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몽골 울란곰 유적에서 발견되는 동물문양장식은 청동으로 주로 제작되었고 주로 어떤 유물의 부속품인데, 무기를 장식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 외에는 청동거울과 버클 장식 등도 있다. 버클로 장식된 동물은 무릎을 굽힌 굽동물인데, 정확하게 어떤 동물인지는 알 수 없다.

 

 

사실 스키타이 문화에서 가장 화려한 유물 중에 하나가 버클장식인데, 이를 잘 알 수 있는 것은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유물 컬렉션이다. 1716년에 시베리아 총독으로 부임한 가가린이 표트르 1세에게 10점을 보내면서 유물이 수집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사실 이 보다도 먼저 시베리아 고분에서 황금 유물이 나온다는 사실을 안 사람은 네델란드 과학자 Nikolas Witsen이다.

 1664년에 네델란드 대사관의 일원으로 러시아에서 근무했는데, 지리, 언어, 민족지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이었다. 러시아를 떠났지만 러시아 특파원?(스파이?)과 계속 관계를 유지하면서 정보를 수집했는데, 그 가운데는 도굴꾼이 획득한 금제품, 청동과 철제품도 포함되었다. 그는 1785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Cеверная и Восточная Тартария(타타르인의 북쪽과 동쪽)’에 자신이 모은 황금 유물을 자세하게 묘사한 그림을 남겨놓았다(그림 1~3). 그가 죽은 후에 수집품은 경매에서 팔렸다는 사실 외에는 더 이상 알려진 사실은 없었다.

 

그림 1. 비트젠(1785)의 수집품, 루덴코 1962 재인용

 

그림 2. 비트젠(1785)의 수집품, 루덴코 1962 재인용

 

그림 3. 비트젠(1785)의 수집품, 루덴코 1962 재인용

 

 

 

하지만 19세기에 그의 책에서 본 그림과 비슷한 수집품이 에르미타주 박물관의 표트르 1세 컬렉션의 유물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예를 들면 버클 장식으로 늑대와 맹수가 싸우는 장면(그림 1의 하단)은 실제 표트르 1세의 수집품(그림 4)로도 존재한다. 이 유물은 동일 유물이 아니라 ‘쌍’으로 제작되어서 한 점은 표트르 1세의 손으로 들어가고 다른 한 점은 Witsen의 손으로 흘러갔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비트젠이 남긴 편지에서 1714년에 인수했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표트르 1세에게 간 유물도 시베리아 총독이 수집해서 1716년에 보냈다. 당연히 같은 무덤에서 도굴된 것이다.

  비트겐의  사후 그의 수집품은 어디에 있는지 잘 모른다고 했지만 상당수가 표트르 1세 시베리아 컬렉션이 되었다.

 

그림 4. 기원전 3~2세기,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

 

그림 5. 기원전 5~4세기,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 시베리아 총독 가가린이 첫 번째 보낸 물품 중.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소장된 표트르 1세의 황금 유물 컬력션은 스키타이 시대만 국한 된 것은 아니고 기원전 3~2세기의 유물도 있다. 그림 4의 버클 장식도 기원전 3~2세기 유물로 생각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Руденко С.И. 1962 : Сибирская коллекция Петра I. / САИ Д3-9. М.-Л.: 1962.(루덴코 1962, 표트르 1세 시베리아 콜렉션)

Федоровна K.E. 2006, Золото кочевников. О "Сибирской коллекции" Петра I, НАУКА из первых рук(표드로브나 2006, 유목민의 황금,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컬렉션에 대해서)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5~3세기 몽골의 울란곰 유적에 묻힌 사람들은 아니 그 이전, 청동기시대부터 몽골 사람들은 사슴 숭배가 가장 먼저 생겨났고 그 뒤로 말 등 동물을 숭배했고, 자신의 조상도 경배했다. 사람 뿐만 아니라 하늘, 태양, 산도 숭배해서 자연 모든 것을 소중하게 여겼다.

 

조상에 대한 숭배 사상은 고대 투르크 시대까지 남아 있었고 몽고인들의 “성스러운 이야기: 聖火”가 만들어지는데도 어떤 역할을 한 것 같다고 노보고르도바는 생각했다. 왜냐하면 심지어는 특정 인물의 이름까지도 주민에서 주민으로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서 몽골에 수천년간 보존되었기 때문이다. 조상 숭배의 흔적은 오랫동안 전해지는데, 비석의 비문과 몽고인의 서사시, 몽골을 처음 방문한 여행가들의 이야기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천(靑天)’과 땅의 여신인 ‘에뚜겐’ 등이 그러하다. ‘에뚜겐’은 여조상의 모습인데, 인간에게 몸을 주는 모든 선과 악의 시작의 화신이다. ‘청천’은 영혼을 주는 존재이다.

 

인간 숭배의 극대화는 인간 신체 부위에도 의미를 두는 행위이다. 궁수의 엄지손가락과 같은 것이다. 장사(壯士)를 이기기 위해서는 반드시 엄지손가락을 잘라야만 한다는 믿음이 있었는데, 활 쏟을 때 가장 중요 부위가 엄지손가락이기 때문이다. 몽골의 서사시에도 장사의 영혼이 엄지손가락에 있다는 언급이 있었다.

 

노보고르도바는 몽골의 고대 무덤이 높은 산에 위치한 이유를 돌과 암석에게 조상의 영혼이 보존되었다는 믿음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몽골의 서사시를 연구하는 하이씨그 교수의 연구를 참고한 것인데, 석기시대부터 발생한 돌, 암석, 산에 대한 신화적 숭배가 수 세기에 걸쳐 몽골인에게 돌과 암석에 조상의 영혼이 살아 있다는 믿음이 보존되었고, 이것이 남아 있는 것이 영웅서사시라고 생각했다.

 

 

유라시아 초원문화의 물질 문화가 오랫동안 보존되는 특징은 정신적인 영역과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새로운 문물이 잘 생기기도 하지만 반면에 오래전에 유물도 잘 없어지지 않는 현상. 매우 진보적이면서, 반면에 매우 보수적이다. 예를 들면 동아시아지역에서는 구석기시대에 주로 사용되고 신석기시대에는 지역에 따라 다르만 거의 모습을 보이지 않는 세석인 같은 유물이 이 지역에서는 금속기시대에도 발견된다. 골제도 마찬가지로 금속제와 거의 대등하게 사용된다. 또 인간형상물 중에 하나인 여성상도 모습을 달리하지만 오랫동안 유적에서 발견된다(김재윤 2021).

 

그림 1. 몽골 암각화가 그려진 산

 

참고문헌

 

Новгородова Э.А. 1989 :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М.: ГРВЛ. 1989. 384 с.(노보고르도바 1989, 몽골의 고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몽골 기원전 5~3세기 울란곰 유적에서는 9명까지 매장된 무덤이 발견되었다. 유적에서 가장 많은 인원이 들어간 무덤으로 부장품도 다른 유적에 비해서 풍부하다. 토기 9점 외에도 동물장식이 있는 거울, 무릎을 굽히고 있는 굽동물, 낙타가 있는 동물 장식 등이 출토되었다. 동물장식은 아니지만 나뭇잎 혹은 풀 잎이 4개 돌아가는 장신구도 나왔다(그림 1).

 그런데 이 유물은 금속만 남아 있으나 잎모양 안에는 돌이나 보석류를 끼워서 제작되었을 수 있다. 소형의 금속제품에 다른 재질을 끼워넣는 방법은 표트르 1세가 시베리아에서 수집한 유물로 보아서 널리 유행했던 제작기법이다.

 

그림 1. 울란곰 유적 47호 출토 풀잎 모양 장신구

 

그런데 이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를 닮은 금속제 이미테이션이 시베리아 황금 유물 컬렉션에서 발견된 바 있다. 목이 긴 항아리 모양(그림 2-11, 53,54), 손잡이가 한쪽에 달린 목기(그림 2-21)가 발견되었다.

 

손잡이가 한쪽에 달린 목기를 연상케 하는 유물은 필자가 이미 소개한 바 있고 새로운 정보는 아니다. 목이 긴 토기를 연상케 하는 유물 중 외형상으로 가까운 것은 그림 2-53.55이다. 금제품의 목이 길고 곧기 때문이다. 울란곰 유적 뿐만 아니라 파지리크 유적, 아크 알라하-3 유적 등에서 발견되는 항아리(쿱신)을 형상화 했다. 손잡이처럼 보이는(그림 2-55) 부분은 어딘가에 달기 위해서 만든 고리 일 수도 있기 때문에 금속제품의 동체부를 비교하는 것이 더 유효하다. 토기는 아니지만 아르잔-2호에서는 청동솥을 닮은 모형이 출토된 바 있어서 같은 의미 혹은 용도로 토기 모형을 만들었을 수 있다.

 

그림 2. 표트르 1세의 시베리아 황금 유물 컬렉션

 

표트르 1세가 모은 황금 유물이 시베리아에서 가져간 것이기 때문에 도굴된 어떤 무덤 중에 한 곳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투바의 아르잔-2호가 발굴되기 전에는 그림 2에서 보이는 누금기법(작은 구슬을 덧붙이는 방법)은 시베리아에서 발생했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나 이에 대해서 생각해 볼 여지가 생겼다. 또 아르잔-2호에서 출토된 실제 청동솥은 무덤방 바깥에서 나왔고, 솥의 모형은 남성과 여성 인골 사이에서 위치했다.

수많은 유물 가운데서 금속 모형제품을 만드는 것은 토기, 목기, 청동솥 등 스키타이시대 그릇이 단순한 음식기의 용도이지 않고 어떤 특수한 의미 일 수 있다.

 

 

 

참고문헌

Руденко С.И.1962 : Сибирская коллекция Петра I. / САИ Д3-9. М.-Л.: 1962.(루덴코 1962, 표트르 1세 시베리아 콜렉션

Barbara Armbruster 2009 Gold technology of the ancient Scythians –gold from the kurgan Arzhan 2, Tuva, Archeo Sciences, 33, 2009, p. 187-193

Nowgorodowa E. 1980 : Alte Kunst der Mongolei. Leipzig: E.A. Seemann Verlag. 1980. 280 s.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기원전 5~3세기 몽골 울란곰 유적에서는 토기, 목기, 청동제 솥 등이 무덤속에 부장되었다. 동 시대의 인접한 알타이에 비해서 토기가 유적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목이 긴 항아리모양(그림 1)의 토기는 주로 유제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믿었다.

하지만 울란곰 유적에서는 내부에서 고기가 발견되었다. 액체류를 보관하기도 했지만 고기도 넣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유적에서는 항아리 모양 외에도 목이 짧거나 없는 토기도 나오기 때문에(그림 2) 토기를 다양하게 사용했을 수 있다. 고기 덩어리가 발견된 33호의 청동솥은 그 용도를 가늠해 볼 수 있다(그림 3).

 

그림 1. 울란곰 유적의 토기, 유제품 보관 항아리(쿱신)

 

그림 2. 울람곰 유적의 토기

 

알타이 추야강 계곡의 여러 유적에서는 목기로 가운데 손잡이가 한쪽으로 만 붙은 목제 그릇이 나오는데 이 유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상태가 온전치 않은 목제 그릇이 있기는 하지만 손잡이가 한 쪽으로 붙은 목기에 대한 언급은 없다. 대신에 목제 쟁반은 낮은 굽이 있는 유물이 있고, 붉은 색 락커(옷칠)를 칠한 목기가 나온다고 보고되었다. 울란곰 북쪽의 투바 지역에서도 비슷한 유물이 발견된 바 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이 목기의 사진이나 그림이 정확하지 않다.

 

그림 3. 울란곰 유적의 청동솥

 

스키타이시대 청동솥은 기원전 7세기 흑해 지역 뿐만 아니라 아르잔-2호에서도 나오지만 기원전 3세기 이후의 스키타이 문화 이후에도 계속해서 사용되는 물건이다. 크기와 형태가 달라서 그에 따라서 용도가 달랐을 것이다. 예를 들면 파지리크 2호에서 나온 청동솥은 높이가 13.8cm정도로 매우 소형이고, 그 내부에 불에 달군 흔적이 있는 돌과 향료의 씨앗등이 나와서 일종의 향로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르잔-2호의 청동솥 2점은 무덤방 바깥 무덤 구덩이 사이에 놓여 있었다. 아마도 무덤방 축조시 제사를 지냈던 흔적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청동기시대 집자리에도 벽을 파서 토기를 묻어두는 행위가 있는데 의례적인 행위라고 생각한다. 반면에 울란곰 유적에서는 고기를 직접 요리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볼가강 유역의 필리포프카 유적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청동솥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다.

 

그림 4. 파지리크 유적 2호분 청동솥

 

 

그림 5. 아르잔-2호의 청동솥

 

그림 6. 필리포프카 유적의 청동솥

 

 

스키타이시대 이후의 고고학 자료로 기원전 3세기 부터 모습을 드러내는 흉노,  2세기선비 문화에서도 청동솥은 발견되고, 3세기 가야의 무덤인 대성동에서도 형태는 다르지만 청동솥(동복)이 출토된다(이미지 검색이 쉽다. 청동솥이라는 명칭 대신에 동복이라는 용어를 쓴다). 스키타이시대 이후의 청동솥은 매우 실제 사용되었다기 보다는 무덤부장용으로만 사용되었고 그 수도 빈번하지 않다.

 

 

참고문헌

Пшеничнюк А.Х. 2012 : Филипповка: Некрополь кочевой знати IV века до н.э. на Южном Урале. Уфа: ИИЯЛ УНЦ РАН. 2012. 280 с. (Документы и материалы по истории башкирского народа.)(피세니축 2012, 남부 우랄지역의 기원전 4세기 유목민의 네크로폴리스, 필리포프카 유적)

Руденко С.И. 1953 : Культура населения Горного Алтая в скифское время. М.-Л.: 1953. 402 с. (루덴코 1953, 스키타이 시대 알타이 산의 주민문화)

Чугунов К.В., Парцингер Г., Наглер А. 2017 : Царский курган скифского времени Аржан-2 в Туве. Новосибирск: ИАЭТ СО РАН. 2017. 500 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의 초기철기시대는 스키타이 문화권라는 거대한 연합 공동체가 존재했는데 그 중에서 몽골에서는 울란곰 문화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울란곰 유적의 이름을 그대로 명명한 것이다.

 

마모노바는 동시대의 다른 유적에 비해서 울란곰 유적에서 어린아이의 수가 적은 편이라고 했다. 통나무관이나 돌널무덤에 혼자 묻힌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성인들과 함께 매장되었다. 흥미롭게도 16호에서는 남성 4인과 함께 어린아이가 매장된 경우도 발견되었다.

어린아이는 남쪽 모퉁이에서 확인되었다. II~V호 인골은 무릎을 굽힌 채 매장되었다. 그런데 II호 인골 머리 위에서는 말의 골반뼈가 발견되었다. 또 III호 인골의 다리 부근에 토기가 놓여 있었다. 이 무덤에서는 청동단검(그림 1-5), 투부(그림 1-4), 가죽주머니에 든 청동거울(그림 1-3), 청동단추(그림 1-1), 청동버클(그림 1-2) 등도 발견되었다.

 

16호(2.5×2.5m)는 앞에서 본 무덤과는 토기의 부장위치, 피장자의 구성도 다르지만 무덤구조도 다르다. 무덤의 바닥에 납작한 돌(판석)을 깐 것이다. 이 유적에서는 나무방 무덤과 돌널 무덤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나무방 무덤은 바닥에 나무를 깐 것도 있지만 이 무덤과 같이 판석을 깐 것도 있다. 아마도 어떤 이유가 있을 것인데, 좀 더 살펴보아야 할 듯 하다.

 

 

그림 1. 울란곰 유적의 16호 무덤과 출토유물

 

그림 2. 울란곰 유적의 16호 무덤, 바닥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이 무덤에서 발견된 청동거울과 청동버클 장식은 다른 무덤과는 좀 다르다. 청동거울의 손잡이가 고리모양으로 만들어진 것인데(그림3), 16호분의 거울(그림 1-3)은 손잡이가 없다. 청동버클은 대부분 앞 부분이 둥근데(그림 4-4,5,6), 이 무덤에서는 방형(그림 1-2, 그림 5)이다.  동물 장식이 없는 무덤이다.

 유물 모양의 차이는 제작방법과 관련되기 때문에 고고학에서는 큰 구분의 기준이 될 수 있고,  시간차이로 볼 수 있다. 더욱이 무덤구조도 차이가 있다. 하지만 판석을 깐 나무방 무덤이 모두 그런 것인지는 좀 더 살펴보아야 한다.

 

 

그림 3. 울란곰 유적의 청동거울

 

그림 4. 울란곰 유적의 청동장신구

 

그림 5. 방형모양의 청동버클장식(가장 하단)

 

 

참고문헌

Новгородова Э.А. 1989 :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М.: ГРВЛ. 1989. 384 с.(노보고르도바 1989, 몽골의 고대)

Nowgorodowa E. 1980 : Alte Kunst der Mongolei. Leipzig: E.A. Seemann Verlag. 1980. 280 s.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