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카자흐스탄 동부에 위치한 사카 문화는 거대한 쿠르간과 황금유물로 유명하다. 사카문화는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카자흐스탄 동부의 지역문화 중에 한 곳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베스샤타르 유적 외에도 이식 유적이 있다.

 

특히 이식 유적은 화려한 복장을 입은 남성이 그대로 확인되어서 여러모로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식 유적의 남성은 ‘황금인간(그림 2)’이라는 별칭이 있다.

특히 카자흐스탄은 신생국가로서 자신의 문화적 유산을 잘 이용했는데, 1974년 이래로 황금인간은 모든 박물관에서 전시되었고, 황금인간 모자의 형상은 국가 상징물로도 사용되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어김없이 이 유적도 도굴된 채 발굴되었다. 정확하게 무덤 구조는 알 수 없지만 한 봉분 아래에 여러 방이 있는 구조였을 것인데 발굴될 때 당시에는 중앙과 남쪽 측면에 두 개의 무덤방이 확인되었고, 중앙은 완전히 도굴당해서 전모를 알 수 없다. 중앙에서 남쪽으로 15m가량 떨어진 곳에 장방형의 무덤방이 하나 더 발견되었는데, 이곳에서 황금인간이라고 불리는 십대 소년이 매장되었다. 이곳도 매장주체부의 상단은 거의 없어진 상태였고, 나무방(3.3×1.9m, 높이 1.3~1.5m)은 통나무로 덮개가 철제 꺽쇠로 고정된 채 발견되었다(그림 1).

 

 

그림 1. 이식 유적 황금인간의 무덤방 출토상황, 위-남쪽 측면 무덤방, 아래-통나무 덮개가 내려 앉은 모습

 

 

그림 2. 카자흐스탄 알마티의 이식 박물관에 전시중인 황금인간

 

 

모자와 의복을 갖춘 소년의 머리(서벽)위에는 토기 16점, 은제품 2점, 숟가락 1점이 발견되었고, 소년의 우측(남벽)에는 자작나무로 만든 잔, 접시, 국자가 있었는데, 그나마 남아 있는 것은 국자와 접시 2점 뿐이다.

 

이식 유적에는 150여기의 쿠르간이 구성되어 있는데, 기원전 7세기부터 기원후 17세기까지 이곳은 무덤으로 사용되었다. 직경은 20~10m, 높이 1.5~15m 규모의 쿠르간이다.

 

황금인간의 무덤은 완전히 파손된 채 발견되어 봉분의 높이를 알 수는 없지만 그나마 남아 있는 쿠르간은 높이 6m, 직경 60m이다. 베스샤타르 유적과 마찬가지로 봉분은 쇄석과 점토를 섞어서 겹겹이 쌓아서 지상의 무덤주체부를 덮었고 위는 편평하다. 황금인간의 무덤도 같은 구조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황금인간이 나온 무덤은 무덤방이 최소 2개인 것을 생각하면 베스샤타르 유적의 매장주체부와 완전히 같다고도 할 수 없다. 다만 봉분을 쌓은 방법은 같다고 볼 수 있다.

 

이식 유적이 전면 보고된 아키세프의 저서에는 황금인간이 출토된 간단한 경위와 유적에 대한 설명만 간단하고 전부 의복에 장식된 황금장신구와 관련된 내용이다. 하지만 여전한 의문점은 많다.

 

참고문헌

Акишев К.А. 1978 : Курган Иссык. Искусство саков Казахстана. М.: «Искусство». 1978. 132 с.(아세세프, 1978, 이식 쿠르간, 카자흐스탄 사카 사람의 예술)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 스키타이 문화권 내에서 카자흐스탄 동부지역에 위치한 지역문화는 사카 문화이다. 사카 문화의 대표적인 유적 가운데 베스샤타르 유적은 일리 강을 끼고 형성된 유적으로 평지에 위치한다. 쿠르간 31개가 남북2km, 동서 1km 내에 자리잡고 있으며 그 중에 돌로 덮은 봉분은 21기, 그 외는 10기는 흙으로 덮은 것이다.

 

매장주체부로 생각되는 지상 위의 목조 구조물(3.6×3.3m)은 3면은 16개의 통나무를 가로로 세워서 쌓았고(높이 4m), 동쪽면은 복도처럼 생긴 문 시설이 있는 구조이다. 세로로 통나무를 두 줄을 세우고 그 사이를 가로로 통나무로 눕힌 것이다.

 

그림 1. 베스샤타르 유적 1호의 지상위 목조 구조물의 평면도

 

북쪽에 큰 쿠르간이 모여 있는데 그 중에서 1~10호, 14호가 지상 위에 연도가 있는 매장주체부를 만들고 그 위를 돌로 덮은 것이다. 무덤의 크기는 각기 다르다.

지하에 카타콤 시설이 따로 있는 무덤은 6호 뿐인데, 정확하게 용도는 알 수 없다. 매장주체부가 지상에 있는 무덤에 남겨진 유물은 거의 없다.

 

봉분을 돌로 덮는다고 해도 그 내부의 구조는 다를 수 있는데, 25호와 같은 무덤이다. 직경이 8.5m, 높이는 1.08m인데, 지하에 타원형 모양의 구덩이를 파고(3.5×2m) 매장주체부를 만들었다. 인골 2구가 발견되었는데, 왼쪽에는 고리트, 오른쪽에는 철검을 착장했다(그림 2).

철검은 스키타이 단검이라고 불리는 것이고, 청동제 화살이 50개나 들어간 고리트였던 것으로 보인다. 화살은 모두 같은 형식은 아니라고 12개의 형식이다. 허리에 철제장식이 있는 허리띠를 착장했다. 인골주변에서 구슬이 나왔는데, 목걸이를 착용했던 것처럼 보인다.

 

그림 2. 베스샤타르 유적 25호의 무덤과 출토유물

 

베스샤타르 유적에 수혈(구덩이)을 파지 않은 무덤은 목조 구조물로 무덤방을 지상에 만들었고, 구덩이를 판 무덤은 목조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았다.

두 무덤의 차이는 결국 장례치르는 사람이 목제와 인력을 수급능력 즉 경제력의 차이와 관련되었을 것이다.

유적을 발굴한 아키세프는 가장 큰 무덤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약 4만명 정도의 인력이 동원되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흑해 지역에도 평지에 높은 봉분을 만드는 무덤이 유행했다. 기원전 7세기 코스트롬스카탸 유적도 지하시설이 있지만 지상위에 목조구조물을 만드는 구조였다. 그리고 기원전 5~4세기 이후에도 높은 봉분을 만들었다. 카자흐스탄의 타스몰라 문화도 마찬가지이고 사카 문화도 높은 봉분을 경쟁적으로 만들었다.

아마도 스키타이 문화권의 공통적 특징중에 하나도 이 높은 봉분이 있는 유적도 포함될 것이다. 누구를 위해서 왜 만들까? 결국 보여주기 위해서일 텐데.....

 

참고문헌

К.А. Акишев, Г.А. Кушаев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саков и усуней долины реки Или.// Алма-Ата: 1963. 320 с.(아키세프, 쿠샤예프 일리강 변의 고대 사카문화)

Степная полоса азиат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 1992 (스키토-사르마트 시기의 소비에트 연방 내의 아시아 초원지대)

А.X. Маргулан, К.А. Акишев, М.К. Кадырбаев, А.М. Оразбаев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Центрального Казахстана.// Алма-Aтa: 1966. 436 с.(마르구란 외 1966, 카자흐스탄 중분의 고대 문화양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스키타이 시대에 카자흐스탄에는 서부 평지에 위치한 타스몰라 문화와 동부 산악 지대의 사카 문화가 존재한다.

 

앞서 설명한 대로 타스몰라 문화는 ‘콧 수염이 달린 쿠르간’이라고 불리는 무덤이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외관은 다른지역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이지만 그 내부구조는 매우 간단하다. 나무구조물이 남아 있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구덩이만 남아 있다.

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dttrgVvoA6XC9xHPaMjvGlmKOfYBEVLl&usp=sharing 

 

스키타이 문화의 유적 - Google 내 지도

원래 스키토-시베리아 문화권이라고 불리지만 용어가 어려워서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했음

www.google.com

 

 

그런데 같은 카자흐스탄 국경 안이지만 동부 산악지대에 위치한 유적은 무덤의 구조와 출토유물은 상당한 차이가 있고, 사카 문화라고 불린다.

대형고분은 이식, 베스샤티르, 실릭티 유적 등이 있는데, 실릭티 무덤의 구조는 이미 살펴본 바 있다.

 

2021.03.05 - [교과서 밖의 역사: 유라시아 스키타이 문화 중부/천산산맥] - 카자흐스탄 새장식이 출토된 무덤의 구조

 

카자흐스탄 새장식이 출토된 무덤의 구조

스키타이 문화에서 자주 애용된 새 문양 장식은 두 날개를 핀 형태부터 다양하게 있었다. 흑해 유적에서는 얼굴을 측면으로 돌린 형태이다. 다른 문양요소가 가미되지 않은 순수한 독수리 혹은

eastsearoad.tistory.com

 

 

이식 유적은 황금인간이라고 불리는 남성과 관련된 유물 때문에 박물관이 따로 만들어질 정도유명해졌지만, 안타깝게도 무덤구조는 잘 남아 있지 않은 상태로 세간에 알려졌다. 인접한 지역에 베스샤타르 유적(기원전 6~5세기)을 통해서 무덤구조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직경 105m, 높이 17m로 지상 위에 목제로 구조물을 만들고 그 위를 돌로 덮은 것이다(그림 1). 그런데 특이한 점은 목조구조물의 아래, 지하에 카타콤이라고 불리는 비밀스러운 통로가 따로 마련되어 있었다는 점이다(그림 2, 그림 3). 목조구조물로 들어가는 묘도는 무덤의 서쪽에 따로 있고, 지하의 카타콤은 봉분의 북서쪽 아래에서부터 시작된다(그림 3).

 

그림1. 베스샤타르 유적의 무덤 평면도 및 단면도

 

그림 2. 베스샤타르 유적의 무덤 단면도, 위-동서 단면도, 아래:북서-남북 단면도

 

 

그림 3. 베스샤타르 유적의 무덤 얼개도

 

그림 4. 베스샤타르 유적의 매장주체부 목조구조물의 각 벽

 

베스샤타르 유적은 지상위에 거의 집을 짓는 것처럼 매장주체부를 만들고 나무무덤방을 만들어서 그 위를 여러겹의 돌로 덮어서 축조한 것이다.

 

카자흐스탄 국경내에서 타스몰라 문화와 사카 문화는 무덤구조가 거의 비슷하지 않다. (물론 카자흐스탄 동부산악지대의 북과 남쪽에도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스키타이 문화권이라고 묶는 이유는 동물문양장식 때문이다.

 

참고문헌

К.А. Акишев, Г.А. Кушаев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саков и усуней долины реки Или.

// Алма-Ата: 1963. 320 с.(아키세프, 쿠샤예프 일리강 변의 고대 사카문화)

Степная полоса азиат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 1992 (스키토-사르마트 시기의 소비에트 연방 내의 아시아 초원지대)

 

А.X. Маргулан, К.А. Акишев, М.К. Кадырбаев, А.М. Оразбаев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Центрального Казахстана.// Алма-Aтa: 1966. 436 с.(마르구란 외 1966, 카자흐스탄 중분의 고대 문화양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유라시아 초원의 스키타이 문화권은 기원전 9세기부터 아르잔-1호를 기준으로 시작되지만 실제로 초원의 각 지역에 여러 유적이 발견되는 되면서 문화의 실체가 드러나는 기원전 7~4세기이다. 동쪽과 인접한 중국에서는 춘추전국시대 기간이고, 서쪽과 인접한 지역인 이란지역에서는 앗시리아와 아케메네스 왕조가 있던 기간이며, 이들과 공존하던 사람들의 문화를 스키타이 문화(권)라고 한다. 각 지역에는 지역색이 분명한 문화가 있었지만 어떤 공통된 특징 때문에 이들을 통틀어 ‘문화권’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각 지역의 문화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보이는 것을 마구, 무기, 동물장식라고 생각하며 이를 스키타이 3요소라고 러시아 학계에서는 생각한다. 마구와 무기는 실용적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 무덤에 부장되어 현재 전해지는 것은 많은 것은 의례적인 유물이다. 대형고분 위주로 생각해서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무덤에서도 무기류는 의례적인 성격을 띠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마구도 마찬가지이다.

 

동물장식은 좀 더 심하게 실용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고, 보여주기 위한 혹은 그 어떤 것을 상징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을 수 있다. 마구에 다는 동물장식은 실제로 썼으니 실용적인 것이 아니냐고 반문할 수 있는데, 필자가 생각하는 실용적인 것은 삶을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를 말한다. 재갈과 재갈멈치를 통해서 고삐를 달아서 말을 부리면 된다. 동물장식을 달던 안달던 고삐가 채워진 움직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마구 없이는 말을 부릴 수 없고 이동을 할 수 없다. 이들의 생업방식과 직결되는 것이다.

 

필자도 스키타이 3요소가 스키타이 문화권을 묶어주는 특징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의례적인 요소가 강한 것다. 반면에 일상생활과 관련된 좀 더 실용적인 유물도 각 지역이 어떤 공통적인 문화로 연결될 수 밖에 없었던 근거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나무쟁반 혹은 나무 잔과 같은 것이다. 아르잔-1호에서는 아쉽게도 발견되지 않았지만(도굴되었을 가능성이 많음), 아르잔-2호에서 이미 발견되었고, 그 전통은 알타이의 유적에서도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볼가 강 유역의 사우로마트 및 사르마트 문화의 이른시기, 흑해의 유적에서는 금판을 두른 목제 잔 등이 발견된다.

 

중앙아시아의 타스몰라 문화의 여러 유물은 아르잔-2호에서 발견된다고 지적되었는데, 주로 마구(재갈과 재갈멈치) 및 허리장식과 버클 장식이다. 그 외 무덤구조는 아르잔-2호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아르잔-2호의 주요전통이 타스몰라 문화로 연결된다고는 보기에는 어렵다.

 

타스몰라 문화에서는 나무쟁반 대신해서 고기를 담는 그릇을 돌로 만들어서 무덤 속에 넣어 두었다. 돌 그릇의 형태는 평면형태 원형, 타원형 등 납작하고 가장자리에 테가 돌아가는 형태이다(그림 1). 아르잔-2호에는 나무로 만들었지만 타스몰라 문화에서는 돌로 만들었다.

시간에 따라서 형태에 변화가 있지만 기원전 5세기 이후에 타원형(그림 1-15)에 가까운 유물이 나타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슷하다. 문화의 전반기(기원전 7~6세기)에는 다리가 짧게 붙은 유물도 있었다.

 

그림 1. 타스몰라 문화의 석제 쟁반

 

타스몰라 문화에서는 무덤안에 목제 구조물을 넣는 경우가 없다. 단지 봉분을 높게 쌓고 무덤의 동쪽으로 긴 수염처럼 돌을 줄을 세워서(석열) 무덤인 것을 표시했다. 아마도 이들 북쪽에 있던 투바와 알타이와는 달리 목제 수급이 용이 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석제 쟁반도 목제를 대신해서 만들었지만 그릇의 모양은 닮았다. 물론 아르잔-2호에도 석제 쟁반은 있지만 아주 소형이고, 형태가 원형이 아니어서 타스몰라 문화의 석제 쟁반은 목제 쟁반을 모방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

 

그림 2. 아르잔-2호의 목제 쟁반

 

나무가 부족하니 돌로 쟁반을 만들었지만 이를 따라 할 만큼 스키타이 문화권에서는 널리 사용되던 유물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Степная полоса азиат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 1992 (스키토-사르마트 시기의 소비에트 연방 내의 아시아 초원지대)

А.X. Маргулан, К.А. Акишев, М.К. Кадырбаев, А.М. Оразбаев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Центрального Казахстана.// Алма-Aтa: 1966. 436 с.(마르구란 외 1966, 카자흐스탄 중분의 고대 문화양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카자흐스탄의 스키타이 문화인 타스몰라 문화는 기원전 7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까지 존재한 문화이다. 전반기는 기원전 7~6세기, 후반기는 기원전 5~3세기까지 존재했다. 기원전 4세기가 되면 스키타이 문화권은 아시아 지역에서는 흉노문화, 볼가지역 및 흑해지역은 사르마트 문화 혹은 훈족 문화라고 하는 지역으로 변환된다.

하지만 카자흐스탄의 중부지역 및 동부지역 특히 평지에는 기원전 3세기까지 타스몰라 문화가 지속된다. 카자흐스탄의 동부 산악(천산산맥) 부근에는 사카 문화가 기원전 7세기부터 존재했지만, 사실 카자흐스탄에서 고고문화의 구분은 선명치 않다.

 

카자흐스탄 타스몰라 문화는 사카 문화에 비해서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시베리아 아르잔-2호의 발굴로 다시 소환되었으나, 크게 궁금해 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관심사와 약간은 빗겨나갔기 때문인데, 타스몰라 문화에서는 황금유물이 몇 몇 동물장식 빼고는 많지 않기 때문이다. 무덤구조도 ‘수염 달린 쿠르간’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산악지역(카자흐스탄 동부, 파지리크 문화) 및 아르잔-2호와도 전혀 다르다.

 

타스몰라 문화가 기원전 7세기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늦은 기간에는 황금유물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하지 않아도 될 듯하다. 오히려 동물장식 가운데 맹수모양의 황금장식(그림 1)은 이른 시간에 몇 점이 발견되고 그 이후에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특히 늦은 시기의 타스몰라 문화 유적에서는 유물 자체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대부분 무기(화살촉, 철칼)과 석제 쟁반, 마연석 등이 발견될 뿐이다.

 

시베리아 중부의 산악지역인 알타이와 천산산맥에서 황금관련 유물이 발견되는 시점이 기원전 6~5세기이지만 카자흐스탄 평지에는 소비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림 1. 타스몰라 문화 전반기(기원전 7~6세기) 동물장식, 황금제품

 

 

그림 2. 타스몰라 문화의 후반기(기원전 5~3세기) 카라무룬 I유적 5그룹

 

 

그림 3. 타스몰라 문화의 카라무룬 I유적 5그룹 중에 1,2-5a, 3,4-5b

 

아르잔-2호의 마구와 허리띠 장식이 타스몰라 문화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한 점은 틀리지 않았지만, 아르잔-2호의 황금유물을 기준으로 할 때 두 문화는 전혀 관련성이 없다. 오히려 아르잔-2호의 황금제작 기술이 카자흐스탄 각 지역의 황금제작 기술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의견(Barbara Armbruster 2009)이 더 합리적이다.

 

스키타이 3요소라고 정해진 무기, 마구, 동물장식은 실용적이기도 하지만 하나하나씩 비교해 보면 의례품에 가까운 유물들이 더 많다. 황금유물은 이들 각각의 제품 가운데 의례품에 가까운 유물의 재질이다. 그런데 필자는 스키타이 문화권 혹은 세계를 묶는 유물은 일상용기로도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석제 쟁반은 아르잔-2호와 파지리크 문화의 이미테이션이다.

 

참고문헌

 

Barbara Armbruster 2009 Gold technology of the ancient Scythians –gold from the kurgan Arzhan 2, Tuva, Archeo Sciences, 33, 2009, p. 187-193

Степная полоса азиат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М., 1992 (스키토-사르마트 시기의 소비에트 연방 내의 아시아 초원지대)

А.X. Маргулан, К.А. Акишев, М.К. Кадырбаев, А.М. Оразбаев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Центрального Казахстана.// Алма-Aтa: 1966. 436 с.(마르구란 외 1966, 카자흐스탄 중분의 고대 문화양상)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