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김재윤23
보이는 유물로 밝혀지지 않은 역사의 조각을 맞추고 있습니다.유라시아선사고고학전공.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역사학박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사진1. 토기 입술부위가 약간 벌어지며 토기의 몸이 둥글어 졌다. 입술주위에 점토를 붙인 문양이 있는데 이는 '융기문'이라고 한다. 쵸르토브이 보로타 출토)

(사진2. 사진1과 같은 집터에서 출토되었다. 문양은 마름모 모양의 문양새기는 도구를 찍어서 생긴 것이다. 쵸르토브이 보로타 출토.)


연해주의 루드나야 문화에는 두 가지 모습이 있다. 하나는 앞서 설명한 루드나야 유형이고 다른 하나는 세르게예프카 유형이다.


이것은 토기 특징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럼 다른 문화로 구분하지 않은 이유는 공통적인 토기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구연부에만 문양이 시문되며, 삼각형이나 능형 등의 문양을 새길 수 있는 문양 새기는 도구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만약에 차이점이 더 크다면 다른 문화로 구분이 되겠지만 아직까지는 하나의 문화 내부에 서로 다른 유형으로만 구분하고 있다.

루드나야 문화의 루드나야 유형 토기 모습은 앞서 설명하였다.

루드나야 문화의 세르게예프카 유형(사진 1, 사진2, 그림 1-12~34)은 루드나야 문화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우선 동체부가 둥그스럼해지면서 입술부위가 외반한다. 문양도 다양해지는데, 찍는 문양과 함께 점토띠를 붙이는 것들이 생기게 때문이다.

(그림1. 루드나야 문화의 루드나야 유형(1~11)과 세르게예프카 유형(12~34) 토기(김재윤 2014)


이 유형에는 유명한 유적이 있는데 쵸르토브이 보로타(Чёртовы варота, 악마의 문이라는 의미)의 동굴유적이다. 유적은 화재 난 집터 였는데, 인골도 확인되어 흥미로운 곳이다. 이미 포스팅한 바 있다.http://(http://eastsearoad.tistory.com/20?category=713320)

이 유형의 시기는 루드나야 유형 보다는 다소 느린 것으로 알려졌다. 대체적으로 7000년 전 ~6000 년 전에 유적이 많이 확인된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사진1. 연해주 루드나야 문화의 토기)

 연해주의 신석기시대 연구는 루드나야 프리스탄, 마략 르발로프 등의 유적 발굴을 통해서 시작되었다. 이들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를 살펴보면 마치 도장으로 찍은 듯한 문양(사진1)이 그려진 것이다. 혹은 점토를 덧붙여서 표현한 문양도 있다.
이 문화는 연해주에서 지금으로부터 7000년 전부터 6000년 사이에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몇 개의 유적(드보랸카-1, 루즈노바 소프카-2, 루드나야 프리스탄 유적)에서는 7000년 보다 500~600년 정도 이른 시기의 유적도 있다.)

유형

유적

연대(B.P.)

시료

참고문헌

루드나야유형

루자노바 소프카-2

7320±40

토기부착검댕이

파포프·바타르쉐프 2007

루드나야 프린스탄

7390±100.

7550±60

7690±80

댜코프 1992

세르게예프카 유형

드보랸카-1유적

7615±180

클류예프·가르코빅 2008

노보트로이츠코예-2유적

6920±50

클류예프·가르코빅2008

세르게예프카-1

6700±80

토기부착검댕이

파포프·바타르쉐프 2007

우스티노프카-8

6770±50

6830±50

6890±50

7020±90

토기부착검댕이

 

쵸르토비 보로타

5890±45

동물뼈

방사성탄소연대. 1998

6380±70

6575±45

6710±105

6825±45

7010±95

7110±95

사람뼈

쿠즈민 외 2002

쉐클라예보-7

6045±50

6120±45

6200±50

6280±50

6455±50

, 탄화된 밤

클류예프 외 2007

(표1. 루드나야 문화의 절대연대, 김재윤 2014)


 이 문화는 크게 두 개의 유형으로 나눠 진다. 루드나야 유형과 세르게예프카 유형으로 나눠지는데, 토기의 모습과 문양에서 차이가 있다.(유형은 쉽게 설명하면 비슷한 것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고고문화의 하위단위이다. 고고문화에 대한 포스팅한 바 있다. http://eastsearoad.tistory.com/category/고고학이란/고고학)


루드나야 유형의 토기 모습(그림 1-11)은 바닥이 편평한 저부에 구연부가 벌어진 옆에서 보면 마치 나팔과 같은 모습이다. 이 문화에서는 문양을 시문하는 도구를 하나만 써서 시문했을 가능성이 크다. 도구를 찍는 방법인데, 도장 모양에 따라서 찍히는 문양도 차이가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된 문양은 마름모 혹은 삼각형 문양이다. 

(그림 1. 루드나야 문화의 토기, 루드나야 유형(1~11)과 세르게예프카 유형(12~34)
 

이 문화의 토기 문양은 토기의 입술부 주위에만 찍힌다. 삼각형이나 마름모가 능형으로 연속해서 찍히면 마치 그물문양과 같다고 해서 아무르편목문 혹은 아무르그물문토기라는 별칭도 있다. 아무르편목문토기는 연해주의 루드나야 문화 토기 이외에도 아무르강 하류, 인접한 삼강평원의 신개류 유적에서도 확인된다.
 
사실 이 문화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연해주의 고토기 단계 다음에서 확인되는 문화이다. 고토기 단계의 연대가 만 년 후임으로 연해주의 신석기시대는 1000~7500년 전후로는 아직 유적이 찾아진 예가 없다.

대표적인 유적은 앞서 몇 개로 포스팅한 바 있다.

이 문화는 한반도 동해안의 문암리, 오산리 유적과 관련한 것으로 알려졌다(김재윤 2017).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

posted by 김재윤23

(그림1. 리소보예-1유적에서 출토된 고토기. 4~7은 토기 표면을 가깝게 찍은 것이다. 무엇인가 빠진 흔적이 보이는데, 동물털로 추정되며, 사슴털일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

연해주의 신석기시대는 대략 만년 전부터 시작된다. 이것은 한반도의 제주도 고산리 유적과도 비슷한 시기이다. 연해주 보다 북쪽에 위치한 아무르강 하류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이른 신석기시대 유적이 확인되는 곳인데, 만년 보다 이른 1만2~3천년 전의 유적들이 존재한다.

동아시아의 신석기시대는 유럽의 신석기시대 개념인 ‘신석기혁명’과는 차이가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신석기시대는 ‘신석기’라는 간석기를 사용했다기 보다는 ‘토기’사용을 기준으로 한다.

구석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의 가장 큰 물질 변화가 토기라고 보는 것이다. 새로운 물질문화의 변화와 함께 지형변화가 심했던 시기이다. 왜냐하면 이때부터 후기 구석기시대의 최빙기를 벗어나서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한반도가 지금과 같은 삼면이 바다로 된 시기가 만년 전으로 알려졌다. 기온이 따뜻해 지기는 시기는 1만 3천년~1만2천년부터 시작해서 1만 년 전까지이다. 이때 동아시아 각 지역에 토기가 생겨났던 것으로 보인다.
 
연해주는 우스티노프카-3유적, 체르니고프카-알티노프카-5유적, 리소보예 -1유적(그림 1)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유적의 토기도 앞서 포스팅한 바 있는 고토기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 저화도의 소성에 태토에 짚이나 동물털을 섞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태토에 유기물질을 혼입한 것이 아니라 덧바른 흔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림 2. 우스티노프카-3 유적에서 출토된 고토기)

(그림 3. 체르니고프카 알티노프카-3 유적의 고토기)

연해주는 아무르강 하류처럼 이 시기의 유적이 많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주거지 등도 확인된 예가 없어서 그 시대의 사람 사는 모습을 잘 알 수 없는 점 등이 아쉬운 점이다. 그러나 아무르 강 하류에서는 많은 유적이 확인되며, 유적에서 주거지가 확인되는 등 좀 더 인간활동이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러시아인을 두고 ‘동양인의 사상을 한 유럽인’이라고들 한다.

필자는 그런 이야기와 꼭 맞는 예를 전공하고 있는 고고학에서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은 이제 000기념논총 이런 것이 거의 없어지다 시피 했다. 정년기념논총, 회갑기념논총 등 대학자 혹은 스승을 기리는 논문을 엮은 것이다.

그런데 러시아는 아직도 그런 것을 만든다. 어떤 면에서는 우리보다 더 보수적이다.
이런 인물 중에 한 명으로 오클라드니코프가 있다. 이 분은 돌아가신지가 30년이 넘었지만 필자가 유학할 당시 2008년에 탄생 백주년 기념논총을 보았다. 새삼 러시아에서 그 분의 위치를 알 수 있었다.


(그림1. 오클라드니코프 선생 탄생 백주년 기념논총)

대략 러시아 고고학의 아버지? 정도라고 하면 맞을 것이다.
소련아카데미 아카데미 학술회원이고 연해주를 포함해서 시베리아 전역을 누비며 수많은 조사를 하였다.


*한국에서 연구자는 대학교수가 되기를 바라지만, 러시아에서는 아카데미 학술회원이 되길 바란다. 소련시절에는 3D업종이 대학교수,의사였다고 하니...(아이러니 하게도 공산주의 시절에도 돈 많이 못 버는 직업이 가장 비 인기직종이었다. 두 그룹이 가장 돈 못 버는 계층이라고 한다. 현재는 그 정도는 아님). 연구자는 아카데미의 연구원을 거쳐서 아카데미 학술회원이 되는 것이 가장 큰 명예이다. 대학교수는 아카데미 연구원이 되지 못하면 가는 곳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러시아도 교육체계를 대학 중심으로 많이 바꾸고 있긴 하지만 러시아과학아카데미는 대학의 상위기관이다(학부제도가 없고 전문가 양성기관으로 대학원만 존재한다). 중국(사회과학원), 북한(사회과학원) 등 기타 공산국가들도 모두 이 제도를 표방하였다.

그가 조사한 유적은 시베리아의 부레티 동굴 유적부터, 앙가라 강의 신석기시대 유적, 아무르 강 하류의 사카치 알리안, 콘돈 유적, 루드나야 프리스탄, 수추섬, 시미파트나야, 수추 섬 등 다양하다. 아직도 각종 논문에서 거의 첫 장에 그의 이름이 발견된다. ‘이 유적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조사한 사람은 오클라드니코프 다’

(그림 2. 사카치 알리안의 오클라드니코프)

(그림 3. 메드베쥐야 소프카 유적의 오클라드니코프)

(그림 4. 세레미테보 암각화유적의 오클라드니코프)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

한반도의 신석기시대는 대략 만 년 전부터 시작된다. 만 년 전에는 자연환경에 큰 변화가 있었던 시점이고, 인간생활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그 간 갱신세의 빙하기가 끝나고 후빙기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문화가 생겨나게 된 것이다. 현재와 같은 한반도의 모습, 한반도의 지형도 이 때 형성된 것이다. 동아시아에서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한 결과로 토기가 사용되었다고 보며, 이를 기점으로 신석기시대가 시작되었다.


신석기시대 최초의 토기는 원시적인 토기라는 뜻으로 고토기(古土器)(그림 1, 2)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저화도에서 구웠으며, 태토(토기 만든 흙)에 유기물질을 섞어서 다는 의견이 있다. 유기물질은 짚이나 동물털이다. 최근에는 태토에 섞은 것이 아닌 바른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태토에 유기물질을 섞은 토기는 고토기에서만 확인된다.

(그림 1. 제주도 고산리에서 출토된 고토기)

(그림 2. 제주도 고산리 유적에서 출토된 고토기 2. 토기 편에 보이는 홈은 유기물질이 빠져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유기물질은 짚이나 동물털이다.)

이런 신석기시대 고토기가 출토되는 곳은 한반도에서는 제주도의 고산리 유적이다. 그리고 청도 오진리에서도 가능성이 있기는 한데, 절대연대가 제주도 보다는 늦다. 한반도의 육지에서는 아직 확인된 정확한 예가 없는데, 욕지도의 신석기시대 석기를 보고 가능성을 예측한 학자도 있다. 한반도 육지에서 가장 오래된 토기는 강원도에서 확인되고 있다. 현재의 자료로는...

(그림 3. 제주도 고산리 유적)


김재윤의 고고학 강좌


posted by 김재윤23