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계속해서 시니가이 문화에 대해서 연재하고 있다.

왜냐하면

 청동기시대 시니가이 문화가 교류 흔적? 혹은 사람의 이주 흔적? 등이 경남 진주에서 확인되기 때문이다. 토기, 석기, 청동기가 이를 대변하고 있다.

1. 토기
 평거동 청동기시대 주거지(집터)에서 출토되는 토기는 점토띠를 부착한 돌대문토기와 구연단을 접은 이중구연(입술이 두겹)토기가 출토된다. 이 토기들은 한국에서 청동기시대 가장 빠른 시기인 조기(早期)로 평가되고 있다. 좀 더 세분화 하면 조기 후반 혹은 전기로 보는 사람도 있다.(절대연대는 대체적으로 BC1316~1122(보정연대)까지 여러 시료가 있음.)


 평거동에서 출토된 이중구연토기는 입술부위를 접어서 만든 것이고, 이 보다 앞서(청동기시대 시작 무렵, 조기 기원전 15세기) 들어온 서북지방에서 들어온 토기에서 발전해서 재지에서 발전된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그런데 이 주장에서는 모순점이 있는데, 이중구연토기는 모두 같은 스타일이 아니다. 기형(토기의 모양)이 다른 것이 있으며 이중구연이라고 해도 구연부 제작방법에 차이가 있다. 먼저 주장된 것은 나팔상으로 벌어지는 발형토기(그림1.2)이다.

그림 1. 평거동 출토 이중구연토기. 

그림2. 그림1을 복원한 것. 발형토기

그러나 평거동에서 출토된 토기 가운데 같은 시기에 기형이 다른 것은 경부(목)이 생기는 옹형토기(그림)가 있다. 

그림 3. 이중구연토기(점토띠를 덧붙임)

그림 4. 그림3을 실측한 것(왼쪽) 그림 5를 복원한 것(오른쪽)
 

뿐만 아니라 구연부 제작방법에도 차이가 있는데, 점토를 부쳐서 만든 발형토기(그림3)와 옹형토기(그림 5, 그림3의 오른쪽)가 있다.

그림 5. 이중구연토기(입술부위에 점토띠를 부친 것), 옹형토기



이들 토기는 연해주 시니가이 문화의 동부1유형에서 확인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만으로는 설득력이 부족하며 같이 출토되는 석기 들 중에서도 연해주 출토의 것들이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