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주 동북지역 성곽유적과 고고학적 함의: 교통로
연해주 동북의 타이가 지역에는 20개의 강이 흐르고 있고, 지형적인 입지에 따라서 산, 평지, 곳 56기의 성곽유적이 현존한다.
러시아 극동에서 가장 오래된 모습의 성은 곶 위에 설치된 성지이다. 평면형태상으로나 그 내부의 구조상이나 가장 단순하며, 성벽의 위치나 크기도 지형적인 입지에 따랐는데, 불룩하게 튀어나온 곶의 가장 좁은 부분에 성벽을 쌓았고, 2~3면은 절벽을 그대로 이용해서 별도의 성벽이 축조될 필요가 없었다.
연해주와 아무르강 유역의 청동기시대와 발해~여진시대 성곽 유적은 이 지역 뿐만 아니라 유럽에도 많이 퍼져 있다. 러시아 극동은 한국의 동북지방 및 중국 동북지방과 맞닿아 접경을 이루고 있다. 이 지역에는 선사시대부터 항상 많은 종족, 제국과 국가들 간의 충돌이 있어왔고, 이곳으로 구 종족을 몰아내고 새로운 종족이 들어오려고 했었다. 전체 지역에서 민족적이나 정치적인 변화가 조금씩 있어왔던 지역이다. 당연히 연해주와 아무르 지역에도 평화롭던 그렇지 못하든 간에 이주가 있었던 건 확실하다. 원주민은 적으로 로부터 대응해야 했기 때문에 자신의 경계를 세우고, 보호하고 방어해야 했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조용한 곳으로 피신을 하곤 했는데, 역사적으로 보아서 우데기족, 나나이족 등은 그렇게 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제외하고도 지역 주민들 간에도 항상 평화로운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과정이나 사건들로 하여금 각 지역에 고고학적인 방어건축물이 남게 되었다.
1. 청동기시대 리도프카 문화
연해주 청동기시대의 리도프카 문화는 연해주 전체에서 우수리 강 유역에서 파르티잔 강 까지 북쪽에서 남쪽으로 약 800km 퍼져 있다(댜코프 1998). 연해주와 아무르강 하류의 곶 성은 고고학적으로 청동기시대에 해당되는데, 대략 기원전 일 천 년기 후반으로, 리도프카 문화인들은 직접적으로 고아시아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연해주와 인접한 중국의 성곽은 이보다 이른 시기부터 축조되었다. 이 시기에 중국에서는 두 개 형태의 성곽이 존재했는데 평면형태가 바둑판형으로 행정관청이 있는 도성과 교통로를 따라서 축조된 상업의 중심으로 이용되는 성지이다. 리도프카 문화는 러시아 극동에서 볼 때 연해주의 남쪽에서 기원한 문화인데, 그 문화는 확실하게 이주되어 온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하게 어디에 분포했던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고, 연해주와 아무르 원주민들에게 곶 성만을 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리도프카 문화 사람들은 중국의 복잡한 성 축조 기술은 없었다. 아마도 새로운 땅에서 적응하던 초기에 너무나 평화로웠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이 필요하지 않았거나 혹은 그와 같은 성곽 축조기술이 없었을 가능성도 있다.
리도프카 문화는 주로 내륙에 분포했는데, 강 주변에서 확인되기도 하지만, 바닷가의 곶 위에서도 확인된다. 리도프카 문화의 중심 분포지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 지역의 북동이나 동쪽의 어디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연해주에서 리도프카 문화는 동북지역의 이주결과로 보인다. 이 문화의 중간시기에는 동쪽으로 이동 하는 가운데 한 무리가 일본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토기가 이를 증명한다. 아마도 이런 움직임은 한반도와도 관계가 있을 것인데, 여기에 관해서는 좀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런데, 리도프카 문화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 지역이 평화롭지 못한 상태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강이 바다로 흐르는 해안가를 따라서 방어시설들이 이를 증명하는데, 이러한 유적이 축조될 필요가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현재는 곶 위에 설치된 청동기시대 토성이나 석성이 11기 있다. 우스티-제르칼노예, 두브로빈스코예, 미스 스트라시느이, 우스테-벨림베, 켐스코예-스칼리스토예, 우툐스노예, 미스 알렉산드라, 데듀쉬킨 클류치, 쿠다, 사마르가-6, 케드로프카 유적 등이다. 이 지역에서 기원전 일 천년기 후반에 아주 급박한 상황이 있었는데 그것은 동해안의 북동지역 뿐만이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그림 135http://연해주의 바닷길-청동기시대). 리도프카 문화의 곶 성은 연해주의 내륙에서도 확인되는데, 체르냐치노-3 유적이 대표적이다.
동북지역에서 리도프카문화의 성은 그 지형적인 특징으로 보아서 해안가를 방어해주고 있다. 누구로부터?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얀콥프스키 문화인인데, 연해주에 현존하는 유일한 바다생활을 하는 사람들이다. 즉 그들의 주요 생계형태는 어로와 해산물을 채집하는 것인데, 브로댠스키 박사의 연구에 의하면 동해안의 많은 패총도 그들이 남겨 놓은 것으로 생각된다. 해안가를 따라서 남쪽에서 북쪽으로 얀콥스키 문화인들이 리도프카 문화인과 접촉했을 것이고 동북지역에 남겨진 리도프카 문화의 여러 유적은 이들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고고학유물에 의하면 그들의 접촉은 항상 마찰이 있었던 건 아니다. 블라고스로벤노예-3, 쿠날레이스코예 성지, 파얀느이 클류치, 노보고르드제프스코예 등 유적에서는 리도프카 문화와 얀콥스키 문화의 토기 특징이 모두 나타나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댜코프 1998, 볼딘·댜코바·시도렌코 2002, 댜코바·시도렌코 2002).
아직까지는 리도프카 문화의 곶 성을 발달단계별로 구분하지는 못한다. 오직 성벽은 흙에 작은 돌을 섞어서 축조한 토성벽이 주를 이루며, 아주 단순한 문을 만들었다는 것이 성곽 축조기법이 전부이다. 그러나 동북지역의 곶에 입지한 토성 및 석성은 청동기시대에도 해안가를 따라서 교통로가 있었다는 점을 증명해 준다는 점에서 아주 중요하다. 그 흔적은 제르칼나야 항구에서 북쪽의 사마르가 강 까지고, 그 중 일부 구간은(예를 들면 우스티-벨림베에서 암구 까지)현재까지도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번역서2: 연해주 영동지역 고대 부터 발해및여진의 성곽연구 > 5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해주 동북지역의 성곽과 고고학적 함의 4 (0) | 2018.08.30 |
---|---|
연해주 동북지역의 성곽과 고고학적 함의 3 (0) | 2018.08.29 |
연해주 동북지역 성곽과 고고학적 함의 2 (0) | 2018.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