전체 평면형태도 장방형이다. 연해주에서는 신석기후기 부터 갈돌과 갈판이 출토되는데 신석기시대 갈돌은 반월형인데, 청동기시대가 되면서 장방형으로 변화가 있다. 하린 유적 출토품은 타원형에 가까운 갈판으로 양 가 쪽으로 턱이 있다. 이것은 중앙 부분을 갈판의 길이 방향이 아닌 너비 방향으로 사용해서 이다. 곰배괭이도 출토된 바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