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22. 7. 20. 09:22 사르마트 문화

 

유라시아 서부의 사르마트 문화에서는 특히 동쪽의 돈강 유역 부근의 고분에서는 로마제 은제 식기 등이 발견된다. 특히 은제 쟁반의 가장 중앙에는 원판에 그리스로마신화가 주조되어 있다.

사르마트 문화의 모든 지역에서 로마의 은제 식기가 발견되는 것은 아니었다. 아무리 부유한 사르마트 문화의 쿠르간이어도, 유리병이나 암포라 등은 무역품으로 묘주의 무덤에 들어갈 수 있었지만 은제 식기는 1세기 중반 이후 볼가 강~돈강 유역의 무덤에서만 발견된다.

2022.07.18 - [사르마트 문화] - 1세기 동유럽의 로마 식기는 무역품일까?

 

1세기 동유럽의 로마 식기는 무역품일까?

사르마트 문화는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후 1~2세기까지 돈강 유역부터 흑해 북안을 차지했다. 기원전 4세기경의 유적에서는 그 이전 스키타이 문화와 구분이 애매한 것들이 많지만 1세기경이 되

eastsearoad.tistory.com

그리고 이들 은제 식기는 8점이 주로 발견되는데, 로마 사람들은 식탁 위에 식기를 8개씩 쓰지 않았다. 로마의 국경 밖에서만 8개의 은제 그릇이 발견되었다.

2022.07.19 - [사르마트 문화] - 동유럽에서 발견된 로마 식기 8점

 

동유럽에서 발견된 로마 식기 8점

사르마트 문화에서 1세기경에 종종 은제 식기가 발견된다. 주로 사르마트 문화의 동쪽 지역인 돈강 유역이나 볼가 강 유역에서 볼 수 있다. 돈강 하류의 대표적인 도시인 노보체르카스크 시에서

eastsearoad.tistory.com

 

 

중앙의 원판이 달린 은제 그릇은 로마의 최상층에서 사용했다는 것은 일부 유물 가운데 비문이 남아 있어서 알 수 있다. 심페르폴에서 나온 은제 바닥에는 그리스 비문이 남아 있었고, 3세기 케르치에서 발견된 은제 접시의 바닥에도 "Tsar Antonin"과 "Tsar Riskuporid"라고 글자가 적혀 있었다. 이 그릇은 Marcus Aurelius Antoninus Caracalla가 보스퍼러스 왕 (케르치 해협에 위치) Riskupori du III세에게 선물했다고 알려졌다. 또 다흐호프브카야 마을 부근에서 발견된 은제 컵에도 "from Tsar Pakor"이라는 비문이 남아 있었다. 1세기 이전의 유물로 알려졌다(클레인 2016).

 

당시 로마 사람들은 금 보다 은을 더 사랑했다. 그들은 전리품을 금으로 받지 않고 은으로 받았다. 은과 청동으로 만든 예술품 모으기는 로마귀족들 사이에서 전염병처럼 퍼졌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신화가 들어간 은제품을 판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때문에 돈강 하류의 사도브이 유적에서 나온 그릇을 일반민들 사이에서 이루어진 무역 채널로 들어왔다고 볼 수 없다. 최상위 수준에서 로마의 국경을 넘어서 나온 것이다.

 

그래서 사르마트 문화 뿐만 아니라 로마제국의 바깥에서 나오는 은제 그릇은 대부분 외교관계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왜 1 중반~2세기 볼가 강 유역, 돈강 유역과 쿠반지역(코카서스 북부)에서 갑자기 은제 식기가 나왔을까?

 

클레인(2016)은 이를 로마의 군대 이동과 비교했다. 로마에서는 네로시대(54~68년)를 거치면서 로마군대의 배치에 변화가 있었다. 그 이전에 아부구스트 시대에 동유럽(다뉴브 강 하류)에 배치했던 군대 중에 일부를 네로시대가 되면서 서부와 중부유럽으로 배치를 전환했고 일부는 아시아 지역(볼가 강, 돈강 유역)에도 증가시켰다. 그 결과 네로시대에는 다뉴브(도나우) 강 하류에 로마 군대는 반으로 줄어 들었다. 1세기 후반 이후 트리야누스(98~1117년)가 통치하면서 서부유럽의 군대를 빼서 다뉴브(도나우) 하류에 다시 군대를 증가시켰고, 아시아 지역(돈강 유역)의 군대는 그대로 두었다.

1세기 전반부에는 독일과 그 후방의 유럽에서 군대가 많이 주둔했을때 그곳에 로마제 은제 식기가 많이 발견되지만 이때 쿠반과 볼가 강 및 돈강 유역에서는 로마의 예술적인 은제 식기의 숫자는 작은 편이었다. 1세기 중반 이후에서 2세기 초반에 다뉴브 강과 아시아지역에 로마 군대가 그 이전보다 많아지면서 돈강 유역, 볼가 등에서 은제 식기가 발견되었다.

 

즉 사르마트 문화의 부유한 쿠르간 중에서 볼가 강과 돈강 유역에서 은제 식기가 1세기 중반 이후에 많이 발견되는 것은 외교품의 산물이었기 때문이다. 드네프르강 유역과 다뉴브 강 유역에도 사르마트 문화의 쿠르간 들이 많이 존재하지만, 이때 로마는 이 보다 더 서쪽인 독일과 덴마크 등지를 더 신경 썼었다.

 

그래서 돈강 하류에  위치한 사도브이 쿠르간 주인공은 당시에 사르마트  부족연합  사람들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사람들 중에 한명이었을 것이다(클레인 2016).

 

그림 1. 1세기 유라시아의 여러 제국(클레인 2016)

 

 

 

참고문헌

Клейн Л.С. Первый век. Сокровища сарматских курганов, СПб.: Евразия, 2016. (클레인, 2016, 1세기, 사르마트 문화 쿠르간의 보물)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7. 19. 09:22 사르마트 문화

 

 

사르마트 문화에서 1세기경에 종종 은제 식기가 발견된다. 주로 사르마트 문화의 동쪽 지역인 돈강 유역이나 볼가 강 유역에서 볼 수 있다. 돈강 하류의 대표적인 도시인 노보체르카스크 시에서는 사도브이 유적에서 8점의 은제 식기가 발견되었다. 은제 식기 안에는 그리스로마신화그 그려진 것으로 로마제품이다. 이 유적과 동시기의 유적이 볼가강과 돈강 유역의 사이 지역에서 나왔는데 주토보 유적이다. 이곳에서도 은제 식기가 8점이 발견되었다.

 

 

그림 1. 사도브이 유적의 은제 쟁반, 네레이스와 해마

 

1세기는 로마가 강성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이들의 유물은 사르마트 문화지역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발견되는데 베를린 근처에서도 발견되었다. Gildesheim유적은 로마의 은제 창고로 알려질 만큼유물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은제 쟁반8개가 있었다.

 

즉 로마 제국의 밖에서는 로마의 8개의 그릇이 세트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로마 제국 안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로마에서는 잔치상에 앉는 사람은 4-8명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스인과 로마인에서 잔치상에 앉는 사람은 숫자 3과 관련되어 있다. 보통 3명이지만 3명이 3중으로 열을 지어서 앉는 경우는 9명이 초대되었다. 나중에는 12명의 손님을 초대하는 방법이 동쪽으로 퍼졌다(예수의 최후의 만찬). 그래서 그리스와 로마사람들은 8개의 그릇을 다루지 않았다.

 

당시 로마 제국 밖의 북방 민족들 잔치에서는 귀족은 8명으로 구성되었을 것이다. 이것은 사르마트 사람들 보다는 당시 독일인과 로마사람들의 인식이었다. 왜냐하면 중부유럽에서 사변형 건축학은 올드 인도-유럽의 전통이라고 알려져서(세메이카 1971) 숫자 4와 8은 독일인에게 전통적인 숫자였고, 로마인들은 그것을 알았다(클레인 2016).

 

 

참고문헌

Семека Е. С. 1971. Антропоморфные и зооморфные символы в четырех- и восьмичленных моделях мира. — Труды по знаковым системам. Тарту, вып. 5 (Ученые записки Тартуского гос. университета): 92-108.(세메이카 1971, 4 방향과 8 방향에 있는 의인화와 동물화 심볼에 대한 연구:사인의 시스템에 대한 연구)

Клейн Л.С. Первый век. Сокровища сарматских курганов, СПб.: Евразия, 2016. (클레인, 2016, 1세기, 사르마트 문화 쿠르간의 보물)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7. 18. 09:22 사르마트 문화

 

사르마트 문화는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후 1~2세기까지 돈강 유역부터 흑해 북안을 차지했다. 기원전 4세기경의 유적에서는 그 이전 스키타이 문화와 구분이 애매한 것들이 많지만 1세기경이 되면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것 같다.

 

특히 로마제품은 사르마트 문화의 사람들이 애용했다. 로마에서 주로 수출하던 물건은 토제 암포라(손잡이 두 개 달린 항아리)와 유리제품과 붉은색 옻칠을 한 그릇이다. 주로 로마 구경 근처와 흑해 북안의 도시 부근에서 많이 발견된다. 오늘날 우크라이나, 몰도바 등지에 산지해 있다. 또 러시아의 코카서스 북부 지역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그림 1. 사드브이 유적에서 출토된 로마의 은제 그릇의 내부, 네레이스(바다의 님프)와 켄타우로스

 

 

 

그림 2. 1세기, 유라시아의 제국

 

그런데 로마의 유물로 생각되는 은제 그릇은 그 출토범위가 다르다. 우크라이나와 몰도바 지역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고 러시아 국경 안인 볼가와 쿠반(코카서스 북부)지역과 그리고 돈 강 유역에서 비교적 발견되는 편이다(클레인 2016).

 

아이러니 하다. 로마의 유리를 사는 우크라이나 지역의 부자들은 로마의 은제 식기는 사지 못했을까? 로마의 아름다운 예술적인 식기를 1세기 우크라이나 지역에 살던 사르마트 사람들은 변변치 못한 물건으로 취급했을까? 아니면 그들에게는 너무 비싼 물건이었을까?

 

아니면 돈강 서쪽의 사르마트 사람들과 흑해북부의 우크라이나 사람들과는 매장방법 즉 전통이 달랐을까? 그렇지 않다.

1~2세기 돈강 서쪽에는 매우 많은 유물을 부장하는 전통이 있었고 사르마트 고유한 그릇이 부장되었다. 예를 들면 사도브이 유적(은제 쟁반 8점 나옴)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호흘라치 무덤의 동물장식이 있는 청동솥이다.

 

그렇다면 로마의 은제 식기는 무역품이 아니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사도브이 무덤의 주인공은 그것을 구입한 것이 아니다.

 

그럼 전쟁에서 이긴 획득물일까?

전쟁에서 이긴 물건이라면 패자들에게 약탈을 하던지, 조공품이었던지, 배상금이었던지 물건을 선별적으로 고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 은제품은 선별적이었다. 그리고 사르마트 귀족들이 주문제작한 것이라면 그들이 좋아했던 동물문양으로 장식했을 것이지만 그렇지 않다. 완전히 로마 자신들의 스타일이었다.

 

 

 

참고문헌

Клейн Л.С. Первый век. Сокровища сарматских курганов, СПб.: Евразия, 2016. (클레인, 2016, 1세기, 사르마트 문화 쿠르간의 보물)

 

 

.

posted by 김재윤23
2022. 7. 17. 09:22 사르마트 문화

사르마트 문화의 늦은 시기인 1세기경에는 로마의 유물들이 많이 발견된다. 마치 그 이전 기원전 4세기 이전에 그리스 유물들이 많이 발견되는 것과 같다.

 

돈강 하류의 유적인 사도브이 유적에서는 8점의 은제 쟁반이 발견되었다. 쟁반의 가장 중앙은 둥근 원판 안에 그리스로마신화가 표현되어 있다. 앞에서 프시케의 사랑 이야기라고 퉁쳤지만 엄밀히 말하면 주제는 4개이다. 네레이스(바다의 님프)와 관련된 것 3점, 네레이스와 바다 켄타우로스와 관련된 장면 2점, 큐피드와 프시케 2점, 포도따기와 디오니소스와 관련된 것 1점이다. 아시다시피 그리스로마신화는 등장인물의 이름은 다르다(클레인 2016).

 

그림 1. 사도브이 유적에서 출토된 은제 쟁반

 

그리고 은제 쟁반은 그 주변을 깃털모양을 편 것처럼 음각 처리되어 있다. 그런데 이 깃털의 크기가 각기 다르다. 주물로 제작된 이 유물은 당연히 중앙의 원판과 주변은 따로 만들어서 붙인 것이고 이를 테두리가 감싸고 있다. 하지만 은 자체는 완벽하게 동일한 제품이다. 그래서 모르드빈체바, 트리이스트르(2007)은 유물들이 세트로 제작되지 않았고 따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했다. 특히 중앙의 원판은 그릇의 중앙 크기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아서 테두리로 이를 연결했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그릇을 만드는 장인은 그릇 1개 혹은 짝을 만드는데는 익숙한 사람이었지만 8개를 완벽하게 똑같이 만들지 않던 사람이 주문자의 명령에 따라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모르드빈체바 외 2007).

 

그런데 이 유물이 로마제품이라는 것을 의심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왜 은제 그릇이 사르마트 사람의 무덤 속에서 발견되었는가?

 

참고문헌

Клейн Л.С. Первый век. Сокровища сарматских курганов, СПб.: Евразия, 2016. (클레인, 2016, 1세기, 사르마트 문화 쿠르간의 보물)

Мордвинцева В. И. и Трейстер М. Ю. 2007. Произведения торевтики и ювелирного искусства в Северном Причерноморье (II в. до н. э. — II в. н. э.). Симферополь — Бонн, Универсум — Тарпан.(모르드빈체바, 트리이스트르 2007, 흑해북안에서 발견되는 명작 예술품의 제작방법)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
2022. 7. 16. 09:22 사르마트 문화

 

사르마트 문화에서는 외부지역에서 온 유물이 출토된다. 로마(다차 유적, 노보-알렉산드로프카 I유적) 에서 은제 그릇들도 있지만 파르티아에서 제작된 유물도 발견되었다.

비소치노 유적은 수십개의 쿠르간이 열을 지어서 발견된 유적이다. 그곳에서 비소치노 VII유적에서는 파르티아에서 제작된 주전자가 발견되었다. 은으로 제작된 후 문양에 금박으로 입힌 것인데, 매우 눈길을 끄는 유물이다.

 

쿱신(액체를 담는 용기)는 의례용이라는 것을 누가 봐도 알 수 있지만, 그 문양이 더 의미심장하다. 쿱신의 동체부는 상단과 하단이 나눠져서 문양이 새겨져 있다. 상단에는 새와 맹수가 하단에는 물고기와 인간이 표현되어 있다. 특히 하단에는 사람이 물고기를 잡는 장면과 물고기를 타고 돌아오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유적을 발굴한 루카센코는 이 유물이 의미하는 바를 아베스타에서 말하는 우주관을 상징한다고 보았다. 낚시하는 장면을 재생, 부활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고대 이란의 의례행위 가운데 가장 성스러운 행위가 목욕인데, 재생을 의미한다. 물고기를 타고 오는 장면 자체가 물 속에 있는 장면을 의미하며, 재생을 비유한 장면이고, 낚시는 재생을 위한 한 장면이라는 것이다.

 

그림 1. 비소치노 II유적의 은제 쿱신

 

 

그림2. 그림 1의 상세

 

루카센코가 이 문양을 해석하려고 한 이유는 쿱신의 용도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무덤속의 액체음료를 담아 두는 행위는 사카 문화 뿐만 아니라 스키타이 문화부터 있어왔다.

 

그러나 사르마트 문화나 스키타이 문화에서 그릇에 동물을 장식하는 것은 주로 손잡이에만 장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용기의 몸통에 동물문양을 장식하는 것은 사르마트 문화 내에서는 보이지 않는 방법이다.

 

기원후 1세기의 유라시아 동쪽에는 사르마트 문화 이남에는 로마제국과 파르티아 제국이 강성했을 때이다(그림 3, 클레인). 그래서 사르마트 문화 후기에는 아조프해연안에서 로마제국의 유물이 많다(클레인).

 

그림 3. 기원후 1세기 사르마트 문화와 그 외부 지역 (클레인 2016)

 

 

참고문헌

Беспалый Е. И., Головкова H. H., Ларенок П. А. Поминальные памятники IV в. до н. э. — III в. н. э. Доно-Каргальницкого водораздела//Советская археология 1989 №03(베스팔르이 1993, 기원전 4~기원후3세기 돈강 유역의 유적)

Клейн Л.С. Первый век. Сокровища сарматских курганов, СПб.: Евразия, 2016. (클레인, 2016, 1세기, 사르마트 문화 쿠르간의 보물)

С.И. Лукьяшко. Древнеиранский космологический сюжет на серебряном кувшине из сарматского погребения у г. Азова.// СПб; Азов: Изд-во Азовского историко-археологического и палеонтологического музея-заповедника. 2008.(루카센코, 2008, 아조프 해연안의 사르마트 문화 무덤에서 발견된 은제 쿱신에 새겨진 고대 이란의 우주관)

 

 

김재윤의 고고학강좌

posted by 김재윤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