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에 해당되는 글 23

  1. 2018.07.30 북방고고학개론서
  2. 2018.07.24 암구 강 유역의 성곽 5
  3. 2018.07.24 암구강 유역의 성곽3
2018. 7. 30. 19:34 책소개

올해는 여러 저자들과 함께 쓴 책이 출판되는 해인가 봅니다.

물론 글은 이미 여러 해 전에 제출했는데 그 결과물이 나온 것입니다.


한국,러시아,몽골, 중국 등 모두 16명의 저자가 함께 한 것입니다.

여러 국가에서 참여한 만큼 시간도 꽤 오래 걸렸습니다.

제목은 북방고고학개론입니다.


필자가 대학원에 들어올 무렵에는 북방고고학의 중요성은 한국고고학계에서 알고 있었으나

대부분 일본학자들이 쓴 논문과 저작물을 통해서 북방을 이해하는 정도였습니다. 

 

이제는 많지는 않지만 몇 몇 한국학자들도 있습니다(그중에 나도 한명^^).

 2000년대 넘어 오면서 북방고고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일본에서 이미 소화된 자료보다는 원자료(러시아,중국, 몽골)에 좀 더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점이 한국고고학계에서 북방고고학을 연구한 1세대와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네요.


내용은 구석기시대부터 흉노시기(3세기)까지 구성되어 있습니다.


필자가 쓴 부분은 신석기시대와 한반도와의 교류 부분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몇 년 지나면서 아쉬운 점이 많이 남습니다.

지금은 이 보단 좀 더 다이나믹하게 작성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다음을 기약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앞서 소개한 http://북방 유라시아 제사 고고학의 현황과 과제

와는 좀 다른 느낌입니다. 그땐 뿌듯했으나,,, 이번 건은 아쉬움.....

그래도 소개합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5. 말라야 카리마 성곽


암구 마을에서 북동쪽으로 6.5km 떨어진 곳으로 동해쪽으로 향하는 절벽 위에 위치한다.

1908~1909년에 아르세네프가 여행기에서 이곳의 성에 대해서 적고 있다. 이 곳의 입지는 암구 마을과 소욘 마을 사이에 위치하는데, 해안과 가까운 곳에 성이 위치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그림 105, 그림 106).

 

그림105. 1908~1909년 아르세네프가 작성한 말라야 카리마 성곽 평면도


 1992년 크바신은 유적을 조사했는데, 평면형태가 오각형(그림 106)이다. 남쪽 성벽은 돌과 흙으로 축조되었다. 성벽의 높이는 바깥에서는 6m에 달한다. 북쪽 성벽은 2m너비의 절개면에 의해서 2 부분으로 나눠진다. 남쪽 성벽은 4m 너비의 문지로 성벽이 30m20m로 나누어진다. 성벽의 북쪽에는 10m 너비로 절개되었는데, 남은 성벽은 각각 80m75m이다. 북동쪽의 성벽은 토벽으로 문지의 너비는 10m가량이다. 북동쪽 성벽은 흙과 돌로 축조되었는데, 높이는 3m이다. 북서쪽과 남서쪽의 접하는 부분에는 정상부가 편평하게 처리되고 둥글게 튀어 나온 부분이 있다. 성의 평면크기는 1000이다.



 그림 106. 1992년 크바신이 육안으로 작성한 말라야 카리마 성곽 평면도



2001년에 아무르-연해주 고고학 탐사대가 조사하였는데, 말라야 카리마 성곽은 나지막한 고개에 위치하고 있고, 성벽은 아주 희미하게 남아 있다. 이 성벽은 이 곶의 정상부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서만 축조되어 있다. 성벽은 석성으로 외벽은 비스듬하게 경사가 있다. 성벽중의 일부 지역에는 성벽과는 다른 돌을 사용했는데, 문지로 추정된다. 성의 안쪽에서 잰 내벽은 0.3m가량이다. 남쪽은 절벽면과 거의 맞닿아 있고, 그 성벽 아래로 도로가 지난다.

성은 전체적으로 자형으로 개방형이다. 2곳에서 3m가량 절개된 문지가 확인된다. 유물은 확인된 바가 없다.

 

* 말라야 카리마 성곽은 산지성으로 평면형태는 자형이고, 성안의 내부는 편평하고, 내성과 보루 등은 없다. 평면적은 소형(1000)이고, 성벽의 축조시설로 치는 확인되지 않고, 문지가 2개 확인된다. 성의 용도는 방어용으로 동해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해서 해안가의 도로 등을 통제하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3. 류브비 소프카 성곽


암구 마을에서 남쪽으로 0.5km 떨어진 곳으로, 이름 없는 강의 오른쪽 강가로 이 강의 하류에서는 1.5km 떨어진 곳으로 류브비 소프카 위에 성곽이 위치한다(그림 102). 성은 남쪽 경사면의 떨어지는 곳에 위치하는데, 늪지대의 아래에서부터 언덕의 기슭을 따라서 2줄의 부채꼴 모양의 성벽과 해자가 있다. 북쪽과 서쪽에는 절벽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자연적인 경계가 가능하다. 언덕의 절벽은 세르바토프카(암구 강의 오른쪽 지류)와 암구 강과 맞닿아 있다. 성벽은 돌로 쌓아져 있는데 높이는 0.7~1m이다. 해자의 너비는 1m이고, 깊이는 0.5m, 성의 평면크기는 4500이다


의 내부에는 인공적인 테라스로 인해서 편평하지 않다. 테라스에는 온돌이 설치된 주거지가 확안되었다. 내성과 보루는 없다.


이 성은 1908~1909년 아르세네프가 처음으로 평면도를 작성하였는데, 이 성에는 3개의 짧은 성벽이 언덕의 정상부 쪽으로 있고, 문지가 있다고 표시해 놓았다. 1974 년에는 성은 댜코바에 의해서 조사되었는데, 유적에서는 문화층이 2층 확인되었다. 아래층은 갈색 사양토로 고금속기시대로 리도프카 문화와 관련되었고, 상층은 중세시대 문화층이다.




그림 102. 1974년 댜코프가 육안으로 그린 류보비 소프카 성곽 평면도


1982년에 니키틴과 이블리예프에 의해서 유적이 조사되었는데, 온돌이 있는 주거지에 트렌치를 넣어서 조사하였다.

1997년에 아무르-연해주 고고학탐사대는 이 곳을 지표조사 하였는데, 이 곳이 2층의 문화층임을 다시 확인하였는데, 상층은 동하국과 관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토된 유물은 회색의 녹로제 토기로 화병형 토기와 푸른색의 관옥이다.

* 류브비 소프카 성곽은 산지성으로 개방형으로, 성 안은 편평하지 않다. 성 내부에는 내성과 보루 등이 확인되지 않고, 성벽의 구조물로는 치가 없다. 성벽은 흙과 돌로 쌓아져 있다. 이 성의 크기는 소형으로 용도는 취락을 방어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동해쪽에서 항구로 들어오는 문과 성에서 북서쪽 해안가를 따라서 가는 길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4 5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