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평거동 유적에서 시니가이 문화의 흔적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런데 어제 쓴 글에서 빠진 부분이 있는데, 구연단을 접어서 만든 이중구연토기는 발형 뿐만 아니라 옹형도 있다고 했지만 그림(1)이 빠졌다.

그림 1.구연부를 접은 옹형토기

그림 1-1. 그림 1의 디테일
 

이 토기로 기형이 전혀 다르다. 어제 제시한 연해주의 에피스타피-1. 리도프카-1 유적의 하층 등에서 출토되는 것과 유사하다.
뿐만 아니라  7호 출토 토기 가운데 높이 4cm의 저면이 장방형인 소형토기(그림 2)도 연해주 시니가이 문화에서 많이 확인되는 토기이다.


그림2. 소형토기

2. 석기  

토기 뿐 만 아니라 평거동 유적에서는 동북지방 요소로 꼽혔던 부리형 석기 이외에도 장방형 갈판, 무공석도, 곰배괭이 등도 연해주 시니가이 문화의 문화요소이다. 특히 평거동 유적의 부리형 석기는 돌대문토기 단계의 다른 유적에 비해서 비율 높다.

시니가이 문화 서부 2유형인 하린 유적에서는 부리형 토제품과 석제품(그림9)이 출토된다. 발굴자는 일종의 동물형 토우라고 보았다. 이 토제품과 석제품은 평면형태가 양단을 자른 반월형인데, 양단의 한쪽변이 약간 길다. 토제품과 석제품 모두 긴 쪽에는 홈을 내었고, 토제품에는 홈의 반대편에는 아주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평거동에서 출토되는 부리형 석기(그림 3,4)는 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평거동 유적에서 출토된 부리형 석기는 대부분 이중구연토기 및 돌대문토기와 함께 반출된다. 돌대문토기 단계의 다른 유적에서 확인되는 부리형석기와는 달리 가장 많은 출토양을 보이고 있고, 그 형태도 다양하다. 대체적으로 자갈돌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평면형태가 같지는 않지만, 그 가운데, 자갈돌을 깨어서 한쪽 면을 편평하게 하고,  한 쪽에 홈을 낸 것은 연해주의 것과 아주 유사하다.


그림 3. 평거동 출토 부리형 석기

그림 4. 평거동 출토 부리형 석기

평거동 유적에서는 돌대문토기 단계에서 장방형 석도를 포함한 무공석도(그림5)가 출토된다. 3호 출토품 가운데 평면형태가 장방형 석도와도 다르게 평면형태가 주형(舟形)이며 직인에 가까운 유물이 출토된다. 3호 출토품(5-오른쪽) 중 인면의 끝이 부러진 것처럼 보이지만 실견한 결과 원래 처음부터 부러진 것으로 의도적으로 제작되었다. 인면에서 약간 꺾여서 손잡이 부분으로 손질되었을 수도 있다(만약 발굴 과정 중에 떨어진 것이라고 해도 한쪽 끝은 뾰족하고 반대 면은 직선인 4호 출토품과 유사할 것이다). 4호 출토유물(5-왼쪽)은 장방형 석도와는 달리 한쪽 끝이 뾰족하고 다른 끝은 편평하고, 직인이다. 이와 유사한 유물은 부리형석기와 마찬가지로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2유형인 시니가이 A유적 중층에서 출토되었다. 무공석도는 강원도 돌대문토기가 반출되는 유적인 아우라지, 외삼포리, 천전리 등에서도 출토된다.


그림 5. 무공석도

 이 외에도 평거동 5호에서는 장타원형 갈돌(그림6), 곰배괭이(그림7), 환상석기(그림8) 등이 출토되었다. 환상석기와 곰배괭이는 시니가이 A유적의 신석기시대 후기 층부터 청동기시대인 중층까지 계속해서 출토되는 유물이다. 곰배괭이(그림7)는 부리형 석기와 마찬가지로 회령 오동 유적을 중심으로 한반도 동북지방의 요소로 지목된바 있다.

그림 6. 장타원형 갈돌

그림 7. 곰배괭이

그림 8. 환상석기

장타원형 갈돌(그림6)은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 2유형에서 출토된다. 연해주에서 갈돌과 갈판은 신석기후기인 자이사노프카 문화에서부터 출토된다. 이 때 갈돌의 형태가 사진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안으로 안쪽으로 휘어들어 간 형태고, 작업면은 편평하다. 청동기시대가 되면서 시니가이 문화 서부 2유형에서 장타원형의 갈돌이 출토된다.
 
 이외에 3호 주거지에서 관옥형 옥기와 5호, 7호 등에서 편평석부가 확인된다. 이 유물도 시니가이 문화의 2유형에서 확인되는 것이지만, 연해주 만의 것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특히 편평석부는 압록강 유역의 심귀리 유적 등에서도 확인된다.

그림9. 시니가이 문화의 부리형 석제품(29,33~36)와 토제품(28)

그림 10. 시니가이 문화의 무공석도

그림 11. 시니가이 문화의 갈돌(45,47)과 곰배괭이(48,49)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시니가이 문화의 동부지역에서는 1유형과 2유형 모두 타제석기가 서부지역에 비해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 이전 시기인 마르가리토프카 문화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동부 1유형(루드나야 프리스턴 2층)에서도 타제석기와 함께 마제석부(http://eastsearoad.tistory.com/145 의 그림 2 참고)도 확인되었다.


 동부 2유형 석기는 타제(때려서 만드는 방법)로 제작된 석촉(그림 1-1), 뚜르개(그림 1-2), 긁개(그림 1-3) 등은 1유형에서부터 계속 확인되며 석부, 석촉형 석기, 석촉, 석창, 석도 등 마제(갈아서 만드는 방법)석기의 종류가 늘어난다. 석부(그림 1-4)는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에 가깝게 각이 져 있다. 석촉형 석기는 끝부분이 둥글게 처리되었으며, 단면은 편평하다. 반면에 석촉(그림 1-6)은 중앙에 석촉의 중앙에 홈이 파져 있으며 끝부분이 들어가 있다. 석도(그림 1-7)는 반파된 것으로, 호선모양에 날이 마연되어 있다. 석창(그림 1-8)은 슴베가 부러진 것인데, 중앙에 능이 있다.

(그림 1. 시니가이 문화 동부지역의 석기, 1유형-상단, 2유형-하단)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토기 뿐만 아니라 석기도 신석기후기까지 타제석기가 주류를 이루는데 비해서 시니가이 문화가 되면서 마제석기 마제석기가 주를 이룬다. 특히 전면이 거의 마연된 편평석부와 석착, 석촉형 석기, 환상석기, 장방형 갈돌이 출토된다. 


 석부(그림 1-1)는 신부의 단면이 편평한 편평 석부이다. 평면형태가 장방형에 가까우며, 인부 쪽은 신부 보다 약간 넓다. 인부가 편인인 것이 많지만 양인도 있다. 이 문화의 대표적인 특징 중에 하나는 석촉형 석기(그림 1-4)이다. 단면이 0.1~0.2cm가량이고 길이는 3~4cm 이다. 단면이 편평하며, 슴베 부분이 약간 둥그스럼하다. 평면형태가 주(주)형에 가까운 것, 육각형으로 구분되나 무경식이기는 하나 슴베가 만입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필자가 실견한 바에 의하면 시니가이형 석촉형 석기는 인부를 세운 경우도 간혹 확인되지만, 이는 재가공된 것이다. 대부분 인부를 세우지 않고 양단이 절단되었으며 전면 마연되었다. 유물을 관찰하면서 석촉처럼 보이지만 인부가 뚜렷하지 않다는 점에서 석촉이 아닐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석촉(3~3.5cm)은 무경식으로 신부의 단면가 편평하다. 경부는 약간 둥글게 처리되었으며 봉부가 뾰족한 타원형에 가까운 형태이다. 이는 연해주 내륙에서만 확인되는 석촉이다.
 ㄱ자형 석도(그림 1-3)와 반월형직인석도(그림 1-2)가 출토되었는데, 손잡이 부분과 인부가 약간 꺾인 석도가 출토되었다. 석도의 인면은 마연되었으나, 그 반대면은 타제의 흔적이 남아 있다. 

(그림 1. 연해주 시니가이 문화 서부지역의 석기)


 이외에도 마제석창도 출토되었다. 하린 유적 출토품을 참고하면 중앙에 능이 있어 단면 장방형이고, 아누치노-14 유적의 출토품은 중앙에 능이 봉부 끝까지 있는 형태이다. 갈판과 갈돌도 출토되는데, 장방형 갈판(그림 1-5)이며, 갈돌도 단면이 방형이며, 전체 평면형태도 장방형이다. 연해주에서는 신석기후기 부터 갈돌과 갈판이 출토되는데 신석기시대 갈돌은 반월형인데, 청동기시대가 되면서 장방형으로 변화가 있다. 하린 유적 출토품은 타원형에 가까운 갈판으로 양 가 쪽으로 턱이 있다. 이것은 중앙 부분을 갈판의 길이 방향이 아닌 너비 방향으로 사용해서 이다. 곰배괭이도 출토된 바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자이사노프카 문화에서는 연해주 신석기시대 최초로 갈판과 갈돌(그림 1)이 출토되었다. 갈판과 갈돌은 과거에는 농경의 직접적인 증거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에는 반드시 그렇다는 할 수 없다는 의견이 더 많다. 예를 들면 도토리를 가는 경우와 같이 농경과 관련되지 않은 식물이용에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 1. 갈판과 갈돌

하지만 확실히 앞선 루드나야 문화, 보이스만 문화와는 다른 문화 양상이 보인다. 특히 땅을 파는 굴지구(그림 2,3) 류가 많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 도구는 땅을 파는 도구로서 농경의 간접적인 증거로 많이 논하기도 한다.

물론, 땅을 파는 이유가 반드시 개간만 있는 것은 아니다. 집을 짓기 위해서 땅을 팔 때도 필요하고 등등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이유는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 부터도 필요 했는데, 이 자이사노프카 문화에서 집중적으로 대형 괭이가 발견되는 것은 앞선 시기와 문화양상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자이사노프카 문화에서는 일부 주거지에서 농경의 직접증거로 볼 수 있는 곡물이 발견되어서, 이 시기 부터 연해주에서 농경이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림 2.자이사노프카 문화의 굴지구

그림 3.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굴지구

그림 4. 굴지구류의 자루착장방법

그림 5. 현대의 괭이(굴지구)

목제가공구류와 생각되는 석부와 석착(그림 6, 7) 등도 확인된다.

그림 6,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석부와 석착


그림 7. 다양한 석부의 착장방법

재밌는 유물은 그림 8,9이다. 한반도에서는 달도끼 혹은 원형 석부라고 불리는 유물이다. 달도끼는 정확한 용도를 몰라서 부르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곤봉대가리’라고도 하는데, 막대기에 끼워서 사용하는 것으로 권력자를 상징한다고 보고 있다. 중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유물을 석월이라고 하며, 역시 신분이 높은 사람이 권위를 상징하는 유물로 보고 있다.
그런데 러시아에서는 구멍을 뚫기 위한 도구로 보고 있다.

그림 8.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투공구 1

그림 9. 자이사노프카 문화의 투공구 2


유사하게 생긴 유물을 두고 각 국가 마다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는 점이 재밌기도 하고, 석기의 용도는 정말 알기 힘들다는 생각도 하게 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보이스만 문화는 처음에 보이스만-2 유적이 해안에 인접한 곳에서 확인되었고, 물고기잡이 도구가 많이 출토되면서 해양성문화로 보았으나, 최근에는 보이스만 문화의 토기가 연해주 내륙에서 유적이 확인되기도 해서 해양에만 관련된 문화로 보기는 힘들다.

 

보이스만 문화에서는 토기 이외에 뼈로 제작된 유물이 많이 출토된다.

낚시, 작살, 바늘, 치레걸이 등이 있고, 조개로 만든 조개팔찌도 있다.

바늘은 바늘과 바늘통(그림 2)도 있는데, 두만강 하류의 서포항 유적에서도 출토된 바 있다.

연해주에서 바늘이 출토된 최초의 예이다. 이 보다 이른 시기인 앞서 포스팅 한 바 있는 루드나야 문화의 쵸르토브이 보로타 유적에서는 편직물이 출토되었다. 신석기시대에도 가죽 이외에도 옷감을 짠 편직물과 기우는 바늘이 확인되는데,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예이다. 

 

그림1. 보이스만-2유적 출토 굽은 낚시바늘

그림 2. 보이스만-2유적 출토 작살(회전식)

그림 3. 보이스만-2유적 출토 바늘과 바늘통

그림 4. 보이스만-2유적 출토 석창(왼쪽 흑요석)

그림 5. 보이스만-2유적 출토 장신구


또한 옥으로 만든 옥 귀걸이(그림 5)도 있다.

대형작살(그림 3)은 회전식 작살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괭이 같은 땅을 파는 도구(그림 6-7), 나무 가공용 도끼(그림 6-1~7), 화살촉(그림 7-1~20) 등도 확인되었다.

앞선 문화와는 달리 흑요석제품(그림 4 왼쪽, 그림 7-26)도 출토되었는데, 창의 일종으로 생각된다.

자갈돌을 이용한 어망추(그림 7-21,22)는 어느 지역이나 비슷하다.

 

그림 6. 보이스만 문화의 석기 

그림 7. 보이스만 문화의 석기 

보이스만-2 유적이 패총인 덕택에 유기물질로 제작된 유물이 상당히 남았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prev 1 2 3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