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5. 발해의 교통로


 발해시기에 축조된 성곽은 그 형태가 아주 다양한데, 이 지역에 복잡한 시기가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발해는 698년에 건국되어서 퉁구스-만주족인 말갈족을 영입하고 연해주의 일부와 북한, 중국 동북지방까지 넓은 영토를 거느린 국가이다(발해국가와 러시아 극동의 종족1994).

발해를 구성하는 민족은 고구려인, 말갈인, 중국인 등이다. 발해의 마지막 시기에 평지성이 축조되었으며 연해주 동북지역에서 연질의 말갈토기와 함께 녹로를 돌렸고 인화문이 찍힌 회색조의 발해토기가 함께 출토된따. 인화문은 발해토기의 특징이자 아무르 여진 문화(브로실로프스코예 성지, 사도비이 클류치, 드지기토프스코예 성곽)에서도 특징적으로 나타난다(그림 137). 대략 9~10세기 정도이다(댜코바 1993). 아마도 발해가 존재했던 시기 가운데서도 가장 성한 시기로 생각된다


현재 연구된 바로는 발해영토에서 가장 뚜렷한 것은 경제활동은 농업이다. 아주 평화로웠을 것인데, 처음 성곽을 축조하면서 원주민들은 직업군인들에 대해서 알았을 것이다. 또한 연해주 동북지역 해안가에 위치한 중국식 성곽과 함께 고구려식 석성도 함께 이용되었다. 고구려식 석성은 항구로 들어오는 문이나 강의 하류 등에 위치해서 감시와 방어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석성에서도 말갈토기가 함께 출토된다.


발해의 마지막 시기에는 평화롭지 못하였는데, 동북아시아와 동아시아 국가와 민족 간의 치열하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런 분위기가 연해주와 아무르 지역에서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고 종족이 뒤섞이게 되었을 것이다. 아마도 발해 멸망 이후인 10세기 이후에 평지성의 특징인 평면형태가 방형인 성이 곶 위(모노마호프스코예, 우스티-일모 성지)에 설치되는 현상도 이때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가장 방어하기가 용이한 성곽은 10~12세기에 나타난 다각형 성곽이다.

그런데 이 기간은 현재까지도 연해주 동북지역 뿐만 아니라 전체 연해주에서영토 등 잘 연구되지 않은 역사이다. 현재 고고학자들은 여진의 유적이 연해주 북동지역에서는 아직까지 확인되고 있지 않고, 그 국가의 경계도 이곳까지 미치지 못했다는 정도만 이야기 할 수 있다.



그림 137. 연해주 동북지역의 발해 성 분포도(1-브루실로프카, 3-데르수 자연방어시설, 4~6-고르노레첸스코예 1~3, 8-사도비이 클류치 성곽, 14-달네고르스키 성자연절벽 성곽, 15-모노마호보, 16-에스톤카, 17-바시코프스코예, 25-드지기토프카, 27-크라스노예 오제로, 28-클류치 성곽, 29-자볼레체나야, 31-스미르코프 클류치, 34-말라야 케마, 35-우스티 일모, 37-켐스코예-돌리노예, 38-켐스코예-모르스코예, 40-야수, 48-세셀로프스코예, 49-소욘)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