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스키타이 문화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유적은 무덤이다. 드물지만 흑해 주변의 드네프르 강 유역과 돈 강 유역에는 스키타이 문화의 성곽 유적이 존재한다. 주로 강의 어귀에서 교통로에 위치한다.

 

카멘스코예 성곽은 드네프르 강 유역에 위치한 스키타이 성곽이다. 기원전 4세기경의 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 성 내부에는 아크로폴(아크로폴리스)라고 불리는 그리스인의 정착지가 있었다. 그러나 그 구역은 매우 일부이고, 성곽지의 대부분은 스키타이 사람들의 영역이었다.

 

조금 더 서쪽으로 이동해서 돈 강 유역에 위치한 엘리자베인스코예 성곽을 살펴보도록 하자.

유적은 아조프해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그리스와 관련성은 좀 더 깊어 보인다.

엘리자베트토프스코예 성곽은 두 줄로 된 성곽 안(성의 면적은 40~55헥타르, 평면형태 사다리꼴)에 마을 유적이 만들어진 것이다. 남아 있는 집의 건축물은 그리스 기술로 지어진 것이다. 지하에 땅을 파고 나무기둥을 세워서 그 사이를 벽돌로 채우는 방법이다(그림 2,3). 지붕은 지표면 높이로 만들어졌다(그림 4)

성곽의 가장 중앙 내부에 아크로폴리스 라고 불리는 구역 안에는 그리스식 집이 남아 있는 것이다. 그리스식 건물지가 들어선 것은 기원전 3세기의 1/4분기에 세워진 것이고, 그 구역은 12헥타르 정도이다.

 

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그림 1. 엘리자베토프스코예 성곽의 평면도(위: 1928년 작성, 아래: 1972년 작성), 유적이 발굴되기 시작한 것은 1824년이고, 1964년 이후로 매년 발굴을 했다.

 

 

그림 2. 엘리자베트포스코예 성곽 내의 그리스 식 집

 

그림 3. 엘리자베트포스코예 성곽 집의 벽 구조

 

그림 4. 복원도

 

성벽이 만들어진 것은 기원전 6~5세기 경이고, 이미 그 전부터 스키타이 사람들이 살았으며, 카멘스코예 성곽처럼 아주 적은 공간을 차지했다. 스키타이 사람들은 집자리 흔적은 남아 있지 않다. 계절에 따른 유목민이 머물던 장소로 겨울 도로가 남아 있다.

 

이 유적은 교통로에 위치하는데, 바로 인접한 돈강의 항구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엘리자베토프스코예 성곽이 스키타이 유적이라는 강력한 증거 중에 하나는 마을 앞에 위치한 스키타이 쿠르간 때문이다. 퍄티 브라체프 쿠르간(그림 5)이라고 불리는 쿠르간인데, 5기의 고분이 한 그룹을 이루고 있다.

 

그림 5. 퍄티 브라체프 쿠르간

 

유적이 사용되는 동안 마지막에 남은 건물구조가 그리스식이어서 아크로폴리스라는 명칭이 많이 사용되지만, 유적은 그리스가 세력을 팽창하기 이전인 기원전 6세기부터 존재했고, 스키타이 철제 무기가 대량으로 출토되었다. 물론 그리스식 토기도 마찬가지로 많이 출토된다.

 

참고문헌

Марченко К. К., Житников В. Г., Копылов В. П. Елизаветовское городище на Дону. М., 2000(마르첸코, 지트니코프, 코피로프, 2000, 돈 강 유역의 엘리자베트토프스코예 성곽)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문화를 이해하는데 '집'에 대해서는 오해가 있다. 그리스 역사가(헤로도투스) 들이 남긴 기록에는 스키타이 사람들은 방어된 마을과 집이 없이 바퀴달린 집(4륜마차)을 타고 광대한 스텝지역을 옮겨다닌 것으로 묘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관념은 꽤 오래 지속된 것 같은데 나폴레옹이 모스크바 입성(1812년)시 대화재를 두고 스키타이 인과 비교한 점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러시아 연구자들은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발견된 카멘스코예 성곽(돌 성이라는 뜻) 유적으로 헤로도투스의 기록이 잘못되었다고 반박했다. 이 유적은 기원전 5세기 유적으로 1200헥타르가 넘는데, 이곳에는 금속제품의 생산흔적(도가니, 주몰용 국자, 노지)이 엄청남게 많이 발견되었다. 이곳에서 철제품을 생산해서 다른 스키타이 사람들에게 공급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카멘스코예 성곽 유적에는 2 줄의 성벽이 있는데(그림 1-19), 스키타이 연구자들은 안쪽의 환호를 ‘아크로폴’이라고 부른다. 그리스 도시와 같이 구획(그림 1-18)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스 아크로폴에서는 스키타이 귀족들이 살았던 석조구조물 흔적이 조사된 적이 있다.

 

카멘스코예 성곽 유적 뿐만 아니라 돈 강 유역의 엘리자베토프 성도 알려져 있다. 대부분 지상식(그림 1-10, 14)이지만, 땅을 파서 만든 반움집(지하식)(그림 1-11,12,13,17)도 있다.

초원 스키타이는 아니지만 삼림지대의 스키타이 문화를 공유했던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목조로 된 집이 발견되기도 했다.

2021.02.22 - [볼가 중류: 아나닌스카야 문화의 동물장식] - 유라시아 타이가 지역의 초기 철기시대 무덤 옆에 집

 

유라시아 타이가 지역의 초기 철기시대 무덤 옆에 집

유라시아 초원 북쪽의 타이가 지대의 초기철기시대문화인 아나닌스카야 문화에서는 동물장식이 스키타이 문화의 것과 유사해서 초원지대와 어떤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유물 가

eastsearoad.tistory.com

 

 

 

그림 1. 카멘스코예 성곽과 엘리자베트프 성곽 유적, 10~17: 엘리제베트프 성곽(16: 전체 성곽 평면도, 10, 14-지상식 집, 11, 13, 17-지하식 집, 12-지하집복원), 18, 19-카멘스코예 성곽(18: 아크로폴 내부의 집의 구획도, 19: 성의 평면도)

 

두 유적은 기원전 5세기 유적이다. 흑해 부근에서 스키타이 쿠르간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7세기 혹은 기원전 8세기 까지 올려 보는 사람도 있다. 그럼 그들은 집이 없었을까?

 

러시아연구자들은 이 부분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한다.

스키타이 사람들의 생업경제가 유목적 목축이었기 때문이다. 동물을 위해서 목지를 계속 교체 할 수 밖에 없었고, 주거지도 단기간만 사용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한다.

카멘스코예 성곽 유적이 주요한 철기 공방이었다고 한다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철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지 역할로서 성곽 유적이 존재했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도 기원전 7세기에도 스키타이 철제품은 존재하기 때문에 분명히 이를 생산하던 유적이 존재했을 텐데, 발견되지 않았다. 집은 있었지만 남겨 놓지 않았던가, 아니면 너무 쿠르간 조사에만 목을 매었을 수 있다.

 

헤로도투스가 스키타이 사람들이 집이 없다고 한 것은 비아냥 거린 것이다. 그러나 사실은 집이 없었던 것이 아니라 가장 최적화 된 상태로 생업에 맞게 가성비 좋은 집을 가지고 다닌 것이고, 필요하다면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어제 일론머스크가 조립식 집을 스페이스 X근처에 만들었다고 하는  기사를 읽고 한참 웃었다.

 

참고문헌

Степи европей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Археология СССР / Археология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средневековья 1989. 464 с(러시아과학아카데미 1989, 소비에트 연방 유럽 내의 스키타이-사르마트 시기, 소비에트 고고학 시리즈)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5. 발해의 교통로


 발해시기에 축조된 성곽은 그 형태가 아주 다양한데, 이 지역에 복잡한 시기가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발해는 698년에 건국되어서 퉁구스-만주족인 말갈족을 영입하고 연해주의 일부와 북한, 중국 동북지방까지 넓은 영토를 거느린 국가이다(발해국가와 러시아 극동의 종족1994).

발해를 구성하는 민족은 고구려인, 말갈인, 중국인 등이다. 발해의 마지막 시기에 평지성이 축조되었으며 연해주 동북지역에서 연질의 말갈토기와 함께 녹로를 돌렸고 인화문이 찍힌 회색조의 발해토기가 함께 출토된따. 인화문은 발해토기의 특징이자 아무르 여진 문화(브로실로프스코예 성지, 사도비이 클류치, 드지기토프스코예 성곽)에서도 특징적으로 나타난다(그림 137). 대략 9~10세기 정도이다(댜코바 1993). 아마도 발해가 존재했던 시기 가운데서도 가장 성한 시기로 생각된다


현재 연구된 바로는 발해영토에서 가장 뚜렷한 것은 경제활동은 농업이다. 아주 평화로웠을 것인데, 처음 성곽을 축조하면서 원주민들은 직업군인들에 대해서 알았을 것이다. 또한 연해주 동북지역 해안가에 위치한 중국식 성곽과 함께 고구려식 석성도 함께 이용되었다. 고구려식 석성은 항구로 들어오는 문이나 강의 하류 등에 위치해서 감시와 방어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석성에서도 말갈토기가 함께 출토된다.


발해의 마지막 시기에는 평화롭지 못하였는데, 동북아시아와 동아시아 국가와 민족 간의 치열하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런 분위기가 연해주와 아무르 지역에서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고 종족이 뒤섞이게 되었을 것이다. 아마도 발해 멸망 이후인 10세기 이후에 평지성의 특징인 평면형태가 방형인 성이 곶 위(모노마호프스코예, 우스티-일모 성지)에 설치되는 현상도 이때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가장 방어하기가 용이한 성곽은 10~12세기에 나타난 다각형 성곽이다.

그런데 이 기간은 현재까지도 연해주 동북지역 뿐만 아니라 전체 연해주에서영토 등 잘 연구되지 않은 역사이다. 현재 고고학자들은 여진의 유적이 연해주 북동지역에서는 아직까지 확인되고 있지 않고, 그 국가의 경계도 이곳까지 미치지 못했다는 정도만 이야기 할 수 있다.



그림 137. 연해주 동북지역의 발해 성 분포도(1-브루실로프카, 3-데르수 자연방어시설, 4~6-고르노레첸스코예 1~3, 8-사도비이 클류치 성곽, 14-달네고르스키 성자연절벽 성곽, 15-모노마호보, 16-에스톤카, 17-바시코프스코예, 25-드지기토프카, 27-크라스노예 오제로, 28-클류치 성곽, 29-자볼레체나야, 31-스미르코프 클류치, 34-말라야 케마, 35-우스티 일모, 37-켐스코예-돌리노예, 38-켐스코예-모르스코예, 40-야수, 48-세셀로프스코예, 49-소욘)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 철기시대 폴체 문화


폴체 문화의 사람들도 곶 위에 성을 축조하였다. 극동에서 폴체 문화의 유적 입지에 관한 것은 확실히 규명된 바는 없다. 폴체 문화의 유적은 아무르 강의 중부와 하류에 퍼져 있고, 연해주의 서쪽, 남쪽과 동쪽에 퍼져 있다. 폴체 문화의 상한은 리도프카 문화가 마지막 존재 존재했던 시기까지로 올라가며, 폴체문화의 마지막 시기는 말갈문화가 시작된다. 폴체 문화의 성곽 유적으로 알려진 곳은 콘드라티예프스코예(Кондратьевское, Kondrat'yevskoye), 케드로프스코예(Кедровское,Kedrovskoe) 성곽들이 알려져 있는데, 평면형태가 오각형에 가깝다. 메드베제프 박사는 이 문화의 마지막 단계가 8~10세기정도로 보고 있다. 폴체문화의 곶 성도 그 발달단계는 아직까지 연구된 바가 없다. 폴체문화 유적의 지형적인 특징으로 보았을 때 기본적인 교통로는 아무르 강이고, 그 중에서도 시호테 알린 산맥의 서쪽에서 기원해서 동쪽으로 가는데, 아무르 강의 지류인 우수리 강이 그 교통로의 제일 처음 단계였을 것이다.

 

3. 철기시대 크로우노프카 문화

크로우노프카 문화는 청동기시대 리도프카 문화가 끝나는 시점부터 시작해서 폴체문화가 시작될 시기에 존재했던 문화로, 연해주 중세시대의 시작인 말갈문화의 시작과도 관련이 있다는 견해가 있다. 크로우노프카 문화의 성곽은 페트로프 섬의 곶 위에 자갈로 벽을 쌓은 성지가 알려져 있는데 그것이 유일하다(브로댠스키 1965).

 

4. 말갈문화

역사서에 기록되어 있는 말갈이라는 종족은 고고학적인 유적으로 볼 때 아주 넓은 지역에 퍼져 살았다. 북한의 동북지역, 중국 동북지방, 러시아의 극동과 홋카이도와 사할린에도 일부가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간적으로 보아서 말갈문화는 10세기부터 13~14세기까지 이다. 연해주 중세시대의 퉁구스-만주족(그 중 일부는 말갈족)이 이 지역에 나타나게 된 것은 중국의 역사서와 여러 책에 기록되어 있다. 이상한 얼굴을 한 사람들이 나타났고, 곧 모든 곳에서 보게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샤프쿠노프 1959). 당연히 극동에서도 이런 사건은 획기적인 사건이었고, 세 국가-발해(698~926), 여진(1115~1234), 동하국(1217~1234)가 탄생하게 된 것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말갈문화의 유적은 극동에서 현재까지 확인된 유적 중에서도 가장 많다. 연해주만 해도 모두 70여개의 유적이 알려졌는데, 대부분 성터와 무덤이다. 아무르 지역에서도 이 보다 적지 않다. 그 중에서도 곶 성(사카치-알리안, 우툐스노예, 타로프스코예 등)이 아주 많이 공간되거나 문서 기록소에 보관되어 있다(노빅코프-다우르스키 1961, 댜코바·샤프쿠노프 1975, 댜코바 1998). 연해주의 동북지역 타이가 산지에는 말갈의 곶 성은 5개가 알려져 있다. 미스 테플리이, 우스티-소볼레프스코예, 쿠즈네초프스코예, 오아시스, 에딘킨스코예 등이다(그림 136).


 

그림 136. 45-미스 테플리이, 50-우스티-소볼레프스코예, 51-쿠즈네초프스코예, 52-오아시스, 54-예딘킨스코예 성곽의 위치

 

말갈인은 어느 시기까지는 자신의 고유한 성지를 축조했다. 역사서에 기록되어 있듯이 말갈인은 중국-돌궐 족-고구려인의 전쟁에 수천 기마병으로 참가하면서 그들은 다양한 방어물을 축조하게 되었다. 말갈 곶 성은 고대의 성벽 축조기술과는 차이가 있다. 어떤 성에서는 아주 복잡한 구조의 문지를 만들기도 하였다.

곶 성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 계기는 발해와의 접촉이었을 것이다. 발해의 영역 확장에 대한 반발로 그럴 필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고고학적으로는 우스티-소볼레프스코예 성곽이 이를 보여준다. 즉 트로이치코예 말갈인은 곶 성이라는 기본적인 특징은 유지 했지만, 이 성의 평면형태는 중국의 것을 모방한 발해 방형평지성의 것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이 유적에서 출토되는 말갈 토기의 형식으로 보아서 이 유적은 9세기 이상은 올라가지 못한다. 말갈인에게 아주 강한 기마병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도 극동 전체에서 교통로가 많은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연해주 동북지역 성곽유적과 고고학적 함의: 교통로


연해주 동북의 타이가 지역에는 20개의 강이 흐르고 있고, 지형적인 입지에 따라서 산, 평지, 56기의 성곽유적이 현존한다.

러시아 극동에서 가장 오래된 모습의 성은 곶 위에 설치된 성지이다. 평면형태상으로나 그 내부의 구조상이나 가장 단순하며, 성벽의 위치나 크기도 지형적인 입지에 따랐는데, 불룩하게 튀어나온 곶의 가장 좁은 부분에 성벽을 쌓았고, 2~3면은 절벽을 그대로 이용해서 별도의 성벽이 축조될 필요가 없었다.

연해주와 아무르강 유역의 청동기시대와 발해~여진시대 성곽 유적은 이 지역 뿐만 아니라 유럽에도 많이 퍼져 있다. 러시아 극동은 한국의 동북지방 및 중국 동북지방과 맞닿아 접경을 이루고 있다. 이 지역에는 선사시대부터 항상 많은 종족, 제국과 국가들 간의 충돌이 있어왔고, 이곳으로 구 종족을 몰아내고 새로운 종족이 들어오려고 했었다. 전체 지역에서 민족적이나 정치적인 변화가 조금씩 있어왔던 지역이다. 당연히 연해주와 아무르 지역에도 평화롭던 그렇지 못하든 간에 이주가 있었던 건 확실하다. 원주민은 적으로 로부터 대응해야 했기 때문에 자신의 경계를 세우고, 보호하고 방어해야 했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조용한 곳으로 피신을 하곤 했는데, 역사적으로 보아서 우데기족, 나나이족 등은 그렇게 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제외하고도 지역 주민들 간에도 항상 평화로운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과정이나 사건들로 하여금 각 지역에 고고학적인 방어건축물이 남게 되었다.

  


1. 청동기시대 리도프카 문화

 

연해주 청동기시대의 리도프카 문화는 연해주 전체에서 우수리 강 유역에서 파르티잔 강 까지 북쪽에서 남쪽으로 약 800km 퍼져 있다(댜코프 1998). 연해주와 아무르강 하류의 곶 성은 고고학적으로 청동기시대에 해당되는데, 대략 기원전 일 천 년기 후반으로, 리도프카 문화인들은 직접적으로 고아시아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연해주와 인접한 중국의 성곽은 이보다 이른 시기부터 축조되었다. 이 시기에 중국에서는 두 개 형태의 성곽이 존재했는데 평면형태가 바둑판형으로 행정관청이 있는 도성과 교통로를 따라서 축조된 상업의 중심으로 이용되는 성지이다. 리도프카 문화는 러시아 극동에서 볼 때 연해주의 남쪽에서 기원한 문화인데, 그 문화는 확실하게 이주되어 온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하게 어디에 분포했던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고, 연해주와 아무르 원주민들에게 곶 성만을 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리도프카 문화 사람들은 중국의 복잡한 성 축조 기술은 없었다. 아마도 새로운 땅에서 적응하던 초기에 너무나 평화로웠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이 필요하지 않았거나 혹은 그와 같은 성곽 축조기술이 없었을 가능성도 있다.

리도프카 문화는 주로 내륙에 분포했는데, 강 주변에서 확인되기도 하지만, 바닷가의 곶 위에서도 확인된다. 리도프카 문화의 중심 분포지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 지역의 북동이나 동쪽의 어디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연해주에서 리도프카 문화는 동북지역의 이주결과로 보인다. 이 문화의 중간시기에는 동쪽으로 이동 하는 가운데 한 무리가 일본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토기가 이를 증명한다. 아마도 이런 움직임은 한반도와도 관계가 있을 것인데, 여기에 관해서는 좀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런데, 리도프카 문화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 지역이 평화롭지 못한 상태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강이 바다로 흐르는 해안가를 따라서 방어시설들이 이를 증명하는데, 이러한 유적이 축조될 필요가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현재는 곶 위에 설치된 청동기시대 토성이나 석성이 11기 있다. 우스티-제르칼노예, 두브로빈스코예, 미스 스트라시느이, 우스테-벨림베, 켐스코예-스칼리스토예, 우툐스노예, 미스 알렉산드라, 데듀쉬킨 클류치, 쿠다, 사마르가-6, 케드로프카 유적 등이다. 이 지역에서 기원전 일 천년기 후반에 아주 급박한 상황이 있었는데 그것은 동해안의 북동지역 뿐만이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그림 135http://연해주의 바닷길-청동기시대). 리도프카 문화의 곶 성은 연해주의 내륙에서도 확인되는데, 체르냐치노-3 유적이 대표적이다.

동북지역에서 리도프카문화의 성은 그 지형적인 특징으로 보아서 해안가를 방어해주고 있다. 누구로부터?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얀콥프스키 문화인인데, 연해주에 현존하는 유일한 바다생활을 하는 사람들이다. 즉 그들의 주요 생계형태는 어로와 해산물을 채집하는 것인데, 브로댠스키 박사의 연구에 의하면 동해안의 많은 패총도 그들이 남겨 놓은 것으로 생각된다. 해안가를 따라서 남쪽에서 북쪽으로 얀콥스키 문화인들이 리도프카 문화인과 접촉했을 것이고 동북지역에 남겨진 리도프카 문화의 여러 유적은 이들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고고학유물에 의하면 그들의 접촉은 항상 마찰이 있었던 건 아니다. 블라고스로벤노예-3, 쿠날레이스코예 성지, 파얀느이 클류치, 노보고르드제프스코예 등 유적에서는 리도프카 문화와 얀콥스키 문화의 토기 특징이 모두 나타나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댜코프 1998, 볼딘·댜코바·시도렌코 2002, 댜코바·시도렌코 2002).

아직까지는 리도프카 문화의 곶 성을 발달단계별로 구분하지는 못한다. 오직 성벽은 흙에 작은 돌을 섞어서 축조한 토성벽이 주를 이루며, 아주 단순한 문을 만들었다는 것이 성곽 축조기법이 전부이다. 그러나 동북지역의 곶에 입지한 토성 및 석성은 청동기시대에도 해안가를 따라서 교통로가 있었다는 점을 증명해 준다는 점에서 아주 중요하다. 그 흔적은 제르칼나야 항구에서 북쪽의 사마르가 강 까지고, 그 중 일부 구간은(예를 들면 우스티-벨림베에서 암구 까지)현재까지도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4 5 6 7 ··· 12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