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드네프르 강을 중심으로 인접한 지역에는 18개의 거대 성 유적이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을 요새화 했다고 표현하는데 100헥타르가 넘는 성을 기준으로 했을 때 ‘자이언트 성곽’이라고 표현했다. 그 중에 벨스크 성은 가장 크며 드네프르 강의 지류에 위치한다.

 

모리니치 성곽은 125헥타르, 성벽의 길이는 2.5~3km이고, 현재는 일부 구간만 남아 있다.

 

그림 1. 모리니치 성곽의 평면도

 

그림 2. 모리니치 성곽의 평면, 구글지도

 

코마로프 성곽도 매우 일부 구간만 성벽이 남아 있어서 구글지도로는 보기 힙들다. 지형도 많이 바뀌어서 더욱더 힘들다. 다가란이 확인한 성벽은 대략 6km 구간이다. 전체 성의 면적은 260헥타르 정도로 추측된다.

 

그림 3. 코마로프 성곽

 

주르지네츠코예 성곽은 평면적은 326헥타르, 성의 길이는 9.5km 이다.

 

그림 4. 주르지네츠코예 성곽

 

그림 5.주르지네츠코예 성곽, 구글지도

 

타라샤 성곽의 평면적은 214헥타르, 성벽은 5.6km 정도이다. 성의 북서쪽은 매우 가파른 경사면에 설치된 곳이다.

 

그림6. 타라샤 성곽

 

그림7. 타라샤 성곽, 구글지도

 

모트로닌스코예 성곽은 106헥타르, 성벽은 4km이고, 내성의 평면은 49헥타르이다.

 

그림 8. 모트로닌스코예 성곽의 평면도

 

프리스카체프스코예 성곽은 19세기 지도에도 남아 있는데, 타원형에 가까운 평면형태(0.7~0.75km×0.5km)이다.

 

그림 9. 플리스카체프스코예 성곽

 

트라흐테미로프스코예 성곽은 드네프르강의 우안에 위치하는데, 높지는 않지만 4~5m성벽이 남아 있다. 가장 높은 곳의 성벽고도차는(성벽부터 해자까지 포함) 8m정도도 있다. 전체 평면적은 524헥타르 정도이다. 이 성의 북서쪽에는 내성이 있는데 말르이 발키라고 한다.

 

그림 10. 트라흐테미로프스코예 성곽

 

비하 유적도 드네프르강 유역에 바로 입지하는데 성벽의 평면적은 대략 20헥타르 정도 된다.

 

그림11. 비하(1) 성곽과 체르니시(2,3) 성곽

 

호토소프스코예 성곽은 드네프르강 유역의 가장 북쪽에 위치한 성 유적이다. 드네프르강의 지류를 따라서 대략 7km정도 유적은 형성되어 있다.

 

그림 12. 호토소프스코예 성곽

 

므리노크 성곽은 호토소프스코예 성곽에서 서쪽으로 52km 가량 떨어진 곳이다. 성벽의 높이는 3m, 너비는 20m, 해자의 깊이는 2~2.5m이다.

 

그림 13. 므리노크 성곽

 

파스티르스코예 성곽은 가장 드네프르강 유역에서 가장 이른 성곽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그 너비는 작은 편인데, 25헥타르이고, 그 주변에는 3개의 성이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다. 샤르포프스코예 성곽은 16헥타르, 마케예프스코예 성곽은 24헥타르, 부댠스코예 성곽은 20헥타르 정도이다. 파스티르스코예 성곽을 제외하고는 기원전 6~5세기에 만들어진 유적이다.

앞서 설명한 유적에 비해서 매우 적은 규모이다.

 

 

그림 14. 파스트리스코예 성곽 유적

그림 15. 마케예프스코예 성곽(1), 부댜-마케예프스코예(2), 파스티르스코예(3), 샤르포프스코예(4)

 

위에서 설명한 드네프르강 유역의 스키타이 성곽은 평면형태나 크기는 제각각이고, 모두 지형과 관련되어 있다. 

재미는 없지만, 사람들은 매우 많이 살았다.

 

참고문헌

 

Дараган М.Н., 2017, Городища-гиганты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в Украинской Лесостепи (особенности расположения и фортификации). Вводные замечания(다라간 2017, 우크라이나 삼림스템지역의 스키타이 시대 거대한 성곽배치의 특징)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드네프르 강을 중심으로 성의 면적이 100헥타르 이상인 스키타이 시대 거대 성곽 유적이 18기 존재한다. 벨스크 성곽은 그 중에서 가장 크고 기원전 7세기부터 성곽이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성곽은 트라흐테미로프스코예(Трахтемировское, Trakhtemirovskoe)성곽, 파스티르스코예(Пастырское, Pastyrskoje)성곽, 모트로닌스코예(Мотронинское,Motroninskoje) 성곽이다.

기원전 6~5세기경의 유적은 네미로프스코예(Немировское, 코마로프스코예(Комаровское, Komarovskoe); 주르지네츠스코예(Журжинецкое, Zhurzhinetskoe), 타라샤(Тараща,Tarashcha), 모트로닌스코예( Мотронинское, Motroninskoe), 치미례프카(Чмыревка, Chmyrevka), 비하(Виха, Viha), 호도소프스코예(Ходосовское, Khodosovsky), 호토프스코예( Хотовское, Khotovskoe), 므리노크(Млынок, Mlynok), 쿠티키( Крутьки, Krut'ki); 바슈티니츠(Васютинцы, Vasyutintsy), 바스코예(Басовское,Basovskoe) 성곽이다.

 

플리스카체프스코예 (Плискачевское, Pliskachevskoe) 성곽은 기원전 4세기 유적이다.

 

기원전 7세기 중반부터 기원전 6세기경에 산림 스텝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대규모 방어구조물을 만들었다. 하지만 그렇게 많은 인구들이 살았을까?

 

기원전 7세기 경에 세워진 벨스크 성곽은 비교적 발굴이 많이 이루어졌는데, 거주공간은 매우 조밀하게 발견되었고 성 내의 빈 공간이 많다는 점이 밝혀졌다. 드네프르 강과 가까운 모트로닌스코예, 트라흐테미로프스코예, 네미로프스코예 유적 등이 그 당시에 만들어졌는데 이들 유적에는 빈 공간이 많다. 성 내의 내부 공간 중에 넓은 공간이 살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었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스키타이 학자들이 믿어 온 작은 마을에 살던 사람이 어떤 위험에 대비해서 모든 재산과 가축을 가지고 큰 성이 있는 마을에 숨어 있었다는 관점은 고고학적으로 증명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들 성곽은 모두 각자의 형태를 하고 있다. 일치된 성곽의 평면형태를 띠지 않는다.

그 이유는 성곽의 평면형태는 자연적 조건에 따라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림 1. 네미로프스코예 유적(다라간 2017)

 

그림 2. 네미로프스코예 유적 구글지도

 

그림 3. 모트로닌스코예 성곽(106헥타르) 

 

그림 4. 트라흐테미로프스코예 성곽(1), 말리예 발키(2) 성곽은 트라흐테미로프스코예 성곽의 내부 성이다. 19

 

벨스크 성곽은 오랫동안 사용되었기 때문에(기원전 7~4세기) 건축의 전통기술이 축척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나머지 성곽들은 매우 짧은 기간동안 만들어졌고 각 성의 평면형태도 다르다.

 

그렇다면 그들은 각자 독립적인 그룹이었을까? 그렇지 않다.

성벽을 축조하는 기술은 이 지역 무덤 매장주체부를 만들던 기술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나무목재를 결구시켜서 만드는 고분만들던 기술은 성벽을 만들던 기술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다라간은 매우 수사적으로 표현했는데, ‘거주공간은 일종의 소우주이고 장례 구조도 일종의 우주이기 때문에 세부사항 중에 일치하는 것이 있고 시각적인 부분도 일부 겹치는 부분이 있다.

 

참고문헌

Дараган М.Н., 2017, Городища-гиганты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в Украинской Лесостепи (особенности расположения и фортификации). Вводные замечания(다라간 2017, 우크라이나 삼림스템지역의 스키타이 시대 거대한 성곽배치의 특징)

Шрамко Б. А. Бельское городище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город Гелон). К., 1987. (시람코 1987, 스키타이 시대의 벨스크 성곽: 헬온 도시)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드네프르 강 유역의 최대 성곽은 벨스크 성곽으로 대략 4000헥타르 너비로 스키타이 문화에 해당된다. 기원전 7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 까지 사용되었고 정확하게는 지리상으로 드네프르강의 지류에 위치한다.

 

그런데 벨스크 성곽 보다 좀 더 드네프르 강 유역에 가까운 곳에는 이 유적보다는 작지만 꽤 규모가 큰 성곽 유적이 17개 존재한다. 아래 지도에는 벨스크 성곽을 제외하고 16개를 표시해 놓았는데, 1곳은 지도에는 있지만 논문에 소개가 되지 않아서 보류해 놓은 곳이다.

 

루보틴 성곽과 같이 구글지도로 성곽을 살펴보는 재미는 없다. 성곽의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성곽도 무덤과 마찬가지로 파손이 심각한 듯 하다.

 

성곽 유적은 전면이 발굴된 경우는 없다. 이건 세상 어디서나 똑같은데 가성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성조사는 무덤에 비해서 출토되는 유물은 시덥치 않은데, 발굴비용은 훨씬 많이 들기 때문이다. 흑해 지역의 무덤이야 대부분 도굴된 무덤을 다시 재조사이지만 그래도 유물들은 19세기나 20세기 초의 발굴된 것을 바탕으로 새로 분석해 볼 것이 많다. 하지만 이 마저도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는 유물들은 러시아에 많기 때문에 마땅치 않을 것이다. 안타깝다.

그래서 러시아에서는 성곽 조사의 경우에 발굴 대신에 물리탐사로 흙 아래의 건축물의 규모를 추정하는 조사를 많이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곽 내에서는 실생활과 관련된 유물들이 출토되기 때문에 발굴조사는 필요하다. 벨스크 성곽에서는 특히 동물뼈가 많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에 새 뼈가 많이 출토되었다.

 

성곽 유적은 주로 드네프르강 유역의 중류역에 대부분 분포하며, 하류역에는 큰 성곽 유적은 없다. 아직 드네프르강 유역의 무덤을 모두 지도에 표시하지는 않아서 중류역에 무덤이 분포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규모가 있고 잘 알려진 무덤은 성곽 보다 하류역에 위치한다(그림 1).

 

그림 1. 드네프르 강 유역의 스키타이 거대 성곽 유적

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참고문헌

Дараган М.Н., 2017, Городища-гиганты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в Украинской Лесостепи (особенности расположения и фортификации). Вводные замечания(다라간 2017, 우크라이나 삼림스템지역의 스키타이 시대 거대한 성곽배치의 특징)

Шрамко Б. А. Бельское городище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город Гелон). К., 1987. (시람코 1987, 스키타이 시대의 벨스크 성곽: 헬온 도시)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우크라이나의 산림 스텦지역에는 성곽유적이 꽤 많이 발견되었는데, 그 중에서 거대한 성곽 유적은 평면적이 100~4000헥타르 정도되는 유적이 17기가 알려졌다.

 

가장 큰 유적은 벨스크 유적이다. 전체 평면적은 4020헥타르 정도 되고, 동쪽 성은 65.2, 서쪽 성은 72헥타르 이며, 두 성을 연결한 공간인 뵬쇼이 벨스크 성은 3868헥타르 정도 된다. 현재 북쪽의 쿠즈민 성곽은 거의 성벽이 남아 있지 않다(그림 1). 성은 자연적 지형을 그대로 이용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평면형태는 부정형이다.

 

 

그림 1. 벨스크 성곽의 평면도(다라간 2017)

 

그림 2 벨스크 성곽의 평면도(시람코 1987)

 

동쪽 성에는 마을, 제작공간, 공공 건물들지들이 확인되었다. 그 중에서 마을은 구덩이를 파고 만든 집과 구덩이를 파지 않고 만든 집이 발견되었다.

 

그림 3. 벨스크 성곽의 서쪽 성(1~3)과 동쪽 성의 집자리(4~5)

 

특히 동쪽 성에서는 청동을 제련하던 공간이 발견되었다(그림 4-1). 노(爐)의 주변에서는 청동주괴(그림 4-II)와 청동 슬래그(그림 4-III), 대량의 숯이 발견되었다. 뿐만 아니라 토기를 구었던 가마도(그림 4-2) 확인할 수 있었다. 동쪽 성은 생산을 담당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4. 벨스크 성곽의 동쪽 성내에서 발견된 청동제작공간(1)과 토기가마(2), I-점토로 된 노, II-청동 주괴, III-청동 슬래그, IV-돌, V-숯, VI-토기제작을 위한 태토, VII-토기편, 로마자 숫자의 설명은 네모칸 안의 기호화된 표식 설명과 일치한다.

 

벨스크 성곽 유적은 유적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깊다. 성곽 유적에서는 실제로 금속제품을 제작한 공간이 확인되었고 성곽을 제작하는 방법이나 스키타이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점은 벨스크 성곽 유적은 단독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인접한 지역에 거대한 성곽이 밀집해 있고 이를 요새화 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 지역은 스키타이 문화권역에서 서부지역에 포함된다. 스키타이 문화권의 동부지역에 들어가는 알타이를 포함한 시베리아에는 집이 거의 발견된 바가 없다.

 

참고문헌

 

 

Дараган М.Н., 2017, Городища-гиганты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в Украинской Лесостепи (особенности расположения и фортификации). Вводные замечания(다라간 2017, 우크라이나 삼림스템지역의 스키타이 시대 거대한 성곽배치의 특징)

Шрамко Б. А. Бельское городище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город Гелон). К., 1987. (시람코 1987, 스키타이 시대의 벨스크 성곽: 헬온 도시)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드네프르 강 유역(의 지류)에 위치한 스키타이 최대 성곽 유적인 벨스크에는 동과 서쪽에 별도의 성곽 유적이 있고 이를 연결해서 하나의 성으로 구성된 것이다. 동과 서의 성곽은 이름이 따로 없고, 위치를 그대로 부르고 있으나, 두 성을 연결하는 큰 성은 ‘뵬쇼이 벨스크 성(큰 벨스크 성)’이라고 한다. 북쪽에는 쿠즈민 성이 두 성이 통합된 후에 따로 생겼다.

 

그래서 벨스크 성곽에는 4개의 공간이 별도로 존재하며 이를 통합해서 벨스크 성곽이라고 부른다. 서쪽 성과 동쪽 성은 서로 시간 차를 두고 생긴 것처럼 기술된 곳이 있었으나 거의 비슷한 시기에 생겼는데 기원전 7세기 무렵이다. 하지만 두 성의 구조는 매우 차이가 크다.

 

동쪽 성은 지점마다 높이가 다른데 3~5m이고, 해자의 깊이도 1.6m부터 깊은 곳은 3.5m까지이다. 해자의 바닥에서 성벽까지 가장 높이 차가 심한 곳은 8m가 넘는 곳도 있다.

 

그림 1. 벨스크 성과의 전체 평면도

그림 2. 벨스크 성곽의 동쪽 성, 네모칸은 발굴된 곳이고 숫자는 발굴범위를 넘버링한 것이다.

 

그림 3. 벨스크 성곽의 동쪽 성벽 단면도

 

그림 4. 벨스크 성곽의 동쪽 성벽 평면도, CMR(Conventional Magnetic Recording)

 

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이미 보여드린 적이 있는 동쪽 성벽의 성벽 단면도는 발굴범위 20(그림 2)에서 조사된 것인데, 성벽을 한 번 마무리 한 뒤에 다시 올린 흔적이 발견되었다(그림 3).

1차로 올린 성벽은 나무로 된 성벽을 세우기 위해서 마련된 것이고 그 뒤에 다시 성벽을 올려서 나무 성벽을 지지하도록 축조된 것이다. 가장 넓은 곳은 최대 7.2m이다.

 

이 성은 불이 한 번 난적이 있는데 그 뒤에 다시 개축했으나 처음 성벽과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런데 이런 성벽은 어떻게 쌓아 올렸을까? 흙으로 먼저 성벽을 쌓았을까? 자료를 찾다가 최근에 흥미로운 연구를 발견했다(다라간 201). 먼저 나무성벽을 쌓고(그림 5-1), 이를 지지하기 위해서 흙으로 나무를 고정했으며(그림 5-2) 이때 해자도 팠다. 그러한 뒤에 나무 성벽의 높이까지 뒤 부분은 흙으로 더 쌓아 올리고, 앞 부분의 흙은 제거한 것이다(그림 5-3). 해자의 바닥도 편평하고 넓게 팠다.

 

그림 5. 벨스크 성곽의 동쪽 성벽 축조순서

 

 

동쪽 성벽과 서쪽 성벽을 구성하는 흙(그림3)에는 체르노젬(Чернозём, Chernozem)이라고 불리는 검은색 흙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 흙은 아주 영양분이 많은 기름진 흙이다. 러시아어로 검은색을 ‘쵸르느이’이라고 하는데, 그 단어를 내포한 용어이다. 동유럽 스텝지역에 많이 발견되는 흙으로 우크라이나 곡창지대를 만든 흙이기도 하다. 도시 체르노빌도 체르노젬이 많은 곳이라는 뜻이다.

성곽 조사에는 역시 물리탐사기법을 활용한 논문들이 눈에 뛴다.

 

 

 

참고문헌

Дараган М.Н., 2017, Городища-гиганты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в Украинской Лесостепи (особенности расположения и фортификации). Вводные замечания(다라간 2017, 우크라이나 삼림스템지역의 스키타이 시대 거대한 성곽배치의 특징)

Шрамко Б. А. Бельское городище скифской эпохи (город Гелон). К., 1987. (시람코 1987, 스키타이 시대의 벨스크 성곽: 헬온 도시)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